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프랑스 책방
마르크 레비 지음, 이혜정 옮김 / 노블마인 / 2008년 8월
평점 :
절판


절친한 두 친구인 앙트완과 마티아스의 사랑을 찾아가는 이야기와 함께  두 아이를  키우는 싱글 파파로서의 실질적인 생활도 곁들여 있어서 재밌게 읽었다. 기존의 책에서 처럼 공상적인 이야기가 아닌 어디서나 부딫칠수 있는 우리들 곁에서 볼 수 있는 일이기에 친근감이 들었다. 앙트완의 설득에 과감히 프랑스를 등지고 영국 런던으로 온 마티아스는 헤어진 부인과의 사이를 다시 회복하고자 하는 맘도 있어서 런던내 노신사가 운영하던 서점을 인수하고 앙트완과 벽을 허문다음 세가지 원칙을 세워서 한 지붕 두 가족의 동거가 시작이 된다. 자신의 진심을 몰라주는 앙트완에 대한 사랑 표현 방식을 편지를 대신 해서 쓰게 하는 소피의 사랑법 , 새로운 여인 오드리를 사랑하게 된 마티아스의 사랑 방식에서 서로는 서로에게 진정 자신이 알지 못했던 점들을 일깨워주며 다시 잃어버리지 말것을 충고해 준다. 결국 고소공포증을 용기있게 맞서  나아가서 내딛는 마티아스와 다시 프랑스로 가서  사랑을 찾는 오드리와의 사랑확인법, 소피의 진실된 사랑을 찾으려는 앙트완의 사랑찾기는 읽는 내내 웃음이 나온다. 두 아이들의 앙징맞은 편지 공세법이나 일기장에 적는 느낌 표현법은 입가가 절로 미소짓게 만들어 진다. 서양 사람들의 헤어진 인연에 대한 쿨(?)한 사랑방식도 여전히 주된 감정선을 이루고 있고... 영화가 되었다고 하는데, 국내에서도 보고 픈 맘이 든다. 서점. 꽃집. 카페. 건축사무실. 좁은 공간에서 만나고 벌어지는 사람들의 사랑 소통방식일 싱그런 생각이 들었다. 유쾌하게 읽은 기억이 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도원의 죽음
C. J. 샌섬 지음, 나중길 옮김 / 영림카디널 / 2008년 11월
평점 :
품절


시대가 지금의 영국 국교가 된 성공회가 생기게 된 헨리 8세와 교황청과의 다툼 , 그 속에서 수도원에서 일어난 사건을 토대로 곱추 형사가 추적을 해 나가는 스릴러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읽으면서 장미의 이름을 지우기가 어려웠다. 배경이 된 수도원, 수도사, 그 안에서 일어나고 있는 사건의 방식이 너무나 비슷했다. 결론은 장미의 이름에 비해 허술한 전개 방식이 눈에 띈 점이다. 물론 에코가 쓴 글은 기호학자 답게 다방면으로 주석을 달아서 깊이가 있지만 이 소설은  그냥 한 추리소설의 한 형식을 취하고 있어서 내 경우엔 글쎄... 손에 땀을 쥐어가면서 읽어지진 않았다. 다만 그 시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풍속이나 풍경 인물들의 묘사는 뛰어나다고 생각한다. 영국인이 자국에서 벌어질 만한 이야기를 가지고 다뤘단 점도 이점이 되리란 생각이 든다. 연작시리즈로 이어진다면 한 편의 영화로 만들어진다면 좋을 것 같은 소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리데기
황석영 지음 / 창비 / 200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시 황석영 작가는 이 시대가 낳은 위대한 작가중 하나다. 전래동화인 바리데기 공주 이야기를 빌어서 북한의 현실과 자유를 찾아 떠나 영국으로 까지 흘러 새로운 인생의 삶을 시작하는 우리의 바리를 빗대어 우리 역사를 재조명한 솜씨가 나도 모르게 가랑비에 옷 젖듯이 서서히 동화가 되어가게끔 만든다.  간간이 유머가 있어서 웃음 속에 슬픔을 알게 하는 글 솜씨는 타의 추조을 불허한다. 순수한 바리가 할머니와 이별하는 장면에선 하염없이 눈물이 흐르고 보이지는 않지만 어디선가에서도 지켜주는 신이 있단 믿음은 우리의 전통적인 주술적인 면도 보여지고 있어  새로왔다. 소설 형식을 빌려서 우리의 현실을 접목시켜 쓴 글이 인상에 남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살아야 한다 나는 살아야 한다
마르틴 그레이 지음, 김양희 옮김 / 21세기북스 / 2009년 2월
평점 :
품절


처음에 신문에서 광고를 보고 골랐다 제 2차 세계대전의 홀로코스트는 알고는 있었지만 이렇게도 생생하게 생명의 소중함과 그 속에서 굴하지 않고 살아야 한다는 굳은 인간의 승리에 우선 경의를 표한다 . 주인공 자체가 갖고 있는 성격상 가만있지 못하고 주어진 상황에 수긍해서 살아간다기 보단 그 속에서 끊임없이 자신을 채찍질 하며 목표를 설정해 살아나간 점이 인상적이다.  그 공포속 수용소에서 탈출하는 과정은 한 편의 영화를 보는 것 같은 소름이 끼쳤다 어떻게 인간이 그런 상황속에서 , 목숨을 담보로 그럴 용기가 생겨난것인지, 또한 , 인분이 가득한 화장실에서의 살아야 한다는 아버지의 뚯을 기억해 내며 견디는 장면은 압권이다. 인간의 목숨은 천명이란 생각이 이 주인공을 보면서 들었다. 물론 개인이 그러한 노력을 수없이 했지만, 넘어지면 다시 일어나는 오뚝이와 똑같은 생각이 들었다. 유대인 특유의 상술과 끊임없이 역사의 사실을 후세에게 전해주고자 하는 의식 또한 본받을 만 했다. 가족을 모두 잃은 악조건 속에서도 불굴의 의지로 다시 회생하는 주인공에겐 역경 자체가 하나의 일상생활인 듯 했다. 소설 같은 이야기가 실제 역사속에서 행해지고 그 속에서도 "살아있다는 사실 자체가 희망"이라는 메시지는 두고 두고 가슴을 울릴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음 가는 대로
수산나 타마로 지음, 이현경 옮김 / 자음과모음 / 2003년 2월
평점 :
절판


여든의 할머니가 외손녀에게 자신의 지나온 얘기를 편지로 쓴 이야기 형식이다. 미국으로 간 손녀에게 자신의 삶과 손녀의 엄마이자 자신의 분신인 죽은 딸에 대한 비밀을 지나온 인생의 선배이자 앞으로 세상과 부딪쳐 겪어나가야 할 인생의 다채로운 얘기를 따뜻한 시선으로 그려지고 있다. 반항적인 손녀에게 자신의 지나온 삶을 담담히 써 내려간 편지는 결코 인생이 만만하진 않다는 사실과 자신이 겪어온 경험에 비춰 충고를 해 주고 있다. 정이 없는 남편과의 생활속에서 진정한 한 사람을 만나지만 여건상 맺어질 수 없고 그 와중에 태어난 아이가 자신의 딸이란 사실도 밝히기 까지 할머니는 시종 담담히 시냈물 흐르듯 글을 써 내려간다. 작가의 삶의 철학이 비쳐지는 부분도 얼마간 있는것 같고, 아주 담백한 문체로 글을 구성 한 것이 이채롭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