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편의 시가 떠오른다그는 본다 한마리 바코드처럼 다가오는 - P134

등장인물의 입에서선명한 오징어 냄새가 풍겼다 - P13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러던 일요일 오후의 일이었다. - P247

"곧 봄이 됩니다. 꽃이 필 텐데요."
・・・・・・ 그러니까 태우는 거요." - P248

흐느껴라, 어젯밤처럼, 그 언제나처럼 - P248

그렇게 기대어 있자니 정환은 형언할 수 없는 감정에 휩싸였다. 그것은 정환의 고학 시절 연구실에 숨어 자기 위해 안에서문을 잠갔을 때 그 투명한 금속성의 소리가 적요하고 싸늘한 실내를 올리던 느낌과 흡사했다. - P25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엄마 꿈은 모르지만 내 꿈은 알고 있다. - P92

나 화가 되고 싶었다. 어릴 때.
그러면 해든은 말했다.
지금도 화가잖아.
그래도, 나는 잘할 수 있는 게 중요했어. - P91

엄마는 우는 모습을 생각하면 슬픈데 아빠는 웃는 모습을생각할 때 슬퍼지는 게 이상했다. - P96

허물어지거나 세워지는 곳을 보면 아빠가 생각났다. - P9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러나 해든의 제안은 일곱 살의 놀이터 약속이나 열한 살의 여름방학 약속과는 다르잖아. 어릴 때와 같은 방식으로 생각해보자면 좋은 것을 좋아하는 쪽으로 선택하면 된다. - P33

자주 읽는 책이 꽂힌 책장으로 가서 눈을 감고 한 권을 골라. 고민을 떠올리며 무작위로 책을 펼쳐.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 문장을 읽어. 그게 너의 운세야. - P34

선배, 나처럼 흠 많은 애를…………… 좋아해줘서 고마워. - P41

응. 나 삐삐 롱스타킹 되게 좋아했다? 엄마는 천사고 아빠는 해적왕인데, 삐삐는 혼자 살아. 아니 원숭이랑 말이랑 같이사는데, 집도 되게 좋고 완전 부자에 힘도 세. 자기가 좋아하는 친구들한테는 보석이고 장난감이고 막 퍼줘. - P51

아무래도 슬픔은 고체다. 내가 제일 많이 떠올리는 형태는어릴 적 봤던 바이올린 활에 바르는 송진덩어리다. 슬픔은 마음 한구석에 송진 같은 고체 형태로 존재하다가 어떤 녹는점에서 녹아 흐른다. 액체가 되어 온몸으로 퍼지기도 하고 자칫하면 눈물이 되어 쏟아지기도 한다. - P66

가끔 약에도 체해. 그럴 때 있잖아. 선의에도 걸려 넘어지잖아. 그런 걸 우리가 어떻게 다 알겠어. 우린 겨우 서른 언저리잖아. - P74

과거에 사로잡혀 아직 축축한 사람들의 이야기. 또 거기에 내내 취해 있는 사람들의 자기 연민, 자기 변명, 자기 서사. 그런걸 싫다고 한 거겠지. 그쯤은 뉘앙스로 맥락으로 알 수 있었다. 우리는 그런 것쯤은 충분히 공유하고 공감하는 사이였으니까. - P7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라 직선으로 치고 오지 말고 굽이와 경사를 따라오라.
네가 너였던 우리가 우리였던 것 그대로어서 오라 자작령 영마루 옴팡한 정수리로 오라. - P201

물론 이것은 어느 특별한 봄날 아침의 느낌이다. 한 번의 느낌만으로 인간이 바뀌지는 않는다. 봄날의 아침이 아니라 달밤에는 다음 시에서처럼 전혀 다른 느낌에 사로잡힐수도 있는 것이다. 그녀가 - P193

나는 이 시가 2부의 맨 앞에 있었으면 좋았겠다고 생각한다. 2부의 키워드를 ‘중년‘으로 잡은 나의 눈에는 이 시가2부의 서시처럼 보인다. - P196

이 시의 1연 앞에는 유명한 다음 구절이 생략돼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내 속엔 내가 너무도 많아 당신의 쉴 곳 없네." (하덕규, 「가시나무」) - P199

이 시는 시인 자신이 말미에 밝혀놓은 대로 빌 윌슨의 아포리즘인 "To the world you may be one person, but to oneperson you may be the world"에서 시작되었다. - P18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