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철학책은 […] 자전적이다. 비록 사람마다 얼마나 그런지말하기는 어렵지만, [책은] 그것을 쓴 사람의 전기와 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이 책의 경우도 [나의 전기와 이 책이 얼마나 연관되어 있는지를말하기는 어렵다. 나는 언제 이것을 쓰기 시작했는지, 또는 얼마나 오랫동안 이것을 써왔는지 말할수 없다. 다만 아주 어렵게 그 마지막날짜를 기록할수 있을 뿐이다. - 도나텔라 에스테르 디 체사레 * - P9
이 책은 사유의 짧지 않은 여정을 담고 있다. 그것은 잘 그려진 지도를 들고 목적지를 향해 출발한 계획된 여정은 아니었다. 그저 매번 어떤 질문에서 촉발된 하나의 사유 과정이 작은 매듭을 짓고 나면, 다시금 그 매듭을 풀거나 끊어야 할 날카로운 질문이 떠올랐고, 그 질문으로부터 새로운 사유의 과정을 이어 가야 했다. 그렇게 이어진 길을 따라 지금 여기에 서 있다. - P9
그래서 주변화된 삶이 있는, 말하지 못하는 경험이 있는 곳에서 ‘이야기할 수 있어야 한다‘고, 세계에 드러나지 않아 존엄도 권리도 주장하지 못한 삶의 이야기들을 드러내야 한다고 생각하며연구와 작업을 시작했다. 지식담론의 권력으로 재단하지도 말고, 감히 그들의 이야기를 대리(代理)할 수 있다고 오판하지도 말고, 타자/소수자/서발턴이 스스로 말할 수 있도록 언어를 돌려주어야 한다고 생각했고 그렇게 작업하고자 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새로운 질문과 만났다. - P10
새로운 단계로 나아가기 위해 정리할 수 있기를 기대했던 이 작업은, 펼쳐 읽기 시작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곧 발견하게 되는 것처럼, 여전히 답이나 해결보다 더 많은 물음과 고민으로 남아 있기 때문이다. - P15
말하는 인간호모 로쿠센스(Hono Logina) - P20
이거야, 잘 들어 봐, 피콜로 귀와 머리를 열어야 해. 날 위해 이해해 줘야해. 그대들이 타고난 본성을 가늠하시오. 짐승으로 살고자 태어나지 않았고오히려 덕과 지를 따르기 위함이라오. (레비, 2010: 174) - P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