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균 쇠 (무선 제작) - 무기.병균.금속은 인류의 운명을 어떻게 바꿨는가, 개정증보판
제레드 다이아몬드 지음, 김진준 옮김 / 문학사상 / 2005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필자의 리딩 인생에 있어서 큰 충격을 준 도서가 몇권 있는데, 첫번째가 앨빈 토플러의 '제3의 물결' 이고 이어서 손꼽을 수 있는 것이 바로 제레드 다이아몬드의 '총.균.쇠' 이다. 저자는 인류 문명이 어떻게 발전하게 되었는지를, 세 가지 주제에 천착해서 쉽게 풀어내고 있다. 서양이 지금의 눈부신 --지배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정도로-- 발전을 이룩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인가? 왜 어떤 민족은 다른 인종과는 달리 찬란한 문명을 창조해낼 수 있었는가? 이러한 의문, 너무나 광범위해서 감조차 잡히지 않는 주제를 매우 실증적으로 다루고 있는 책이다. 차근차근 읽다보면 저절로 고개를 끄떡이게 될 것이다.

1998년 퓰리처 상을 수상한 이래로 20여년 가까이 되었지만, 아직도 베스트 셀러의 순위안에 드는 수작이다. 훗날 이 책은 고전의 반열에 들지 않을까 짐작해본다. 아뭏든 98년은 외환위기로 수많은 서민들이 고통을 당하고 있던 때였다. 그러한 시름을 잠시나마 잊게 해준 서적이었다. 당시로는 독서를 할만한 여유가 되지 못했고, 상당한 시간이 지난 후에 읽게 되었는데 과연 퓰리처상을 수상받을만 하다는 판단이 들었다.

한편 2005년에 개정판이 나오면서 한국과 일본에 대한 내용이 끝 부분에 첨가되었다고 한다. 이 부분은 아직 내가 접하지 못한 부분이다. 그동안 사는데 치여서 말이다. 이제 어느 정도 시간이 생겨서 다시 한번 읽어보고도 싶고, 덧붙여진 파트는 특히나 유심히 살펴볼 생각이다. '한일관계' 이 단어 속에 얼마나 많은 의미가 담겨있는가?

 

아뭏든 각설하고,
책 내용중에서 작금의 현실과 관련하여 음미해 볼 만한, 몇 가지 구절을 소개해볼까 한다.


지배자가 평민들보다 안락한 생활을 유지하면서도 대중의 지지를 확보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고금을 막론하고 도둑 정치가들은 다음 네 가지 해결책을 혼합하여 사용했다.

첫째, 대중을 무장해제하고 엘리트 계급을 무장시킨다.

둘째, 거둬들인 공물을 대중이 좋아하는 일에 많이 사용하여 재분배함으로써 대중을 기쁘게 한다.

셋째, 무력을 독점하여 공공질서를 유지하고 폭력을 억제함으로써 대중의 행복을 도모한다.

넷째, 도둑 정치가가 대중의 지지를 얻는 마지막 방법은 도둑 정치를 정당화하는 이데올로기나 종교를 구성하는 것이다. 그들은 스스로를 신격화하거나 신의 혈통을 내세웠으며 적어도 신들과의 직통전화가 개설되어 있다고 단언했다.


어떠한가? 마키아벨리가 갈파한 것과 상당히 비슷하지 않은가? ㅜ.,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Willy Ronis 55 (Paperback)
Paul Ryan / Phaidon Inc Ltd / 2002년 4월
평점 :
품절


도판의 크기는 가로크기가 30센티미터 정도하고 세로길이는 40센티미터 정도한다. 총페이지수는 150쪽을 약간 넘으며 모두가 흑백사진으로 만들어진 하드커버의 사진집이다. 종이재질은 두껍고 광택이 나는 사진용지를 사용했다. 파리를 배경으로 풍경과 결합된 인물을 촬영했는데, 매우 정감어린 시선을 담고 있다. 광각렌즈를 주로 사용한 듯 싶은데 화면구성이 매우 대담하면서도 간결하고 흥미롭게 배열되어 있다.

 

가령 'les plongeurs de la Ciotat, 1947' 이라는 작품을 보자. 엄청나게 큰 배의 앞부분을 화면 가득하게 찍었다. 쇠사슬로 만든 닻줄이 중앙에 3가닥으로 나와서 바닷물 속에 잠기고 있다. 우측으로는 조그맣게 닻줄 2개가 보인다. 그리고 그 닻줄 위에서 꼬맹이 두녀석이 바닷물로 점프를 하고 있다. 한 녀석은 상반신이 완전히 물속에 잠겨서 입수하는 장면이고 --필름 카메라의 순간 포착이 놀랍다-- 또 다른 녀석은 닻줄에서 두 손을 높이 치들고 이제 막 점핑을 하는 순간이다. 사람이 닻줄에 올라가서 뛰어내릴 정도라면 이 화물선의 크기를 대충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ㅎㅎㅎ

 

닻줄을 쇠사슬처럼 연결한 부분이 사람 머리의 2배는 족히 될 듯 싶다. 그리고 우측 배경으로는 항구의 정박시설이 살짝 보인다. 좌측에는 또다른 배의 측면이 살짝 보이고 말이다. 이 사진 하나만으로 본전은 뽑을 듯 싶다. 또다른 재미난 포착은 'repos du cirque pinder, 1955' 라는 사진이다. 아마도 서커스에서 도망나온 것 같은데....펭귄 세 마리가 길거리를 배회하고 있다. ㅋㅋㅋ, 배경으로는 큰 저택의 기둥이 2개 보이고 문이 활짝 열려있다. 더 안쪽으로는 나무들과 백마를 탄 사람이 보이고 강인지? 바다인지 모를 큰 물이 수평으로 가로질러 있다. 길옆에 눈이 쌓인것으로 봐서는 겨울이다.

펭귄녀석들이 산책을 나온 모양이다. 두리번거리며서 바다쪽으로 세마리가 옹기종기 걸어가고 있다. 유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Aleksandr Rodchenko (Hardcover) - Painting, Drawing, Collage, Design, Photography
Alexander Rodchenko / Museum of Modern Art / 1998년 9월
평점 :
품절


로드첸코는 다방면에 걸쳐서 예술활동을 했던 인물이다. 조각가이면서 화가이기도하며 그래픽 디자인도 겸하고 사진도 찍었으니 말이다. 이 책은 그의 작품을 비교적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는 일종의 안내서 겸 포트폴리오라고 할 수 있다. 도판의 크기는 가로길이가 30센티미터 조금 안되고, 세로 크기는 35센티미터를 충분히 넘는다. 두껍지만 광택이 거의 없는 모조지를 사용했으며, 총페이지수는 200쪽이 약간 안 된다. 텍스트는 3단 편집되어 있으며 서두에 카달로그 비슷하게 설명과 함께 작업사진과 환경, 어떻게 만들었는가? 스튜디오 작업은 어떤가? 등이 소개되어 있다. 그리고 중간쯤에가서는 그 작품을 촬영한 사진과 함께 매우 자세한 텍스트가 붙어있다.

영어와 독일어로 쓰여져있으며, 필자의 관심사인 사진파트는 후반부에 10여장 나온다. 그런데 주로 자신의 예술작품을 만들기 위한 원목의 가공을 촬영한 것이 대부분이다. ㅎㅎㅎ 그런데 가공된 목재가 그렇듯이 이것이 배열되어 있으면 묘한 조형미를 느낄 수 있다. 혹여나 목재소에 가본적이 있으신가? 한의원에 가면 특유의 약재냄새를 맡을 수 있듯이, 목재소에서도 특유의 냄새가 난다.

그런 내음이 풍기는 사진들이다. 이 책에서는 그의 사진보다는 조형물이 주가 되므로, 사진에 대한 평은 어떻게 하기가 어렵다. 그러나 로드첸코에 대한 정보를 보면 러시아의 구성주의를 대표한다고 나와있다. 그래서인지 그의 작품에서는 길게 연결되다가 소실점으로 사라지는 사진들이 많이 보여진다. 화면을 가로지르는 선들이 구성을 간결하고 대담하게 만들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Kate Moss by Mario Testino (Hardcover)
마리오 테스티노 지음 / TASCHEN / 201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필자가 마리오 테스티노의 사진집을 처음 본 것은 alive.

2페이지에 걸쳐서 한장의 사진이 인쇄되어, 펼치면 책상 한 가득 차지아면서 눈 맛이 시원한 사진집이다. 가로길이가 30센티미터 정도하고 세로높이는 40센티미터에 이른다. 하드커버이며 종이 재질은 두껍고 광택이 나는 사진용지를 사용했다. 출력형식 때문에 페이지수는 표지되지 않으나 대충보니 250쪽 정도 하는 것 같다. 후반에 각 사진에 대한 인덱스가 나와 있다. 주로 인물사진이며 약간의 풍경이 삽입되어 있다. 이중에 필자가 알아볼 수 있는 유명 영화배우가 한 명 있다. 바로 기네스 펠트로, 제목이 'Gwyneth Paltrow, Vanity fair oscar party' 라는 사진이다. 오스카 상을 탄 펠트로가 그 트로피를 들고 환호하는 모습을 찍었다. 앵글을 보니 테스티노의 키가 무척 큰 거 같다. 펠트로를 약간 내려다보면서 찍은 것이기 때문이다. 아니면 연단이나 계단등에 올라가서 촬영한 것일까? 아뭏든 그래서 다리가 짧아보인다. ㅎㅎㅎ 하여간 환하게 웃으면서 환호성을 지르는 펠트로의 기분이 잘 드러난 사진이다. 그밖에 스페인 투우사들을 촬영한 사진도 몇 장 나온다. 그런데 우리가 흔히 보는 투우장이 아니라, 그 사전준비를 하는 장면이다. 사진가는 이래야 한다. 남들이 흔히 찍는 사진은 별다른 감흥을 주지 못한다. 흔한 사진이기 때문이다. 대상물을 다른 각도에서 진부하지 않은 시선에서 바라볼 수 있어야 좋은 사진이 나온다. 한국에서는 사진촬영 포인트라고 해서, 유명 관광지에 조성해 놓은 전망대가 있다. 이런곳에서 찍은 같은 구도의 사진이 수두룩하게 나오는데 식상하기 그지없다. 아마추어라면 모르지만 프로는 달라야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Juergen Teller (Hardcover, 1st) - Vivienne Westwood : Spring Summer 2008
Juergen Teller / Steidl / 2008년 10월
평점 :
품절


필자가 유르겐 텔러의 사진집을 처음 본 것은 Go-Sees.

보통 책자 크기의 컬러 사진집이다. 총페이지는 450쪽 가량하는데 페이지가 안 나와 있어서 대충 가늠해 볼 뿐이다. 사진의 내용은 인물사진이 전부이며 제목만 달랑 붙어 있다. 그것도 여성만 촬영했는데 모델의 이름과 찍은 날짜만 나온다. 특이한 것은 같은 장소에서 인물만 바꿔가면서 찍었다는 점이다. 아마도 작가의 아뜰리에나 스튜디오 같은데, 그 입구를 중심으로 촬영했다. 재미난 사진을 소개해보자. '22nd septembre 1998 Melissa Silver' 라는 이미지인데, 금발에 녹색눈을 가진 여성이 카메라를 향해 서 있다. 얼굴이 크게 클로즈업 되어 있으며 --입을 벌려 뭔가 소리를 지르는 듯한 액션을 취하는데-- 아랫입술을 까뒤집어서 보여주고 있다. 그런데 거기에 검은색으로 문신이 새겨져있다. 글자를 새겨놓은 것인데 무슨 뜻인지는 잘 모르겟다. ㅎㅎㅎ 아니 그럼 이 문신을 다른 사람에게 보여줄 때마다 아랫입술을 까 뒤집어야 한다는 얘기가 아닌가? 그렇다면 이빨 사이에 고추가루가 끼지 않게.....아니지 이건 아니지 서양인은 고추를 먹지 않으니....하여간 또다른 사진을 소개해보자면, 제목이 29th september 1998 Domenique' 이다. 빨간색 상의에 금발, 검은색 스타킹과 미니스커트를 입고 여인네가 물구나무를 서고 있다. 그리고 그 상태에서 다리를 좍 벌려서 카메라를 향하고 있다. 그것도 길거리에서 말이다. 배경으로는 작가의 스튜디오 문 짝이 보이고, 그 옆으로 자동차 2대가 보인다. 이런식으로 작가의 아뜰리에에서 밖을 내다보며 처자들을 찍은 사진이 인쇄되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