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리 빛이 우리를 비추면
사라 피어스 지음, 이경아 옮김 / 밝은세상 / 2025년 7월
평점 :

데뷔작으로 리즈 위더스푼 북클럽(Reese′s Book Club)에 선정되었을 뿐만 아니라 유명 매체에 이르기까지 범죄소설로써 이름을 알린 작품이다.
스위스 알프스 고지에 위치한 크란 몽타나의 르소메 호텔은 과거 요양병원으로 사용되던 건물을 리모델링으로 이뤄진 건물이다.
형사인 엘렌이 과거의 사건으로 인해 잠시 일을 휴직하던 차, 남동생 아이작의 약혼 파티에 초대되면서 연인 윌과 함께 호텔로 향한다.
가는 교통 자체가 험난함을 예상하게 하는 과정도 잠시, 호텔의 이미지는 병원 그 자체를 연상시키는듯한 색감과 더불어 이곳에서 객실부 직원 아델이 풀에서 죽음으로 발견되는 사건이 벌어지고 연이은 아이작 약혼녀 로라의 죽음, 과거 미해결 실종 사건이었던 건축가의 사체 발견에 이르기까지, 관할지역은 아니지만 날씨마저 도움을 주지 않은 채 고립된 이들의 불안감을 키운다.
이에 스위스 경찰의 협조로 사건현장을 보존하고 사건해결에 뛰어들게 된 엘렌은 죽은 사람들의 관계와 연이어 터진 또 다른 사건의 배후와 진실은 무엇인지 진실을 향해 가는데, 이 호텔에 드리운 어두운 장막을 열 수 있을까?
눈사태로 이어진 고립된 호텔, 헬기는 물론 경찰차의 도움마저 기대할 수 없는 환경이 조장하는 두려움과 살인사건의 연이은 발견 현장은 죽은 이들의 모습이 과거 요양원과의 연결고리를 생각하게 하면서 단서조차 없는 미지의 세계를 향하는 엘렌의 심리와 마주친다.

어린 시절 아픔을 간직한 채 동생 아이작과의 껄끄러운 관계는 물론 사건 전체에서 느끼는 과거 요양원 시절에 벌어졌던 끔찍한 비밀들과 범인의 아픈 상처가 함께 보이면서 진행되는 설정은 당시 제도권 밖에서 행해졌던 이름 없는 여인들의 자기주장을 내세울 수없었던 아픔과 현재 자신이 당한 끔찍한 상처를 제대로 봉합하지 않은 채 자신의 감정 안에서 모든 것을 해결하려 한 범인이 지닌 진실의 내막이 안타깝기도 하고 이를 모르쇠로 일관했던 이의 자세를 용납하기도 힘들었다.
연이은 실종이란 한정된 공간에서 벌어지는 사건의 해결 실마리와 개인적인 상처 봉합을 위해 노력하는 주인공 엘렌의 행동은 사이코 기질의 범인과의 대결에서 긴장미를 드높인다.
아무도 돌봐주지 않았던 사람들의 원혼, 올바른 일이라고 행한 자의 그릇된 행보, 여기에 고립된 장소가 주는 위협감들이 사실적 묘사로 인해 사건의 진상을 향해 갈 때 뜻하지 않은 범인의 모습이 놀라웠던 작품-
특히 애거서 크리스티의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 알프레드 히치콕의 〈싸이코〉, 스티븐 킹의 《샤이닝》이 많이 연상된 작품이라 비슷한 분위기를 좋아한다면 재밌게 읽을 수 있을 것 같다.
***** 출판사 도서 협차으로 쓴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