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돈 키호테, 부딪혔다, 날았다 - 라만차 돈 키호테의 길
서영은 지음 / 비채 / 2013년 8월
평점 :
어릴 적 세르반테스의 돈 키호테란 책을 접한 지도 꽤 됬다.
그저 얼렁뚱땅 정신이 약간 모자란 사람이 어느 날 산초란 사람을 데리고 요즘에 흔히 말하는 허당의 컨셉으로 종횡무진 웃음을 연발하는 주인공으로 기억되던 이 이야기가 다시 이렇게 새로운 시각으로 보게 될 줄이야~
몇 해 전에 신문에서 읽은 기사가 생각난다.
우리가 익히 알고있던 돈 키호테란 인물의 성격을 다시금 새롭게 조명해 볼 필요가 있단 내용을 접했던 사실이 이 책을 읽으면서 새삼 다시 떠오르게 된 것은 작가 서영은이란 사람에 의해서 우리가 어떻게 돈키호테란 인물이 자신의 소신을 가지고 주위에 아랑 곳 없이 뜻대로 움직여 인생을 살아가는 여정의 모습을 새로이 바라 본다는 데서 색다른 느낌을 받았다.
따라서 돈키호테가 간 여정을 따라간 이 기행 에세이는 작가의 종교적인 체험과 더불어 종교를 가지고 있는 사람으로서의 마음가짐, 그리고 돈키호테의 작가인 세르반테스의 인생까지도 모두 엿볼 수있는 책이었다.
누군가는 현실에 직시한 문제를 정면으로 마주하기보단 약간의 위기를 모면하기 급하고 다른 사람들이 해결해 가는 과정에서 묻어가는 성향이 있는 반면 현실직시를 똑바로 보고 그것이 옳지 않다했을 때 바른 말 하는 사람도 있기 마련이라 이 책에서 나오는 돈키호테의 성정이 바로 작가인 세바스찬의 인생과 어느 정도 동일시 된 생각을 내포하고 있지 않았나 하는 생각을 하게했다.
작가가 말했듯이 풍차를 보고 적이란 생각으로 무찌르려는 , 무모함 속의 그 속 깊은 뜻은 악의 근원임을, 주막을 성이라고 착각하는 돈키호테 곁에 산초라는 현실형의 바른 말 사나이가 있음으로 해서 균형의 묘미를 더하지 않았나 싶다.
어릴 때 접한 책 인연 이후론 이 책에 대한 생각을 까맣게 잊고 있었다.
그런데 서영은 작가는 이 기행에세이를 하면서 다른 종류의 돈키호테 책을 접했고 내가 미처 몰랐던 사실들, 일테면 세르반테스의 개인적인 일생의 불행했던 부분, 세금징수원으로서 양심적인 행동 뒤에 감옥에 갇혔던 사실들과 함께 영국에서 문학적인 보물이 셰익스피어라면, 아마도 스페인의 문학적인 보물은 바로 세르반테스의 돈키호테가 아닐까 싶다.
전 작품이었던 "노란 화살표 방향으로 걸었다"에선 종교를 가진 순례자로서 걷기를 통한 고행의 길을 깨달아가는 과정과 내면의 폭발적인 고통과 평온, 그리고 산티아고의 여러 곳의 여정의 표시인 노란 화살표가 독자들의 뇌리에 같은 공감을 일으켰다면 이 책에선 곳곳에 돈 키호테가 걸어간 발자취 하나하나를 더듬어 문학 작품 속에 나오는 대사와 현장에서의 같은 몰입도를 제공해주고 있다고 봤을 때 이런 문학기행 에세이가 좀 더 많이 나왔음 싶었다.
허당이었다고 생각했지만 결코 허당이 아니었고 어쩌면 현대에 들어와서도 이런 자신의 소신을 굽히지 않는 행동을 하는 사람들을 보기가 힘들어지는 세상에 당시의 종교적인 색채가 두드러지게
지배를 하고 있던 세상에서 이런 돌출행동 자체가 튀었을 인물로 부각 되어진 돈 키호테란 인물이 이런 매력적인 등장인물이었나 하는 생각을 해 보게 된다.
“굳게 믿는다는 것이 뭔 줄 알아요? 바윗덩이가 눈앞에 있다 해도 미망을 깨치고 싶은 내 결의 앞엔 그것도 악한으로 보일 지경이야. 당장 내가 맞서야 하는 미망은 옛 자아. 관습대로 살아온 타성이야. 내게 검이 있다면? 아니 이미 펜이 검으로 바뀌었지만, 그 검으로 내가 저 악의 현시를 향해 돌진한다면, 그것은 관습을 완전히 떨쳐내지 못한 나의 옛 자아야” -<거인들의 출현>中
산초와 더불어서 기묘한 부조화 이면서도 조화를 이룬 두 사람간의 앙상블이 연일 정겹게 느껴지는 것도 아마 현대에 들어서 이런 조화를 보기 어려운 점도 있으리라.
책을 읽으면서 정말 부러웠던 점은 이런 문학적인 태동에서 나온 작품이 여행의 한 테마로 이어질 수 있었단 점이다.
돈키호테가 걸어갔던 여정 속에 간간이 세르반테스의 감옥이며 결혼 증명서, 곳곳에 조형물의 모습과 함께 신부님과 함께 미사를 볼 수도 있었던 여유로웠던 기행 에세이가 잘 보전된 점을 비교해 볼 때 우리도 이런 훌륭한 소설가의 문학작품을 테마로 정해서 작가와 작가가 나타내고자 했던 작품의 세계를 외국인들에게 널리 알릴 기회가 많이 왔으면하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작은마을 하나하나에도 돈 키호테의 냄새가 물씬 풍기는 엽서와 한 폭의 그림같은 사진이 곁들여져 있어서 비록 같이 동행은 못했지만 작가와 같은 종교를 가진 사람들이라면 더욱 그 의미를 되새겨 종교와 함께 어울릴 수 있는 좋은 기회로, 기타 다른 사람들이라면 그 여정을 같이 따라 가는 것 자체가 하나의 다른 여행보다는 뜻 깊게 남을 에세이 겸, 여행안내서로도 손색이 없을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