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리메 그린다 - 그림 같은 삶, 그림자 같은 그림
전경일 지음 / 다빈치북스 / 2012년 9월
평점 :
학창 시절 미술시간에 보는 책 안에는 유명화가의 그림이 들어있고 입체파니, 인상파니, 추상화니, 아그리파의 석고상을 두고 그려보는 시간등등...
미술을 전공으로 하는 학생이 아닌 이상은 그저 책 안에 소개된 그림을 기본으로 화가의 이름과 그림을 연계해서 공부한 기억이 난다.
그 중에서도 국어 교과서나 국사 교과서에 나올법한 우리나라의 조선시대의 한 때를 풍미했던 화가들을 집중적으로 본 것은 이 책이 처음이 아닌가 싶다.
조선이 무엇이던가?
호국불교의 기치를 내세웠던 고려를 무너뜨리고 중화사상에 입각한 새로운 청사진을 배경으로 그리던 나라가 아니던가?
이 책에는 조선의 내노라하는 이름과 그림에 익숙한 화가가 나오기도 하지만 미처 못 알아보고 그림만 익혔던 화가들의 인생과 그림이 곁들여진 멋진 책이다.
조선의 신분계급의 타파를 못 무너뜨린 채 자신의 갇혀있는 신분에 울분을 삭힌 사람, 그것을 잊고저 오로지 자신의 능력이 주어진 그림이란 세계에 매진한 사람들이 주를 이룬다.
자신을 알아봐주는 사람이 있던 한 때나마 행복을 누렸을 사람들인 안견, 김홍도, 장승업, 이정, 김명국....
내노라하는 그들의 그림과 함께 곁들여진 그림속의 작가의 심중이 들어있고, 작가가 무엇을 나타내려 했는지에 대한 통찰의 비교가 색다르게 다가온다.
서자로서 역관으로서, 왕족의 서자출신이라서, 양반들의 위시하는 세계속에 같이 동참을 할 수없었던 그들이 오로지 미칠 곳은 술과 여자, 그리고 그림이었다.
뛰어난 재주임에도 불구하고 당파에 휘둘려, 역적의 자손이라는 것 하나로, 그들의 재주를 가상히 여겨 요즘으로 말하면 인맥을 통한 소개형식으로 도서화에 들어가게되는 경우가 태반사지만 결국엔 이마저도 그들을 멀리하려는 자들로 인해 자신의 뜻을 펼칠 수없었던 조선의 모습 한 면을 들여다보게 한다.
신윤복의 기생 그림하나로 전국적으로 유행의 선도역할을 했다는 점은 정말 아이러니하기까지 하다.
가채머리의 무거움을 이기지못해 죽었단 사실, 한복의 길이가 짧아지고 치마길이가 기생들 저리가라 할 정도의 유행이 양반가의 아녀자까지 착복을 했다는 사실은 신윤복의 그 전까지의 그림의 행태습작을 타파한 새로운 혁신의 그림창조라는 생각까지 하게 만든다.
순간포착이란 말을 연상하게하는 김득신의 그림세계, 달마대사로 유명한 김명국의 그림, 당시의 그림의 추세를 뒤집고 외야 분야에 속한 풍속화를 그림으로써 조선이란 500년 역사에 중국이 주도하던 그림의 세계를 조선만의 화풍으로 만든 이들의 그림세계를 맛 보는 재미가 쏠쏠하다.
지금의 유명대학의 동양학과 신설의 유래를 읽는 과정이 그래서 더욱 감동스럽게 다가온다.
신분이란 무엇이기에, 이리도 그리 잘난 재주를 가진 사람들의 기개를 맘껏 활용하지 못한 제도의 빈약성과 인간의 차등을 두었던 조선이란 나라의 기조에 대한 반발도 생기고, 그럼에도 추사 김정희의 뒤를 끝내 넘어서지 못한 제자 허련의 일생도 쓸쓸하기만 하다.
여러 사람들의 기구한 운명엔 술이 항상 있었기에 그들의 재주가 좀 더 활짝 만개할 수있었던 시기를 일찍 거두어간 점도 안타깝기 그지없다.
그나마 책을 통해서 본 유일하게 제 수명다하고 만수를 누린 화가란 정선 밖에 없단 사실엔 그의 철저한 자기관리를 엿보게 하기에 지금의 연예인 자기관리를 연상시키게 하기도하고, 같은 시기의 서양의 역사를 견주어 보건대 너무나도 그들의 재주를 몰라라한 나라의 그릇된 제도에 다시금 안타까움을 주는 느낌이 큰 책이다.
하지만 작가가 그림을 통해서 자신만의 상상력으로 당시의 시대상과 맞물린 그림이 탄생하기까지의 이야기를 곁들인 글은 학창시절 숙제로 해오던 화랑을 방문해 그림을 보고 뭔 느낌인지도 모른 채 느낌을 적어보던 그 때와는 확연히 다른, 그들의 그림세계에 흠뻑 빠질 수있는 기회를 제공했단 점에서 한 번쯤은 그림을 모르는 사람이라 할지라도 읽어 볼 만한 책이 아닌가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