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폼페이 - 판타스틱 픽션 블랙 BLACK 4-1 ㅣ 판타스틱 픽션 블랙 Black 4
로버트 해리스 지음, 박아람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7년 9월
평점 :
품절
요즘에도 한창 활화산으로 활동하고 있는 화산들이 많다.
몇 일전만해도 화산활동의 예정으로 인근의 주민들이 대피했단 타국의 소식을 들으면서 다시 한 번 자연의 위대함과 어떤 근접 할 수없는 두려움마저 느끼게 된다.
폼페이_
어릴 적 읽었던 "폼페이 최후의 날" 이란 책을 읽었던 기억과 영화로도 반영이 되었던 탓에 익숙한 지명, 그리고 로마사에서 꼭 들어가는 역사의 한 현장이자 자연의 무서움과 그 피해를 여실히 오늘 날에도 느낄 수 있는 곳이다.

(발굴된 폼페이의 한 유적 모습)
언론인 출신으로 유명한 제목을 들은 독자라면 이 책에 관련된 또 하나의 생생한 역사를 느낄 수있지 않을까 싶다.
대대로 수도기사란 칭호로 불리는 아쿠아리우스로 불리는 집 안에서 활동하는 아틸리우스는 로마에서 근무하다 아우구스타 수도교 관리를 하란 명을 받고 캄파니아로 내려오게된다.
오랜 기간 동안 책임자로 근무했던 엑솜니우스가 어느 날 갑자기 행방을 감추면서 그 자리를 대신해서 일하러 오게 된 아틸리우스는 노예출신으로 17년 전 폼페이에서 일어난 지진을 기반으로 모두가 도망친 사이 그 빈 지역을 이용해 돈을 불리고 자신의 주인의 집마저 차지한 암플리아누스의딸인 코렐리아의 부탁으로 아버지와는 정 반대로 억울하게 어장을 잘못 관리해 죽음에 처하게 된 노예를 구하기 위해 그 노예의 잘못이 아님을 밝혀줄 수있는 책임자를 찾다가 아틸라우스를 집으로 데리고 오게 되면서 암플리아누스와 첫 만남을 갖게된다.
파이프에 유황냄새가 난 것을 확인한 아틸리우스는 곧바로 기적의 저수지라 불리는 피스카나 미라빌리스에 들어가 수위를 조사한 결과 수량이 급격히 줄어들고 있음을 알게 된다.
재빨리 수문을 닫으란 명을 내리게되고 , 뒤이어 놀라에 지역에서 온 사람으로부터 물이 안나온다는 소식을 받게된다.
자신의 독단으로 수문을 닫은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해군 총사령관이자 저술가인 플리니우스를 만나러 가게되고 그 곳에서 플리니웃는 아티리우스에게 고장난 물의 근거지를 찾아 고칠 것을 허락하한다.
아우구스타 수도교가 책임지고 있는 총 9개의 지역에서 물이 점차 단수가 되고 있는 지역 가운에 물이 나온다는 폼페이를 겨냥, 그 곳까지 가게 된 아틸리우스는 그 곳에서 암플리우스의 거주지를 알게 되고 그가 또 다른 목욕탕 건설과 아틸리우스에게 동반 사업에 동참 할 권유를 하게 되지만 거절, 베수비오산으로 향한다.
아버지가 아틸리우스를 죽일 계획인 것을 알아챈 코렐리아는 그 사실을 알리러 가게되고, 그러는 사이 아틸리우스는 드디어 아우구스타의 본 뿌리인 수도관에 들어가 모진 고생을 하면서 잘못된 사실을 밝혀내고 처리를 해 나간다.
베수비오산의 화산폭발이 일어나기까지의 4일간의 과정을 그린 이 책은 고대 로마의 철두철미한 인프라 시설이 한치도 모자람이 없는 철두함을 엿 볼 수가있다.
-토양에 스며든 유황, 유독가스가 고여있던 웅덩이들, 땅의 흔들림, 수도 본관을 끊어놓은 융기현상, 수원이 모두 기어들어가던 일 등을모조리 얘기하고 이것들이 모두 합쳐져서 최고조를 이룬 것이 바로 산 정상의 폭발이었다고 말했다. -p 381
그러나 사람들은 아틸리우스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자연의 한 현상으로 치부하게 되고, 그런 와중에 화산이 폭발하면서 아비규환의 생생한 현장의 묘사를 이룬다.
모두가 도망가는 사이 17년 전의 혜택을 생각하고 있는 암플리우스, 그저 노예였지만 그에게 집도 빼앗기고 그의 딸과의 결혼을 함으로써 다시 집을 찾을 수있단 허황된 꿈을 갖고, 정계에 진출하기 위해 암플리우스의 재력에 빠져나오지 못하는 포피디우스를 비롯한 관리직들의 부패한 삶의 묘사, 육체적인 거대함 때문에 자신의 힘으론 거동조차 못하지만 학구열에 불타 훌륭한 작품을 남긴 플리니우스 같은 대조적인 인물들, 암플리아누스이 거래에 협력해 돈을 모으고 자취를 감춘 엑솜니우스 같은 사람들의 묘사를 통하여 작가는 자연이 이런 현상을 내뿜어 내는 과정과 결과엔 인간들 자신이 최고라는 자만심과 문명화 라는 것은 결국 인간이 패배할 수밖에 없는 냉혹한 전쟁이다 라는 문구를 통해 반성을 하게 한다.
그런 와중에 보석과 거리의 값나가는 동상들, 돈이 될 만한것들이라면 죽음의 그림자가 다가오고 있음에도 여전히 욕심을 버리지 못하는 탐욕에 찬 인간들의 행동들을 보여주는 한편, 화산폭발의 전초 과정과 마그마가 뿜어나와 폼페이라는 도시는 물론 그 인근의 도시까지 흔적조차 쓸어버린 진행형의 묘사과정, 그 화마가 물러난 후의 죽음의 도시를 묘사한 문장들은 바로 곁에서 생생히 보는 듯한 착각을 일으킨다.
-사람들의 머리카락과 옷가들을 순식간에 태워버린 불길은 산소부족으로 인해 금세 사그라들었다. 돌풍이 지나간 자리에는 높이가 2미터 가까이 되는 고운 재가 소리없이 내려와 도시를 덮쳤고, 변을 당한 희생자들의 본이라도 떠놓은 듯 그들의 몸을 감쌌다.
이 잿더미는 그대로 굳어졌으며, 그 위에 또 다시 경석이 떨어졌다. 본을 뜬 공간 안에서 시체들은 썩어갔고 수백 년이 지나면서 그곳에 도시가 존재했다느 기억도 함께 썩어갔다. 폼페이는 그렇게, 완벽하게 본이 떠진 '텅 빈' 시민들의 도시가 되었다. 그 모습을 재현해보면 서로 껴안고 있거나 혼자 움츠린 모습으로, 옷이 완전히 벗겨져 날아갔거나 머리 위까지 끌어올려져 있었고, 부질없이 가장 좋아하는 물건을 움켜잡고 있거나 허공을 움켜쥐고 있었다. 모든 것들이 지붕 높이의 허공에 정지한 채 존재하고 있었던 것이다. -p452~453

(폼페이에서 발굴된 물건들)

(화산의 폭발로 그 모습 그대로 죽은 채 유지된 모습으로 발굴된 시체)
자연은 위대하고 그 한 가운데에 차지한 한 인간이 갖는 자만심에 경고를 내리는 , 어찌보면 지금의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와도 전혀 다를 바 없는 시대를 묘사한 이 작품은 다시 한 번 자연의 무분별한 훼손은 이제 그만~ 같이 공존하고 살아가야함을 일깨워주는 책이다.
개봉예정작인 영화 "폼페이"와 비교하면 좋을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