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를 더 사랑하는 법 (해외편 + 한국편) - 우리를 특별하게 만드는 일상의 재발견
미란다 줄라이, 해럴 플레처 엮음, 김지은 옮김 / 앨리스 / 2009년 12월
평점 :
절판
아나운서로서 이색적인 다양함을 갖춘 책을 번역해서 나온 책이라서 눈에 띄었다. 나를 더 사랑하는 법이라~
책을 펼쳐보니 정말 이건 뭘 뜻하는 거지? 란 생각부터 든다. 다양한 제시가 주어진 가운데 세계여러 사람들의 다양한 체험과 과제를 통해서 일상을 관통한 나 자신을 사랑하는 법이라니!!!
충격의 파도가 밀려온다. 책 속에는 이제것 내가 살아온 이야기며, 첫 경험때 입었다고 소개한 사진속의 옷, 볼펜으로 팔뚝에 별 모양 그려넣기, 5가지의 내가 겪었던 일, 아픈 사람곁에서 한 일, 등등,,, 소재가 일상에서 그냥 스쳐지나갈 바람이라고 느낄 만한 것을 아주 자연스럽게 녹아들게끔 한다. 평소에 내가 느껴보지 못했고 시도조차 해보지 않았던 내가 살아온 이야기를 쓴다면 과연 나는 내 자신에게조차도 떳떳한 삶을 살아왔나하고 느껴보게도 했고, 과연 무엇부터 이렇게 써 나갈 수 있는 소재가 나의 인생에서 차지하는 부분이 있었나 하는 상념에 빠지게도 한다. 서로 안면은 있진만, 혹 처음 만나는 사람에게 다가가 손을 맞잡고 있는 사람은 인류애의 힘을 느끼게 하고 뭔가 뭉클한것이 전해져 온다. 서양과 동양의 시각차이도 있겠지만 공통된 점은 부모와 자녀사이의 일상에서 묻어나오는 사랑이다. 전화로 걸어서 나눈 대화라든가, 아픈 사람곁에서 나눈 느낌은 눈물방울이 떨어지게 한다. 똑 .똑. 똑.
김지은 아니운서가 tv에서 뉴스로 때로는 비디오 출발여행 하던 때가 생각난다. 그 땐 참으로 똘망하고 예쁜 아나운서란 생각으로 시청했었는데, 언제 유학가서 인생의 참 의미를 돌아볼 수 있는 책을 들고 오리라고 생각못했기에 더욱 신선했었나 보다. 한국에서의 과제중 휴대폰에 담긴 문자메세지 내용은 두고두고 기억에 남는다. 책을 읽는 도중 내 휴대폰도 들여다 봤의니깐~ 댜행히도 내게도 영구 보관함의 문자가 있어서 위로 아닌 위로도 받게되고, 나도 누군가에게 힘이 되어줄 따스한 문장 한 번 보내겠다는 생각이 불끈 솟는다.
모 tv에서 가수 겸 제작자인 박진영씨가 예전의 자기 몸에 대해서 한 생각을 말한 것이 생각난다. 춤을 추기 위해서 몸이 예뻐야 한단 생각을 했다면 지금은 더욱 건강히 잘 보살펴서 몸을 잘 아껴 더욱 멋진 춤을 추기위해 노력해야겠단 인터뷰엔 수긍이 갔다. 몸 뿐만이 아니라 내적인 내 정신세계도 한 차원 업그레이드 된 수준으로 올려야겠단 생각을 들게 한다. 내 자신이 아니면 그 누가 내몸과 맘을 정확히 알 수 있겠는가?
김지은 아나운서의 죽기전에 바램과 여러 사람의 바램도 기억에 남는다. 버려야 할 것들중의 하나인 이혼녀라는 타이틀에 주눅이 든 자신을 버리기란 글에선 아들과 헤어져 사는 엄마의 사랑과 사회의 눈을 의식안하고 살 수 없는 현실도 느껴진다. 때론 웃음도 , 획기적인 발상의 과제도 좋았지만 무엇보다도 나를 사랑하는 방법의 실천이 그리 멀리 있지 않다는 점, 나도 내 스스로 주제를 정해서 한 번 시도해 봐야겠단 생각이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