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떻게 경제적 자유를 얻을 것인가 - SK바이오투자센터장 이동훈의 투자 수업
이동훈 지음 / 해냄 / 2021년 12월
평점 :
돈이 많으면 선택의 폭이 넓어요. [어떻게 경제적 자유를 얻을 것인가]에서 부자되는 길잡이를 기대했습니다.

저자는 리먼 브러더스 사태나 팬데믹처럼 세계경제의 큰 변동에도 투자수익을 거두어 경제적 자유를 얻도록 장기적 투자를 위한 생각과 행동의 근육을 키워준다고 합니다.
*재정 독립을 위한 단계적 접근
1. 연령대별 실천 전략
20대 : 투자 경제 금융 산업의 기본적 메커니즘 학습
30대 : 소액투자 경험
40대 : 이론과 실전 반복으로 나만의 규칙화
50대 : 진정한 투자
60대 : 증식된 자산 매각
2. 2단계 실천 전략
- 이륙 가능성에 확신 단계
- 투자 경험 통해 안정적인 부를 이루는 단계 p. 49-50

전략적 자산 배분은 현금, 주식, 채권, 부동산 등 투자 대상들의 비율을 정하는 거예요. 전술적 자산 배분은 정해진 주식의 배분율 안에서 투자할 산업이나 실제 종목을 선택하는 겁니다. 자신이 희망하는 포트폴리오 투자의 수익률을 거두는 것은 전략적 자산 배분의 방법에 따라 70%가 좌우됩니다. p.109

이 책은 실제 투자 사례를 들어 성공담과 실패담을 전해줍니다. 쉽게 돈을 버는 것처럼 보이는 부동산에도 실패가 있고 원금이 보장된다고 생각한 펀드에서도 글로벌 금융위기와 같은 상황에서는 손실을 봤어요.
주식을 한다면 장기적으로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제국 기업을 선택하라고 합니다. 페이스북, 아마존, 애플, 넷플릭스, 구글 등 소위 FAANG은 전 세계를 장악하고 있어요. 이런 기업들의 특징을 알려줍니다.
- 제국의 확장 : 기술 기업, 스타트업, 유사 플랫폼 기업을 M&A로 편입
- 원가 경쟁력 : 외주 제작, 데이터 센터 활용 등으로 비용 최소화
- 희소성 : 애플 신제품 마니아 대기줄처럼 제국 일원임에 자부심을 느끼게 함
- 식민지 보유 : 아마존은 아마존웹서비스 보유. 다른 사업 손실도 강력한 캐시카우가 이익을 거둬 경쟁력을 키움 p.212

주식 부동산 외에도 다른 투자 대상도 소개합니다. 비상장주식은 희로애락을 겪으며 함께 성장할 각오를 해야하구요. 개인도 투자조합 형식으로 49명 이하 사람들이 자금을 모아 스타트업 기업에 투자할 수 있고 자본력이 있으면 사모펀드에 일정 규모 이상을 투자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비상장주식은 해당 산업의 전망을 고려해야하고 창업자와 팀의 역량이 무척 중요해요.사업모델, 자본 시장 상황, 투자 목적도 분명히 해야 하구요. 열 건에 한 건 정도의 성공률이지만 그 과정에서 다양한 인적 네트워크와 경험을 쌓을 수 있어요.
MZ세대에게 유행하는 아트 투자에 대해서도 알려 줍니다. 그외 사모펀드, 디지털 자산처럼 흔하지 않은 투자 정보도 다루고 있어서 시야를 넓혀줘요. 투자는 유행따라 휩쓸려 다녀도 오래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주관을 지키도록 도와주네요.
* 이 리뷰는 네이버 이북카페를 통해 출판사 서평단에 선정되어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