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즈의 의류 수거함 - 제3회 자음과모음 청소년문학상 수상작 ㅣ 자음과모음 청소년문학 40
유영민 지음 / 자음과모음 / 2014년 3월
평점 :
요즘 길거리나 주택단지, 아파트 단지 내에서 쉽게 접할 수있는 것이 녹색의 의류수거함이다.
그 안엔 헤져서 입지 못해 버리는 옷 보단 사실, 유행에 뒤떨어지거나, 싫증이 나서 수거함에 넣는 경우가 대부분 다반사로 행해지는 일일것이다.
나 또한 짐 정리를 통해서 이런 경우에 해당하는 옷이나 신발들을 넣어 본 경험이 있기에, 이 책을 접했을 때는 과연 의류수거함, 그것도 오즈라는 말이 붙은 제목부터가 끌리는 것에 동심의 세계로 돌아간 시간이었다.
본명이 도로시인 여고생은 외고 진학에 실패하고 가족의 서운함을 뒤로 한 채 의기소침해 빠져 자살 카페에 들어가 자살을 시도하지만 이마저도 퇴짜를 맞고 다시 생각한 것이 지옥과도 같은 입시를 피하고 낙원이라 생각된 호주로 이민 갈 결심을 한다.
하지만 이민을 가려면 돈을 마련해야하는 실정, 우연히 눈에 뛴 의류수거함에 눈을 돌리게 되고 이후부터 방과 후에 도서실 직행을 하면서 다시 심야의 밤 시간대에 옷을 통에서 수거하는 일을 하게된다.
재활용 옷을 다시 리폼해서 고객에게 파는 마녀의 집 주인인 마녀와 의기투합해서 돈을 나눠가기게 되고 이 일을 하면서 노숙자씨, 탈북 주민 카스 삼촌, 그리고 의류수거함에서 건진 강아지 토토, 폐기물 줍는 할머니, 숲이란 음식점의 마마까지, 그 모든 소중한 인연의 만남을 갖게된다.
어느 날 자신이 이름 붙인 의류수거함 195호에서 발견한 일정한 어느 한 사람이라고 생각되는 상장과 사진첩, 그리고 자살을 앞두고 있다는 뜻을 알게 된 이름 모를 195호를 알게 된 도로시는 그와 만나기 위해 일정시간 편지를 주고 받게 되면서 그의 자살 시도를 막으려 애를 쓰게 된다.
동화 오즈의 도로시는 여기저기 다니면서 자신이 만나는 모든 것들을 통해서 함께 웃고 떠들며, 긍정의 밝은 이야기로 끝을 맺는 성장동화이다.
책 제목에서 어느 정도 차용이 된 제목 그대로 한국 여고생 도로시는 숨막히는 입시 전쟁에서 일단 자신이 원했던 외고 진학에 실패를 한 학생으로 나온다.
학교 내에서 조차도 눈에 보이지 않는 성적 위주의 계급이 형성되고 있는 막막한 현실 앞에서 그녀 자신은 이런 고민 할 필요도 없는 낙원이라고 생각되는 타국의 이민을 꿈꾸면서 도둑질이란 것을 하게 되지만 이런 행위를 통해서 오히려 도로시는 한층 성숙된 성장을 하는 기회가 된다.
어른들 세계도 그 나름대로의 힘에 부치는 힘겨운 하루하루의 생활을 해 나가고 있다는 것을 곁에서 지켜보게 된 아버지, 자신이 행해오는 행동이 결국은 동물을 죽일 수밖에 없다는 현실에 노숙자 생활을 자처하며 떠돌아 다니는 숙자씨, 탈북민이란 시선에 곱지 않은 눈길과 정착이란 힘에 부딪쳐 같이 의류를 뒤지는 카스 삼촌, 누군가에게 버림 받은 강아지 토토까지, 모두 현실에선 외면당하고 외면하고, 버림받은 사람들이자 동물로 나온다.
이런 같은 느낌의 사람들이 모여 마술같은 의류수거함이란 아지트를 통해 서로가 보듬어주고 같이 생각해 주며, 195호 남자아이의 자살을 막으려 애를 쓰는 과정이 따뜻하게 그려진다.
연예인들의 봉사활동를 접하는 영상을 보게 될 때가 있는데, 그들 중 어느 탈렌트가 한 말이 생각난다.
-봉사, 봉사 하는데요, 사실 제가 그 사람들에게 봉사를 한다기보단 그들이 필요로 할 때 제가 조금이나마 도움을 줄 수있다는 데서 제가 오히려 마음의 위안을 받습니다. 사실, 이기적인 말일 수도 있는데, 이런 봉사활동을 하고 오는 날이면 제 마음속 한 켠의 빈 자리가 가득 차 있는 것을 느끼게 되고 , 잠시나마 나쁜 생각이 들었던 때라도 이를 극복할 수있는 치유의 방법이 봉사활동이란 것을 알게됬죠.-
위의 연예인 말처럼 도로시도 처음엔 자신만의 목적을 위해 행한 행동이 이젠 행동반경과 마음의 병이 타인을 바라보고 행동을 실천함으로써 자신의 병든 맘을 치유하는 동시에 타인도 같은 병을 고치게 될 것이란 희망적인 메세지를 지루함의 전개 없이 산뜻하게 글을 쓴 점이 눈에 뛴다.
학생들이 쓰는 유행단어라든가, 각기 아픈 상처를 건드리지 않으면서 신경을 써주는 등장인물들의 설정이 가족보다 더 가족같단 느낌을 준다.
지금의 어려운 지옥입시와 각종 시험에 시달리는 청소년 대상의 책이라지만 사회인의 눈으로 볼 때도 한없이 마음이 푸근해지는 책이다.
-"처음 의류수거함을 털기 시작할 때는 이 일을 오직 돈벌이로만 여겼어. 그런데 시간이 지나며 알게 되었지. 의류수거함에는 헌옷만 들어 있는 게 아니란 것을. 그 속에는 만남, 고민, 즐거움, 같은 것들도 함께 들어 있었어. 내게는 그것이 헌옷보다 훨씬 더 소중해." -p 157
자신이 원하는 바가 무언인지 어렴풋이 알아가는 한 소녀의 성장기이자, 주변의 외롭고 쓸쓸한 사람들이 때론 웃음과, 울음이 들어있는 이야기를 어두운 "밤'이란 시각대를 이용해서 오히려 반전의 시각으로 볼 수있는, 차분히, 그러나 읽고 난 후엔 가슴 한 켠이 뭉클해지는 어떤 것이 올라오게 하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