서점이 없는 마을은 마을이 아니다. 스스로 마을이라 부를 수는 있겠지만영혼까지 속일 수는 없다는 것을 자신도 알 것이다. - 닐 게이먼(소설가)
그런데 덥긴 정말 더웠다. 그렇더라도 에어컨을 켜기 전 해야 할일이 있다. 과거의 공기는 내보내고, 새 공기 받아들이기. 언제쯤 과거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벗어나려는 노력도 욕심일까. 습관처럼 떠오르는 생각이 영주의 마음을 무겁게 하지만, 영주는 습관처럼 또적극적으로 생각을 밀어낸 후 창문을 하나씩 열었다. - P11
"나는 요즘 사람들을 도통 모르겠어. 그런다고 여기까지 와? 여하튼, 다행이다. 가만히 앉아만 있는 줄 알았는데 뭘 하고 있긴 했네." - P19
"이럴 때 읽을 만한 책 없을까?" - P35
영주는 민철 엄마의 벌게진 눈을 떠올리며 다시 답을 해봤다. 삶을 이해한 작가가 쓴 책. 삶을 이해한 작가가 엄마와 딸에 관해 쓴 책, 엄마와 아들에 관해 쓴 책, 자기 자신에 관해 쓴 책, 세상에 관해 쓴 책, 인간에 관해 쓴 책. 작가의 깊은 이해가 독자의 마음을 건드린다면, 그 건드림이 독자가 삶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면, 그게 좋은 책 아닐까. - P41
영주는 민준과 한 공간을 사용하며, 침묵이 나와 타인을 함께배려하는 태도가 될 수 있다는 걸 배웠다. 어느 누구도 상대의 눈치를 보며 일부러 말을 지어낼 필요가 없는 상태. 이 상태에서의 자연스러운 고요에 익숙해지는 법 또한 배웠다. - P43
골목 곳곳에 동네 서점이 생기는 것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었다면, 서점을 책뿐 아니라 문화생활을 제공하는 공간으로 확장하는것 또한 하나의 트렌드가 되었다. 그렇다고 해서 서점 대표들이 이런 트렌드를 마냥 좋아서 이끌고, 또 뒤늦게 따라가고 있는 건 아니다. 일종의 유인책이라고나 할까. 우선 손님을 서점으로 불러들이기위해 책 판매만으로는 먹고살 수 없으니까. - P51
아름 흠……… 전 책을 읽을 때 기억에 대해서는 크게 집착하지않아요. 물론 책 내용이 연결돼야 하니까 앞의 내용을 어느 정도 기억해야 하긴 하죠. 정말 하나도 기억 안 날 땐・・・・・… 사실 이런 경우.... 는 별로 없어요. 대개 어느 정도는 기억나요. 그래도 기억이 안 나면연필로 체크해놓은 부분만 읽고 나서 다시 읽기도 해요. - P57
지미는 원두가 분쇄되는 동안 민준의 머리에 커피에 관한 정보를 있는 힘껏 밀어 넣어주었다. 전설에 따르면 인류가 커피를 발견하게 된 건 염소 때문이라고 했다. 염소가 작고 동그랗고 빨간 열매만먹었다 하면 지치지도 않고 날뛰는 걸 보고, 염소지기가 커피 열매의 존재와 그 효과를 처음 알았다는 거였다. - P6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