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허삼관 매혈기
위화 지음, 최용만 옮김 / 푸른숲 / 2007년 6월
평점 :

한창 어려웠던 시절에 우리가 생각하는 아버지 상은 어떤 기억으로 남아있을까?
요즘 '국제시장''이란 영화를 통해서 당시 어려웠던 시절에 조금이라도 가족들을 위해 생계책임을 지고 열심히 살아 온 한국의 아버지 상을 표현해 낸 작품이 인기다.
당시 산업일꾼이란 명칭으로도 불렸던 배고프고 힘든 시절을 영상으로 통해 본 , 초로의 아버지를 둔 세대들은 강한 아버지상을 추억하며 아버지란 존재에 대해 생각해 볼것이며 당사자인 그 현장의 아버지들은 새삼 당신이 살아 온 인생을 회고하는 느낌을 받으면서 그 시절을 되새겨볼 것이다.
시대는 그런 상황에 처한 인간들을 한계의 끝까지 몰아부치는 가운데 '가족'을 이끄는 선장의 책임감을 지게 한 그러한 때가 있었다.
허삼관이란 인물을 통해 만나고 나서도 그런 느낌을 받았다.
중국의 장이머우 감독이 연출하고 궁리가 주연을 맞은 영화 인생을 통해 익히 알고 있던 차, 이번에는 한국의 하정우와 하지원 출연의 영화로도 각색이 되어 나온 작품을 책으로 만난다.
배경이 중국이고 작가가 태어난 나라이니 만큼 자세한 당시의 사회환경 묘사는 당연하다 하겠지만 인간이 지닌 고통과 그 고통마저도 스스럼 없이 받아들여만 했고 살아가는 허삼관이란 인물을 통해 다시금 연민의 정을 느끼게 한다.
갖춘것이 별로 없는 허삼관은 삶아서 익히지 아니한 명주실인 생사 공장에서 누에고치를 대주는 일을 하는 노동자로서 살아간다.
그런 그에게 어느 날 삼촌으로부터 전해들은 이야기는 귀를 번쩍 뜨이게 만든다.
바로 피를 팔아서 번 돈이 현재 자신이 일하고 있는 일에 대한 보수보다 좋다는 사실.
우리의 허삼관은 바로 피를 팔러 달려간다.
그렇게 모은 돈으로 간이식당에서 일하는 허옥란을 아내로 맞아들이고 아들 삼형제를 낳는다.
일락이, 이락이, 삼락이...그 이름도 정겹게 지은 허삼관은 주위로부터 자신의 첫 아들인 일락이가 좀체 자신을 닯지 않았다는 의심스런 말을 귀담아 듣지 않지만 그것이 사실은 진실이었단 사실에 아내에 대한 배신(사실 아내도 원해서가 아닌 강제성격으로 당한 것이기에 할 말은 있을 터...)과 일락에 대한 차별을 두게 된다.
그렇지만 모질지 못한 우리의 허삼관-
일락이가 간염에 걸리자 다시 피를 팔러 나가게 된다.
이런 일에 피를 팔게 되고 저런 일에 피를 팔러가게 되고...
낳은 정보다 기른 정이 무섭다고 일락이를 내치면서도 다시 등에 업고 돌아오는 허삼관을 누가 미워할 수있을까?
한 번 피를 팔면 몇 일을 관리해야함에도 허삼관은 그럴 수가 없는 삶의 현장을 묵묵히 받아들인다.
자신이 처한 극한의 상황까지도 위트와 유머, 속없는 웃음기와 안타까움을 모두 드러내게 하는 위화라는 작가의 글을 읽는 동안 내내 책을 놓을 수가 없다.
비단 책 속의 허삼관의 모습만이 보여지는 것이 아닌 비록 우리나라와는 상황이 다르다 할 지라도 인간이 살아가는 사회와 세상엔 그저 그날이 평범하게 지나갈 수있다는 사실 하나만으로도 얼마나 행복한지를, 아버지란 이름으로 불려진 그들 , 사내라 불리는 남정네들에 대한 노고를 생각하지 않을 수가 없게 하는 책이기 때문이기도 했다.
사회의 어느 한 부분으로 밀려날 때처럼 힘든 것도 없다.
마음은 그렇지 않은데 사회가 보는 시선이 그렇지 않다고 내칠때의 슬픔과 같이 허삼관이 더 이상 피를 팔고 싶어도 거절을 당했을 때, 자식들조차 부끄럽다고 내칠 때 그의 곁엔 미우나 고우나 자신을 알아봐준 아내 허옥란이 있다는 사실은 ,어쩌면 세상은 살아가는 한 순간 한 순간 힘에 겨울지라도 행복한 순간도 있기에 이 모든 것을 이겨내고 살아 갈 힘을 얻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게 한다.
웃고 있어도 울음이 나게 만드는 이 소설이 지닌 매력은 한 가정의 가장으로서 여기저기 부딫치고 수없이 깨지는 불운의 연속의 삶을 살아가는 허삼관이란 인물의 투영을 통해 다시금 가족의 소중함을 여실히 깨달아가면서 읽게 되는 책이란 생각을 하게 만든다.
***** [한우리 북카페에서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