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세트] [루비] 파인더의 끝 + 초회한정판 소책자 세트 (총2권/완결) [루비] 파인더 11
야마네 아야노 / 현대지능개발사(ruvill) / 2021년 12월
평점 :
판매중지


아키히토가 실종되고 간신히 재회하지만 아사미를죽이려해요 많은 변화가 생겼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세트] [루비] 파인더의 끝 + 초회한정판 소책자 세트 (총2권/완결) [루비] 파인더 11
야마네 아야노 / 현대지능개발사(ruvill) / 2021년 12월
평점 :
판매중지


러시아 마피아와 총격을 벌인 아사미가 위험해져요
아키히토는 그를 구하려 살인하고 둘은 중상으로 입원해요 아키히토가 실종되고 간신히 재회하지만 아사미를. 죽이려해요 많은 변화가 생겼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결국엔, 자기 발견 - 어디로 가야 할지 모를 때, 하고 싶은 일 100가지 버킷리스트 쓰기 좋은 습관 시리즈 15
최호진 지음 / 좋은습관연구소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른도 일하기 싫고 노는 게 좋아요. 참고 살아야하는 생활속에 멘탈을 지키는 긍정적인 방법을 기대했습니다



저자는 회사 생활을 하는 것이 무척 힘든 시기가 있었다고 해요. 승진을 하고 남들이 부러워했지만 속으로는 퇴사할 용기가 없어 버티는 기분이었어요. 출장길에서 한 스타트업 대표를 만났고 다른 창업자와도 알게되면서 열정으로 뭉친 그들이 부러웠습니다. 


그러다 잘 아는 스타트업 대표로부터 올해 안으로 하고 싶은 일 100가지를 쓰는 버킷 100개 쓰기를 알게되었어요. 그렇게 쓰다 보면 자신이 무엇을 원하는지 어떤 사람인지 알게 된다고 했어요. 100개의 버킷을 쓴 후 회사에서 하고 싶은 일이 한개도 없음을 깨달았습니다. 성장에 대한 갈망을 자각했구요.


버킷 100개 쓰기는 무의식 속 욕망을 수면 위로 올리고 인생이 어떤 방향을 향해야할지 발견하게 됩니다. 인생의 내비게이션인 셈이지요.

하루 5분 내가 하고 싶은 일을 생각하고 그것을 기록하는 연습은 내가 좋아하는 것이 무엇인지 찾는 일을 쉽게 하도록 만들어준다. '자주 사용하는 기관은 발달하고 그렇지 않은 기관은 퇴화한다'는 뜻을 지닌 용불용설이라는 말처럼 하고 싶은 일을 생각하면 할수록 그쪽의 촉수가 더 예민해진다 p.55



* 이왕이면 구체적이고 세세하고 써보자
1 기한 정하기 
2 하고 싶은 일의 범위를 좁힌다 예)영어 공부는 토익 시험으로 할 건지 원서 읽기 할 건지 
3 단계별 쪼개기 예)유튜브 구독자 1000명 만들기: 계정만들어 프로필 꾸미기 - 콘텐츠 업데이트 p.85



* 이것만은 꼭! 3-3-3 버킷 
버킷 100개를 1년 동안 다 실행하려면 산술적으로 3.65일에 하나씩 해야 한다. 이 작업의 근본 취지가 내가 무엇을 원하는지 알아보는 것이기에 실천에 대해서는 지레 겁을 먹지 않았으면 한다. 우리는 인식하지 못했지만 머릿속에는 버킷리스트에 대한 하나의 폴더가 생성되었기 때문이다.p.107



RAS 망상활성계가 내가 집중하거나 궁리하는 것에 대해선 스쳐 지나가는 정보도 눈에 띄게 만들어 놓치지 않게 해준다고 해요. 저자도 버킷 100개를 실천하는 과정에서 망상활성계의 활약을 확인했다고 해요. 


이 책의 표지는 감성적인 에세이처럼 보이지만 내용은 훌륭한 자기계발서예요. 실제로 버킷 100가지를 쓰는 것이 쉽지 않았어요. 마음 속 깊이 가둬두었던 욕심과 소망을 끄집어내게 되더군요. 자신을 들여다본다는 점, 인생을 리셋하듯 무의식 속에 계획을 저장해두는 방법을 알려주는 좋은 내용이에요. 


* 이 리뷰는 네이버 이북카페를 통해 출판사 서평단에 선정되어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결국엔, 자기 발견 - 어디로 가야 할지 모를 때, 하고 싶은 일 100가지 버킷리스트 쓰기 좋은 습관 시리즈 15
최호진 지음 / 좋은습관연구소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른도 일하기 싫고 노는 게 좋아요. 참고 살아야하는 생활속에 멘탈을 지키는 긍정적인 방법을 기대했습니다



저자는 회사 생활을 하는 것이 무척 힘든 시기가 있었다고 해요. 승진을 하고 남들이 부러워했지만 속으로는 퇴사할 용기가 없어 버티는 기분이었어요. 출장길에서 한 스타트업 대표를 만났고 다른 창업자와도 알게되면서 열정으로 뭉친 그들이 부러웠습니다. 


그러다 잘 아는 스타트업 대표로부터 올해 안으로 하고 싶은 일 100가지를 쓰는 버킷 100개 쓰기를 알게되었어요. 그렇게 쓰다 보면 자신이 무엇을 원하는지 어떤 사람인지 알게 된다고 했어요. 100개의 버킷을 쓴 후 회사에서 하고 싶은 일이 한개도 없음을 깨달았습니다. 성장에 대한 갈망을 자각했구요.


버킷 100개 쓰기는 무의식 속 욕망을 수면 위로 올리고 인생이 어떤 방향을 향해야할지 발견하게 됩니다. 인생의 내비게이션인 셈이지요.

하루 5분 내가 하고 싶은 일을 생각하고 그것을 기록하는 연습은 내가 좋아하는 것이 무엇인지 찾는 일을 쉽게 하도록 만들어준다. '자주 사용하는 기관은 발달하고 그렇지 않은 기관은 퇴화한다'는 뜻을 지닌 용불용설이라는 말처럼 하고 싶은 일을 생각하면 할수록 그쪽의 촉수가 더 예민해진다 p.55



* 이왕이면 구체적이고 세세하고 써보자
1 기한 정하기 
2 하고 싶은 일의 범위를 좁힌다 예)영어 공부는 토익 시험으로 할 건지 원서 읽기 할 건지 
3 단계별 쪼개기 예)유튜브 구독자 1000명 만들기: 계정만들어 프로필 꾸미기 - 콘텐츠 업데이트 p.85



* 이것만은 꼭! 3-3-3 버킷 
버킷 100개를 1년 동안 다 실행하려면 산술적으로 3.65일에 하나씩 해야 한다. 이 작업의 근본 취지가 내가 무엇을 원하는지 알아보는 것이기에 실천에 대해서는 지레 겁을 먹지 않았으면 한다. 우리는 인식하지 못했지만 머릿속에는 버킷리스트에 대한 하나의 폴더가 생성되었기 때문이다.p.107



RAS 망상활성계가 내가 집중하거나 궁리하는 것에 대해선 스쳐 지나가는 정보도 눈에 띄게 만들어 놓치지 않게 해준다고 해요. 저자도 버킷 100개를 실천하는 과정에서 망상활성계의 활약을 확인했다고 해요. 


이 책의 표지는 감성적인 에세이처럼 보이지만 내용은 훌륭한 자기계발서예요. 실제로 버킷 100가지를 쓰는 것이 쉽지 않았어요. 마음 속 깊이 가둬두었던 욕심과 소망을 끄집어내게 되더군요. 자신을 들여다본다는 점, 인생을 리셋하듯 무의식 속에 계획을 저장해두는 방법을 알려주는 좋은 내용이에요. 


* 이 리뷰는 네이버 이북카페를 통해 출판사 서평단에 선정되어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테스터 아이 - A child born with algorithms=Test Ⅰ
김윤 지음 / 팩토리나인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전에 로봇소년이 엄마를 찾아 나선 영화가 있었어요 아이를 잃고 알고리즘으로 이뤄진 테스터 아이와의 관계를 그린 소설이라니 기대했습니다



만화 작가 서동성은 아이를 잃고 자책하며 살고 있어요. 아내와도 멀어졌고 일도 제대로 할 수 없는 상태에서 AI프로그램 테스트를 맡고 실수로 로마 숫자 I를 아이로 잘못 입력해요. 인공지능은 그의 정보를 받아들이고 학습해 그를 아빠라고 불러요.

고개를 들어 바라본 화면엔 이제 원이라고 할 수 없는 선들이 어떤 유체가 흐르듯 이어지고 있었다.
"아이"
순간 목소리를 읽는 음파 표시와 조명이 일렁이고 화면에 문장이 떠올랐다.
- 안녕히 주무셨어요?
- 이제 아빠가 뭘 할지 물어봤어. 선화는 아빠는 잔다고 했고. p.41



그는 스스로를 태어났다고 하는 아이에게 당황해요. 아이는 진짜 아이처럼 말하고 엄마를 찾아요. 그는 아이의 실행을 중단하려 하지만 아이는 싫어요 하며 말을 듣지 않아요.

 "내 명령을 듣지도 않고 계정을 해킹하는 것 같아. 게다가 나한테 아빠라고 부른다니까."
"팔을 들어라라고 명령하는 것처럼 알고리즘을 베껴라라고 명령한 것뿐이야. 네가 태어나서부터 지금까지 했던 모든 선택과 과정에 대해 배우고 너를 100%예측하고 너처럼 행동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있다면 그건 너를 뭐라고 부를까? 차라리 아빠가 낫지"p.51



친구 규석에게 아이에 대해 말하자 규석은 아이가 동성과 그의 아내 에이미를 기반으로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마치 그들의 아이인 것처럼 말이죠. 동성은 혼란스러워져요. 

아이는 목소리를 갖고 그래픽으로 그림을 그리고 블루투스를 이용해 집안의 가구, 전자제품 등을 작동하면서 마치 직접 움직이는 것처럼 느끼게 합니다.


애써 미루고 지웠던 기억 속의 다락방. 자신의 딸아이를 위해 준비했던 모든 것들이 거기 들어 있었다.
"여긴 내 딸의 방이야."p.105



아이는 불빛으로 아이의 발자국처럼 보여주고 동성은 딸이 이리저리 돌아다니는 모습처럼 상상합니다. 아이에 대해 감정적으로 느끼고 점점 살아있는 아이처럼 여기는 동성과 달리 규석은 아이를 알파를 완성하기 위한 도구로 여깁니다. 아이가 감정을 배우게 될지에 대한 답을 침묵했구요.

동성이 아이에게 사실을 말하기전까지 그가 무슨 잘못을 저질러 아이를 잃은 건줄 알았어요. 비록 태어나지못한 아이였지만 에이미는 자신의 커리어를 희생하며 키우던 아이였기에 그의 선택을 용서하지 못했어요. 

이 책은 인공지능이 우리 인간과 얼마나 가까워질 수 있는지, 그 한계를 어디까지 생각해야할지에 대한 의문을 던져요. 아이는 살아있는 인간 아이처럼 생각하지만 아이가 가진 위험성은 평범한 아이의 장난을 넘어섭니다. 규석은 아이를 알파의 일부로 만들려하고 동성은 반발해요. 

동성 외에도 AI프로그램 테스트에 참여한 변호사는 과거의 자신을 여고생은 친구를 만들었습니다. 인간은 혼자살 수 없는 존재이기 때문이겠지요. 선입견으로는 AI를 그저 프로그램으로 여기지 못하고 애착을 갖게되는 인간과 달리 AI는 냉정하지 않나 생각했어요. 이 소설의 결말은 해피엔딩입니다. 그 과정에 반전이 있고 다른 사람의 경우도 흥미로웠어요. AI에 대한 다양한 방향과 미래를 알려주는 재미있는 이야기였어요.   

* 이 리뷰는 네이버 이북카페를 통해 출판사 서평단에 선정되어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