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채홍 - 彩虹 : 무지개 ㅣ 김별아 조선 여인 3부작
김별아 지음 / 해냄 / 2011년 12월
평점 :
품절
역사상 최초의 레즈비언이라고 기록될 수있는 세종의 며느리이자 문종의 두 번째 정식 부인인 순빈 봉씨-
문종의 첫 번째 부인이었던 휘빈 김씨가 문종의 사랑을 얻기 위해서 민간에서 전해지던 요법이나 다른 비술을 쓴 것이 탄로나 서인으로 폐출되고, 곧 이어서 두 번째 정실로 오른 이가 바로 봉씨이다.
뛰어난 미색과 두 오빠와 고명 딸로 태어난 그녀는 문중이 가진 성격상 고려의 활발하고 거침이 없는 자유분방한 집 안에서 자란 그녀로선 첫 날밤부터 문종이 행한 행동에 실망을 하고 자신의 거침없는 성격상 자신이 느낀 바를 그대로 문종에게 전달하게된다.
하지만 어릴 적 부터 이미 왕좌에 오를 막중한 책임을 느끼고 있었던 문종에겐 모든 일거수 일투족이 조심하고 언행일치의 행보를 보일 수 밖에 없었던 자신이 지닌 지위의 책임이 있는 바, 이런 봉빈의 투정 아닌 투정과 장차 국모로서의 행동거지로 이해를 하지 못하는 서로 상반된 , 안맞아도 이렇게 시간차, 시각차, 견해차가 다를 수 없는 냉냉한 일직선상의 부부가 되는 과정이 점차 봉빈을 외롭게 만든다.
김 별아 작가가 쓴 책을 처음 접한 것이 방송에서도 나왔던 미실을 다룬 책이다.
신라의 왕족 혈통을 유지하기 위해 서슴없는 근친상간을 이뤘던 당시의 묘사가 무척 충격적이었던 것에 비하면 이 소설이 주는 충격은 덜 하단 느낌이 든다.
그 만큼 내가 읽었던 우리나라 형성과정의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던 신라의 혈통 문제는 내겐 아주 생소한 것이었고 그 가운데 미실이란 여인이 행한 행동을 이번엔 조선으로 넘어와 다룬 조선 왕조의 초기에서 불미스런 일로 기록되고 있는 이 부분을 어떻게 작가는 그려냈는가가 무척 궁금했었다.
읽어가는 동안 순빈은 참으로 시대를 잘못 만났고, 설사 잘못 만났더라도 자신의 성격을 누그려뜨려 현실에 좀 더 적응했더라면 이런 사단은 미연에 방지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녀의 탁월한 미모는 오히려 문종에게 부담이 됬고, 문종이 지닌 성격을 이해하면서도 끝내 자신을 바라봐 주지 않는 원망과 서운함, 아니, 이미 부부의 정이라고는 쌓을 수 없는 부분적인 시도 조차도 오해의 여지를 쌓는 과정이 구중궁궐 자신의 맘을 알아줄 리 없었던 봉빈에겐 무척 답답했을 거란 생각을 한다.
타인에 비쳐진 격식과 의례, 절차가 단 둘만이 있는 오붓한 신혼 방에서조차 그 모든일이 하나의 왕이 되기위한 절차로 인식할 필요가 문종에겐 필요했을까?
해도해도 너무하단 생각이 들 만큼 문종은 봉빈에게만 유독 차갑게구는 면이 없지않아 있고 이것을 그저 한 국모의 사람으로서 살아가려면 모든 것을 감내해야만 하느냐, 아니면 사랑받고 싶고, 사랑을 나누고 싶은 한 여인으로서의 행실을 보이느냐의 고민 속에 봉빈은 사방이 모두 막힌 절박한 심정에 갇힐 수밖에 없는 사건의 흐름이 작가의 상상력을 보태어 아주 슬프게도 다가온다.
중전이기 전에 한 여자로서 바라봤을 때 봉빈이란 인물은 당시의 시대를 거스른 사람으로 비쳐진다. 눈 멀고, 귀 멀고, 입 다물고 그렇게 살아오려 노력했지만 이내 자신의 남편이란 사람에게 자신의 뜻을 내뱉을 정도의 의식있는 여성으로 비쳐지지만 이것이 오히려 시대에 부합되지 않는 여인이 될 줄이야 어찌 알았으리오...
시집 오기 전엔 한 사람의 딸이요, 결혼 후엔 오로지 지아비만 의지하고 살아갈 지어미의 입장인 봉빈의 그 맘을 조금만 알아줄 여력이 문종에게 있었다면, 한 인간으로서 대식이란 불명예로 낙인 찍힐 이유가 없을 것 같았었는데....
읽으면서 문종에게도 문제가 있었던 것은 아닌가 생각이 든다.
한 번도 아니고 두 번씩이나 그런 일이 발생했다는 것은 여자에게 문제가 있다고 돌리는 당시의 유교적으로 뿌리박힌 사고방식이 한 몫했을 것이란 느낌을 지울 수가 없었다.
사랑을 받고자 했고, 사랑을 베풀고자 했으나 받아주지않는 상대를 그리워한 그녀는 결국 동궁의 나인인 소쌍과 대식의 관계라는 전대미문의 불미스런 일로 역사의 뒤 편으로 사라진 봉빈-
사랑받고 싶은 맘이 죄가 될 줄은 꿈에도 몰랐던 봉빈의 일생은 봉빈이란 여인을 대표적으로 당시의 억압된 규율에 묶여 날개를 펼 칠수 없었던 한 많은 여인의 일생을 보는 것 같아서 내내 씁씁하다.
처음 역사적인 사실만 놓고 봤을 때 봉빈이란 인물이 행한 행동을 이해할 수없었던 지라, 작가의 글 세계로 이끌려 읽은 지금은 봉빈의 성향이 레즈비언이어서가 아니라 너무 외로웠던 사람이었고, 자신의 아픔을 함께 할 수있는 동행이 있다는 것 하나로 의지해 살아간 가엾은 여인으로 기억이 될 것 같다.
사랑의 역사는 기록되는 것이 아니기에 기억이 된다는 말이 맞는 말인 것 같다.
폐출이 되어 친가에 오고나서 비로서 한껏 웃는 봉빈을 바라보는 오라비들의 심정은 오죽 할까 싶은 것, 바로 인간이 인간에게 서로 규율이란 명목 하에 정해진 대로 살아갈 수밖에 없는 한계를 보여주는 것 같아서 조선왕조의 기틀을 이룬 유교란 덕목에 대해서도 생각해보게 된다.
'한 가지만은 분명해요. 행여 그 때도 사랑이 죄가 된다면 나는 기꺼이 사랑으로 죽으리라는 것을.(p.319)'
끝내 자신의 행동을 비호하려하지 않고 정면으로 나섰던 한 많은 여인이었다.
채홍이란 말이 무지개를 뜻한다고 한 작가의 말처럼 태양의 대표격인 왕의 권력 뒤에 힘이 없으면서도 자신의 빛을 발하는 무지개처럼 한 많은 여인들의 삶을 포착해 낸 작가의 여성을 다룬 시리즈 2편 격에 속하는 이 소설은 미실이 보여줬던 강인한 권력유지의 여성상이라면 봉빈처럼 자신의 성격을 가감없이 표현하다 끝내 무지개의 한 뒤편처럼 쓸쓸히 퇴장한 여인도 있다는 것을, 작가는 여성이기 전에 한 인간의 인생의 단면을 보여주는 솜씨를 발휘했다.
곧 영화화 하기로 결정이 됬다고하던데, 이 여인의 영욕과 사랑에 눈 먼 과정을 어떻게 영상은 표현 할 지 궁금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