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행복의 경고 - 현대인들의 부영양화된 삶을 꼬집어주는 책
엘리자베스 파렐리 지음, 박여진 옮김 / 베이직북스 / 2012년 11월
평점 :
엘리자베스 파렐리의 행복의 경고는 인문학적 통찰력과 우리들이 쉽게 알 수 없는 식견들을 다양하게 보여주는 책이다.역사와 문학,철학과 심리학,문화인류학,건축학 등 다양한 분야를 현대사회의 문화코드를 쉽게 정리해준 인문학 개론서다.결국 환경의 지배를 받으면서 살아가는 인간이다.심리적으로 보면 우리는 육체적인 갈망,물욕에 집착하는 인간이다.
육체의 갈망은 언제나 절제가 되지 않는다고 저자는 말한다.지금 당장,전부를 원하는 인간들의 욕망 때문에 지구는 언제나 몸살을 앓는다.그러나 지구는 녹색 도화선을 통해 꽃을 피우는 힘으로 인간의 반성을 촉구한다. 왜 우리는 과잉 만족해야 하는가? 왜 우리는 우리가 원하는 것만을 추구하는가? 즐거움으로 도취되는 시기심의 결과라고 이 책에서 말하고 있다.
언제나 인간은 양면성을 요구한다.안전함과 두려움 그것은 물질과 삶에 대한 완벽함보다는 선택과 과잉 선택이 만들어낸 비뚤어진 욕망이다.그릇된 욕망을 품게 만드는 4번째 굶주림으로 진행이 되고 있다.극단적이고 이기적인 행복주의자들로 인하여 빚어진 사회적 폐단과 현대인들이 직면하고 있는 삶의 탐욕스러움과 추악함 따위를 가감 없이 들추어내고 있다.
우리가 지향해야 할 삶의 푯대는 무엇인가,새롭게 정립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아름다움 그리고 죽음을 극복하기 위한 투쟁을 아는가! 아름다움,실재 혹은 상상속에서 아름다움은 권력으로 연결되고 아름다움과 고대의 유물들,그 아름다움과 모더니즘 인간의 아름다움과 건축에서의 아름다움 아름다움이 우리를 선하게 할 수 있는가를 말하고 있다.
너무 행복하다 보면 행복 불감증에 걸려 있는지도 모른다.일상 속에서 주어지는 진정한 행복의 가치나 의미를 잃어버린다.물욕에 집착하는 우리들은 지극히 단순한 즐거움만을 추종,사소한 번거로움조차 부담을 느끼며 무조건 회피한다.친환경적인 삶은 녹색으로 보이는 삶이 아니라 극도로 인공적이고, 심하게 변형되고, 밀도가 높은 도시의 삶이라고 주장한다.
그토록 간절하게 열망하던 바로 그 풍족한 의미,모두가 행복한 세상,모두가 만족하는 소박하고 아름다운 세상을 되찾아야 한다.도시는 인간을 자연으로부터 떼어놓음으로써 환경재앙과 문화재앙을 막을 수 있는 기회를 늘려줄 뿐 아니라 인간 사고의 발전소가 되어 재앙을 피할 기회도 준다. 더 늦기 전에 우리는 지구가 주는 진짜 행복에 대한 의미를 되찾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