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을 읽으면더 나은 사람이 된다기보다더 나쁜 사람이 되지는않지 않을까요." - P154
"가족도 법도 복지도 아닌 그들을 온전히 받아주는 유일한 공간인 광장을 배경으로 "우연을 운명으로 만드는 사랑이라는 사건을 통해 "서사의 세계에서 발언권을 부여받아 본 적이 없는 인물을 ‘세계-내-존재‘로 조심스레 복원시킨 이 젊은 소설가를 평단은 주목했다. - P158
소설이 너무 무겁고 지루한 거? 그렇기 때문에 얻어지는 다른요소들도 있다고 생각하긴 하지만요. 예전에 공부할 때 선생님이그러셨어요. 글이라는 건 결국 유전자다. 처음에 어떻게 쓰든, 다르게 쓰려고 해도 결국에는 자기의 것이 드러나기 마련이고 맞닥뜨릴수밖에 없다고. 그 말에 깊이 공감해요." - P161
"항상 서울에 오실 때도 저한테 연락하세요. 동생은 정규직이니까 걔한테는 전화를 못 하고, 저는 논다고 생각하시는 거죠.(웃음) 엄마나 글 써야 한다고 하면 콧방귀 뀌시면서 그게 무슨 일이라고 그러냐고요." - P165
답이 어디 있을까마는 동지로서 말이라도 하고 나니 좋았다. 잘써야지 노력하면서 계속 쓰는 것. 좋은 글이 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는 사실만 엄정하다. 작가의 정의를 어떻게 내리겠는가 물었을 때그가 답했다. "글쎄요. 주변 환경 때문에 작가라는 자부심은 있지는 않은데, 그냥 혼자 쓸 때 나는 쓰는 사람이구나, 느낄 수 있는 것 같아요." - P167
곡물도 재고가 많다는 걸 알게 됐죠. 쌀을 원물로 팔기도 하고선식, 죽, 쌀 요구르트도 생산하고 쌀미음을 넣어 마일드한 과일주스를 해보기도 했는데 다 맛이 좀 별로였어요." - P172
미국에서는 인종차별과 학력차별을 하더라고요. ‘너 어느 대학나왔어? 미국의 아이비리그 나왔어? 너 식품공학 전공했어? 파운더(설립자)가 전문가가 아닌데 이 사업을 어떻게 해? 동양인이 미국 주류시장에 진입하는 게 얼마나 힘든데 이걸 네가 직접 하려고 해? 이런 이야기들을 굉장히 나이스하게 웃으면서 해요. 그걸 극복할 수있는 방법은 오로지 제품력, 우리 상품의 매력 같아요." - P178
환경에 관한 긴 글을 읽는 사람은 그 글을 읽을 필요가 없는 환경운동가밖에 없다는 문장을 어느 글에서 보았다. 너무 맞는 말이라서 충격을 받았다. 글 쓰는 활동가라고 말하고 다니는 사람으로서 마음에 새길 문구였다. 우리끼리만 보는 닫힌 글을 쓰지 않기 위해서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자주 고민한다. 옳은 것을 옳다고 쓰는 글은 의외로힘이 없다. - P179
"전 행복이 건강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건강은 우생학적개념이에요. 행복은 장애가 있어도 행복할 수 있죠. 다만, 구조적 모순을 놔두고 마취제같이 행복을 말하는 건 비판받아야 하지만요. 행복감은 직전의 나보다 그 후의 내가 더 풍성해졌단 느낌이거든요. 복권에 당첨됐어도 내가 풍성해지지만, 그건 올 확률이 거의 없죠. 그에 비해 좋은 책을 읽으면 반드시 행복해져요. 그런데 누가 모르냐, 책 읽을 시간이 어디 있냐 라는 말 때문에 조심스러운 부분이있어요. 읽고 싶어도 못 읽는 사람들이 있으니까요." - P190
"내가 저 일을 하면 자랑스럽겠구나 생각했어요. 폼 나잖아요, 용접공. 저는 그냥 한진중공업 노동자 김진숙이 좋아요. 나의 삶을 규정할 수 있는 건해고자의 삶이었으니까." - P2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