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8 - 정유정 장편소설
정유정 지음 / 은행나무 / 2013년 6월
평점 :
서울 인근 지역의 가상의 도시인 불볕이란 뜻을 가진 화양이란 도시에 신종플루에 걸려 치료된 지 얼마 안된 개를 키우는 남자의 연락이 안된다며 구조를 하던 소방구조대원 한 기준은 그 집에서 늑대 개를 보게되고 그 이후 화양에선 사람과 개들 간의 공통적인 이상징후가 포착된다.
눈이 빨갛게 변하면서 폐가 급속도로 나빠지고 24시간 내에서 얼마를 넘기지 못하고 죽는 상황이 발생하자 당국은 화양이란 도시를 잠정적으로 통행제지를 하게된다.
한편 알래스카에서 한국인 최초로 마셔(썰매꾼)로서 아이디타로드 경주에서 화이트 아웃에 걸려 자신의 썰매개를 회색늑대에게 준 뒤 한국에 온 서재형은 유기동물보호소 수의사로서 드림랜드에서 일한다.
부모의 사랑의 못받은 화풀이를 아버지가 키우던 개인 쿠키를 학대하려던 동해는 재형에게 들키고 그 후 앙심을 품게된다.
재형의 기사를 좋게 써오던 신문사에선 익명의 제보로 재형의 알래스카 과거를 문제삼은 기사를 김윤주가 쓰게되면서 재형은 곤란에 빠지던 차, 화양에 불어닥친 인수공통전염병일 것이란 기사는 그야말로 사람과 개들 간의 피말리는 상황으로 치닫게 만든다..
자신의 개인 쿠키가 죽고 잇달아 멀쩡한 개들을 죽이러 온 군에서 차출된 군인들의 행동, 기준의 부인과 딸의 죽음, 간호사 수진의 잔혹한 강간은 화양이란 도시 안에서 모두 벌어진 일들이 사실적인 표현으로 독자들을 섬짓하게 만든다.
자신의 혈육 이상으로 아끼던 썰매팀 쉿차를 자신이 살기위해 끈을 끊어버림으로서 내내 괴로움에 시달렸던 재형, 자신의 한 줄 기사 때문에 곤란에 빠진 화양 안의 사람들과 재형을 보는 윤주, 거리에 버림받은 개들에게 물리면서까지 딸을 살리려했던 기준의 처의 죽음은 비단 작가가 그려낸 가상의 상상을 토대로 그려냈다고는 하지만 본질적인 문제에 있어서 나라면 과연 어떤 행동을 했을까를 생각하게한다.
기르던 개를 차마 죽일 순 없어서 재형 앞에 버리고 가는 사람들, 투기견으로 길러져 결코 사람을 믿지 않는 링고, 재형 외엔 사람을 믿지않는 스타의 등장묘사는 사람으로 태어났지만 결코 사람이라고 할 수없는 박동해란 악의 인물과 비교를 시킴으로서 인간다운 것이란 어떤 것인가를 물어본다.
사람들은 자신의 위안의 대상이자 가족의 일원으로서 동물들을 키운다.
그런 사람들이 이런 극황상황, 더군다나 정부에선 모든 통제를 하고 외부의 출입을 허하지 않는 가운데 그 가운데서 살 사람들은 살아남을 지언정 결코 해결의 기미를 보이지 않은 안이한 정책의 태도, 아수라장이 따로 없는 화양이란 작은 도시 안에서 서로 살겠다고 훔치고 죽이고 탈출하려다 총에 맞는 일련의 과정이 가감없이 그려져 현실에서도 이런 일이 가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게한다.
거리에 내몰린 개들조차도 들개처럼 서로 먹고 싸우고하는 모습과 그 가운데 재형이 내던진 자신의 목숨은 알래스카에서 잊지 못한 과오를 용서받고 이런 일이 없는 세상을 원했던 것은 아닌지...
p- 346 - 그것이 삶이 가진 폭력성이자 슬픔이었다. 자신을, 타인을, 다른 생명체를 사랑하고 연민하는 건 그 서글픈 본성 때문일지도 몰랐다. 서로 보듬으면 덜 쓸쓸할 것 같아서. 보듬고 있는 동안만큼은 너를 버리지도 해치지도 않으리란 자기기만이 가능하니까
작가는 돼지와 소의 구제역 파동을 보고서 이 글을 구상했다고 한다.
살아있는 목숨을 지닌 개들을 구덩이에 파 묻어버리는 인간들의 행동, "살려주세요"란 말을 느껴가며 행동에 나서는 링고와 스타, 동물과 인간이 뭐가 다른가? 를 묻게된다.
인간은 나약한 존재임과 동시에 자신의 이익을 위해선 가차없는 행동을 보이는 이기적인 동물인지라 여기서도 그려지는 화양에서의 개를 버리는 행동, 동해의 정신이상적인 동물학대, 그리고 정부 공권력투입과 그에 항의를 해도 힘없이 사라져가는 이름없는 시민들의 모습은 사실적인 것을 떠나서 이것이 최선의 방법일까를 여러모로 생각해보게된다.
그럼에도 재형의 윤주에 대한 용서와 사랑은 안타까움 속에 그래도 인간은 인간을 용서함으로서 희망이란 말을 품게됨을 느끼게 해 준다.
그간 작가의 작품을 읽어봤지만 이 작품 안에 고스란히 전작의 기분을 느낄 수있는 것이 소방구조대의 활약, 정신병원, 간호사의 활동, 그리고 개 떼들 출현은 어디선가 본 듯한 이미지를 보여줌에도 불구하고 다른 작품들처럼 읽을 때마다 생각을 던져주는 작품이기에 이번에도 그런 기대를 저버리지 않았다.
다만 인수공통전염병의 발병지나 해결제시 방안이 나타나지 않은 점, 그리고 굳이 재형을 죽여야만했을까? 하는 생각을 해봤다.
다음 작품을 다시 기대해 보게 하는 작가의 치밀한 맞물림의 글 구성의 연속 흐름 속에 이 여름에 작가가 던진 질문에 대한 독자들의 생각이 많이 궁금해지는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