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관계의 불안은 우리를 어떻게 성장시키는가 - 하버드 심리학자와 소아정신건강전문의가 밝혀낸 불화에 대한 혁명적 통찰
에드 트로닉.클로디아 M. 골드 지음, 정지인 옮김 / 북하우스 / 2022년 5월
평점 :
상대의 진심을 알 수 없으니 나중에 상처입는 것이 두려워 거리를 두게 되네요 관계 불안이 우리를 성장시킨다니 어떤 해석인지 기대되었습니다

이 책의 저자는 발달신경과학자이자 임상심리학자와 소아정신과 교수예요. 그런 이유로 책의 내용은 아이의 심리분석에 대한 분량이 많아요.
후천적으로 획득한 특징은 잘 유전되지 않는다고 생각했어요. 이 책에서 언급한 다윈의 이론에 따르면 DNA 염기쌍에 나타난 돌연변이가 번식하고 번성하여 다양한 종을 만들어냅니다. 더 나아가 1944년 네덜란드 겨울 기근과 아우슈비츠를 통해 후성유전학에 대해 말해요.
1944년 네덜란드 겨울 기근으로 알려진 시기에 네덜란드에서는 2차 세계대전이 끝날 때까지 2만 명 넘는 사람들이 기아로 사망했습니다. 이 기근기에 임신되어 출산된 아이들에겐 흥미로운 사실이 있었어요. 성인기에 이르렀을 때 그들의 체중은 평균보다 몇 킬로그램 더 나갔고 콜레스테롤 수치와 사망률도 높았어요. 자궁 안에서 특정 유전자가 기근 환경에 적응하여 변화 발현하는 후성유전적 과정이 일어난 때문이라고 합니다. 태아가 미래에 식량이 부족하리라 예상하여 대사 속도를 늦게하는 몸이 되었고 풍부한 환경에서는 오히려 비만과 대사 문제가 일어났다고 해요. p.83

이 책에는 심각하고 어려운 이론이나 예만 있는게 아니라 아주 친근하고 재미있는 예가 있어요.
영화 조스의 주제곡을 들으면 두려움과 위협을 느끼게 됩니다. 반면 인기 동요 아기 상어는 도입부에선 조스 주제곡의 멜로디를 흉내 내지만 금세 밝은 분위기로 바뀌어요, 상어 가족을 하나하나 호명한 다음 살았다 뚜루 뚜루로 마무리하는 가사도 안전함을 나타내구요. 저자는 이 노래에 위협에서 안전함으로 넘어가는 보편적 경험이 담겨있다고 해석합니다. p. 153

예전보다 많은 사람들이 수면제, 우울증 치료약 등의 정신과적 약물에 의존하고 있어요. 마약성 약물에 중독된 젊은이들은 많은 나라에서 큰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무표정 실험을 통해 관계가 마련해주는 안전 지지대가 없으면 사람이 자기 자신에 대한 감각 자체를 잃을 수도 있다는 결과를 말합니다. p.286

이 책에선 무표정 실험이라는 생소한 연구의 결과에 대해 중점적으로 말합니다. 어린 아이는 부모와의 관계가 불안하면 존재 자체에도 불안함을 느낄 수 있다는 말이 슬프게 느껴져요. 타인과 관계를 맺어가며 안정 속에 살기위한 방법이 무엇인지 아주 오랜 연구를 통해 모은 결과로 말하니 설득력 있어요. 최근 트렌드를 다뤄 고리타분하지 않고 재밌어요.
* 이 리뷰는 네이버 이북카페를 통해 출판사 서평단에 선정되어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