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와일드우드 ㅣ 와일드우드 연대기 1
콜린 멜로이 지음, 이은정 옮김, 카슨 엘리스 그림 / 황소자리 / 2012년 12월
평점 :
12 살의 프루는 어느 날 2 살의 남동생 맥을 자전거에 태우고 도서관에 책을 반납하러 갔다가 검은 까마귀 떼의 공격으로 동생 맥을 납치당하게 되고 그 뒤를 쫓아서 자신도 모르게 어느 숲까지 가게된다.
그 숲이 차지하고 있는 배경은 어른들이 말하는 "지날수 없는 숲"으로 불리는 곳으로 온갖 헤괴한 소문들로 쌓인곳-
자신의 친구인 커티스까지 우연찮게 동행이 되고 그 곳에서 말을 하는 코요테서부터 여우,토끼, 새, 인간들을 만나게된다.
그 곳은 크게 사우스우드라 불리는 한 때는 평화로운 곳이었지만 지금은 권력에 눈이 먼 사람들로 가득 찬 곳, 사우스우드에서 죽은 아들을 마법을 통해서 살리려다 발각이 되어 쫓겨잔 미망인 여왕이라 불리는 여인이 코요테를 부하로 삼아 권력을 쥐고 있는 와일드 우드, 두 곳 사이에 있는 새들의 왕국인 아비앙 공국, 그리고 일명 프루가 살고있는 인간들의 도시와 와일드우드를 격리,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신비주의자들이 살고 있는 노스우드로 나뉘고 있었다.
동생 맥을 찾기위해서 애를 쓰는 프루와 커티스는 서로 헤어지게 되고, 프루는 아비앙 공국의 공작인 올빼미의 조언으로 신비주의자들을 찾아가는 여정이 그려진다.
커티스 또한 여왕의 간계에 빠진것을 알고 새장 감옥에 갇히게 되지만 인간산적 대장과 코요테의 다른 무리들과 함께 감옥을 탈옥,프루와 만남을 가지면서 여왕이 차지하려는 숲 전체의 평화를 위해서 자신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를 하게되는 과정이 그려진 책이다.
인디밴드의 리더 출신이자 싱어송 라이터인 저자가 자신의 부인과 함께 작업한 이 책은 시종 환상, 호기심, 모험, 그리고 가상의 세계를 그려보게 만드는 시간을 준다.
변방의 곤경이라 불리는 지역을 선으로 긋고 인간의 메마른 시멘트 투성이의 세계와는 달리 이 곳의 다른 세계들은 동물, 새,인간들이 서로 함께 힘을 합하면서 평화로운 삶을 지향해 나가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인간이 동물이나 새들의 말을 알아듣는다면, 신비주의자들처럼 명사을 통해서 무기를 통한 무력집권이 아닌 자연의 힘으로 위기의 순간을 모면하는 장면을 읽으면서 느끼는 감정은 실제로도 일런 일이 일어난다면 굳이 지금의 서로 다투고 아웅다웅하는 인간들의 모습에서 훨씬 성숙해진 세상을 볼 수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 보게한다.
사우스우드의 모습에선 지금의 인간들이 자신이 쥐고있는 것을 결코 내놓지 않으려는 추악함을, 비록 새들이지만 평화를 지향하는 아비앙 공국의 모습과 노스우드의 신비주의자들의 모습에선 평화란 말 한마디로 모든 것이 이렇게 쉽게 결정지어지고 이뤄지는 욕심없는 과정이 대비적으로 그려진 점도 인상적이다.
한 때 방송에서 "닐스의 모험"이란 만화가 유행한 적이 있던 것으로 기억이 된다.
새는 아닌것을 기억이되는 아마도 오리였나 싶다.
그것을 타고 모험의 세계로 발을 내딛는 닐스의 모습이 프루가 독수리의 등에 올라타고 동생이 있는 곳으로 가는 장면과 겹쳐지는 것, 토끼와 만나는 장면에선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를, 자전거를 타고 아버지가 준 돌을 통해서 안개가 쌓인 다리를 건너 와일드우드의 세계로 내딛는 장면에선 나니아연대기를 연상시켰다.
그만큼 아주 익숙하기도 하고 같은 듯 다른 면이 보이는 이 책을 통해서 프루는 맥이란 동생의 존재의 귀중함, 가족의 따뜻한 그리운 정, 따돌림을 당한 커티스는 자신이 해야 할 일이 있음을 알고 남는 장면에선 한층 성숙된 아이들의 모습이 그려지기에 읽는 동안에도 즐거운 세계로 빠져들게 한 책이다.
영화로 나오다면? 애니메이션이 훨씬 더 재미있을 것이란 생각이 들었다.
(물론 책 중간중간에 삽입된 그림들이 곁들여져 더욱 그런 생각이 들었는지는 모르겠다.)
각각의 세세한 동물들의 행동과 포즈 포착의 모습 표현은 영화에서 보여지는 것보다 만화로 보여지는 면이 더욱 실감을 느낄 수가 있을 것 같단 생각이 큰 작품이다.
환상적인 면이 두드러진 책이기에 자칫하면 지루하고 허망할 수도 있는 소재를 저자의 상상을 통한 글귀 한마디에서도 저자가 나타내보고자 하는 것임을 느끼게 하는 구절이 있기에 어린이나 어른이나 누구나 즐길 수있는 참신한 소재의 책이란 생각이 든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