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na Modotti (Paperback)
Tina Modotti / Silvana / 201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녀의 풀 네임은 아순타 아델라이데 루이지아 모도티 몬디니.Assunta Adelaide Luigia Modotti Mondini. 아이구 길기도 하다. 그래서 간단히 줄여 티나 모도티라고 한다. 이탈리아 태생이며 1896년에 태어나 1942년에 사망했다. 20세기를 살다 간 여인네인데 당시의 시대상을 감안해보면 여류 사진가는 흔치 않은 시절이었다. 사진가 뿐만 아니라 모델과 배우로서도 활약했다.

티나는 20세기 사진예술의 거물 에드워드 웨스턴의 연인이었다. 이들의 만남은 당시에 선세이셔널 했었는데, 웨스턴이 아내와 세 아이를 버리고 티나와 함께 멕시코로 떠났기 때문이다. 그런데 모도티는 이탈리아 태생의 화가 루베 드 라브리 리체이(Roubaix de lAbire Richey)의 아내였다. 이 둘은 만나자 마자 사랑에 빠졌다고 하는데, 남편의 장례식을 핑계로 멕시코로 휭~. 예술가의 기질은 때로는 이처럼 보통 사람의 상식을 뛰어넘기도 한다.

가만있어보자. 예술가만 그럴까? 아니다. 남녀관계를 평범한 사람이나 유명한 사람이나 상관없이 오묘한 화학적 반응을 이끌어 낸다. ㅎㅎㅎ 아뭏든 필자가 처음 접한 모도티의 책은 사진전문 출판사인 PHAIDON 에서 문고판 사진집이었다. 도판의 크기는 가로세로가 30센티미터 정도하며 총 페이지수는 120여쪽이다. 모두 흑백사진이며 두껍고 광택이 도는 사진용지를 사용했다. 좌측에는 사진의 제목과 간단한 텍스트가 나오고 우측에 사진이 배열되어 있다.

아뭏든 평범하지 않은 일생을 살던 티나는 이후 러시아로 도피하여, 스탈린의 비밀경찰로 암약하던중에 멕시코의 한 택시 안에서 죽었다고 한다. 이러한 이력때문에 그녀의 사진중에는 '망치와 낫 1927' 이라는 사진도 남아있다. 그렇다. 바로 소련의 국기에 그려져있는 바로 그 상징을 촬영한 것이다. 이 책에는 이 사진이 2개 포함되어 있는데, 하나는 그저 평범한 바닥에 낫과 망치가 있는 것이고 또 다른 한장은 멕시코 모자위에 망치와 낫이 놓여져 있는 것이다. 한편, 생전의 그녀는 에드워드의 그늘에 가려서 크게 이름을 떨치지는 못했지만, 사후에 그녀의 평가는 180도 달라지게 된다. 그리하여 1925년에 그녀가 찍은 '장미' 원판이 1999년에 소더비 경매장에서 16만 5천달러에 팔리게 된다. 우리나라 돈으로 2억원이다. 지금의 물가와 비교하면 거의 2배는 되는 가격이 아닐까? ㅎㅎㅎ. 아뭏든 그녀는 처음에 웨스턴의 모델겸 조수로 있다가 그에게 사진기술을 배워, 불과 수년 만에 당대의 정상급 사진작가와 같은 경지에 이르게 된다. 물론 이것은 후대의 평가이지만, 그만큼 예술가로서의 바탕이 없었으면 이름을 남기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In Focus: Edward Weston: Photographs from the J. Paul Getty Museum (Paperback)
Brett Abbott / J Paul Getty Museum Pubns / 200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에드워드 웨스턴은 미국 태생의 사진가다.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나 16살 때 생일선물로 받은 코닥카메라로 사진을 시작했다고 한다. 그리하여 20세기 초에 미국 사진계에 큰 영향을 준 인물이다. 웨스턴의 가장 유명한 작품은 'Nude 1936' 이라는 작품이다. 필자가 보기에 이 사진은 살바도르 달리의 오마주가 아닐까 한다. 필자의 착각인지도 모르겠으나 이 사진을 볼때마다 쉬르레알리즘의 대표 예술가 살바도르 달리가 떠오른다. 아뭏든 이 사진이 왜 그렇게 시선을 잡아끄는지는 모르겠으나 볼 때마다 마음에 든다.

그래서 웨스턴의 사진집을 여러권 들여다보게 되었는데, 2번째 접한 것이 LIFE WORK 였다. 가로세로 길이가 40센티미터에 달하는 매우 두껍고 큰 하드커버의 사진집이다. 총 페이지 수는 240쪽 정도이며 이미지와 텍스트가 6대4 정도의 비율로 섞여있다. 종이재질은 두껍고 광택이 나는 사진용지와 모조지를 혼합해서 사용했다. 즉, 사진이 인쇄된 부분은 아트지, 글자가 나온 부분은 모조지. 인물과 정물, 풍경, 클로즈업, 누드 등의 사진이 옴니버스 형식으로 나열되고 있다. 인상적인 화면을 소개해보자면, 'plate 23: Grinding Maize, 1926' 라는 사진이다. 한 여인네가 돗자리에 앉아 치마를 입고 하얀 상의을 입은채로 검은 머리를 곱게 따서 뒷모습을 보여주고있다. 허리에는 주름진 띠같은 것을 매고 있으며, 그 허리 아래로 이어지는 치마도 주름이 지어져있다. 밑으로 갈수록 넓게 펼쳐지는데 아마도 멕시코의 전통 의상인 것 같다. 배경으로는 건물의 외벽이 보이면서 창문인지 출입구인지 모를 구조물이 살짝 보인다. 그래서 마당인지 길거리인지 잘 구분이 안 간다. 아뭏든 네모난 보도블럭위에 돗자리를 깔고 앉아 있는데, 제목이 없었더라면 기도하는 여인? 이라고 착각할 수도 있겠다. 옥수수를 갈고 있는 처자인데 정작 옥수수나 그라인더는 전혀 보이지를 않는다. ㅎㅎㅎ 옥수꾸 쪄도 먹고 구워서 먹고, 이렇게 가루를 내어서 빵에 섞어 먹어도 좋은 작물로써 원산지가 남아메리카. 이처럼 뒷모습을 촬영한 이미지가 많이 나오는데, 누드라고 해서 예외는 아니다. 그이 대표작인 'Nude, Charis Wilson' 이라는 작품이 어떻게 탄생했는지 그 나머지 스틸컷을 확인할 수 있다. 한번에 되는 것은 없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Jeff Wall (Hardcover, Complete ed)
Thierry De Duve / Phaidon Inc Ltd / 2009년 11월
평점 :
품절


캐나다 벤쿠버 태생의 제프 월은 대형의 사진을 많이 찍었는데, 그 영향은 벨라스케스의 영향을 받아서이다. 큰 캔버스가 주는 시각적인 효과, 그리고 미술가들이 자유롭게 표현하는 인물의 배치나 구성등을 사진이라는 매체로 시각화하였다. 사진을 찍는 다는 행위는 그냥 드러난 현실에 셔터를 누르면 되기는 한다. 그러나 제프는 여기에 치밀한 연출을 가미해서 2미터가 넘는 대형의 사진을 많이 찍었다고 한다. 누군가가 말했더라? 사진은 연출이라고 말이다. 그래서 그의 작품을 볼 때마다 한편의 영화 스틸컷을 보는 듯 하다.

필자가 처음 제프 월의 사진집을 본 것은 figures & places이다. 총 페이지 수가 200쪽을 조금 넘는 하드커버의 사진집이다. 도판의 크기는 가로세로 길이가 30센티미터 정도 한다. 종이재질은 두껍고 광택이 도는 사진용지와 무광택의 모조지가 혼합되어 있다. 그의 작품은 연출을 가미하여 유머러스하고 코믹하면서도 기괴한 컬트적인 상황을 만드는 것이 특기다. 후반부에 그가 이런 상황을 어떻에 만들었는지도 보여주는 제프 월의 설명서라고 봐도 되겠다. 마치 성룡의 영화에서 엔딩 크레딧이 올라가면서, 촬영할때 실수담을 보여주는 것처럼 말이다. 그이 대표작이라고 하면, 이 책에서는 2페이지에 걸쳐서 인쇄된 'dead troops talk(a vison after an ambush of a Red Army, near Moqor, Afghanistan, winter 1986)' 라는 제목을 가진 사진이다. 정말로 바로크 시대의 컬트영화의 한 장면 같다. 폐허가 된 산자락아래에 --방금 전투를 치른듯함-- 군인들이 십여명 누어있다. 대부분 부상을 입고 있어서 얼굴과 온몸이 피투성이가 되어 있다. 어떤 이는 배가 갈라져 창자가 빠져나오는 것을 손으로 막은채로 또 다른 군인을 깔고 앉아 있다. 밑에 깔린 남자는 얼굴에 핏물이 흐르면서 고함을 지르는지 입을 벌리고 있다. 그리고 그 바로 앞에 고깃덩어리같은 빨건 생체조직을 집게손으로 들고, 깔린 남자에게 먹으라고 종용하고 있다. 이것이 쥐고기 인지 사람의 살점인지 모르겠으나 아뭏든 먹을 것을 갖고 놀리는 것인지 먹으라고 협박을 하는 것인지 애매하다. 이런식으로 현실에서는 볼 없는 --과련 그럴까? 전쟁이 터지면 충분히 있을 수 있는 일-- 판타지적인 상황을 연출하고 사진을 찍는다. 군복을 보아하니, 그리고 제목으로 미우러보건데,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을 표현한 것일 터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Kate Moss by Mario Testino (Paperback)
Duncan, Paul / Taschen / 201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제목 그대로 패션 모델 케이트 모스를 촬영한 마리오 테스티노의 사진집이다.  테스티노는 패션사진계의 거물이다. 페루 리마 태생이며 세계적인 유명인사들의 포트레이트를 주로 찍었다. 영국 왕실의 의뢰로 다이애너 황태자비와 영국 왕족들의 사진을 찍었으니 그의 실력과 유명세는 두말하면 잔소리가 될 것이다. 사진 장르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분야가 바로 인물사진이다. 풍경이나 패션, 아트 등도 있지만 우리나라나 외국의 사례에서 볼 때도 인물사진이 주류? 일 것이다. 왜 그럴까? 그야 뭐 사진을 찍는 것이 사람이니까 그렇겠지. 카메라를 손에 잡으면 가장 먼저 하는게 가족들 사진일 것이고 그 다음이 타인이니까 당연하다 할 것이다.

아뭏든 필자가 처음으로 접한 테스티노의 사진집은 'portraits' 였다. 말 그래도 인물사진인데 옴니버스 형식으로 그간 테스티노가 작업한 사람들이 주르륵 나온다. 가로의 길이가 35센티미터 정도하고 세로높이는 45센티미터에 이르는 하드커버의 사진집이다. 컬러 사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페이지에 걸쳐서 한 장의 사진도 간간이 나온다. 종이재질은 두껍고 광택이 나는 사진용지, 즉 아트지를 사용했다. 총 페이지 수는 200쪽을 조금 넘는다.

필자가 잘 모르는 사람도 있는데, 한번 보면 누구다 다 아는 인물들이다. 그 면면을 보자면, 줄리아 로버츠, 캐서린 제타 존스, 지젤 번천, 케이트 모스, 보노, 나오미 캠벨, 엘튼 존, 믹 재거, 맥 라이언, 카메론 디아즈, 니콜 키드만, 브리짓 폰다, 헤더 그레이엄, 자넷 잭슨, 커누 리브스, 케빈 베이컨, 셀마 헤이엑, 제프 골드브럼, 킴 베신저, 시고니 위버, 마돈나 등등이 나온다. 아참 여왕과 왕비도 나온다. 바로 요르단의 퀸을 찍은 사진이 있다. 아뭏근 이외에도 여러 인물사진이 인쇄되어 있으니 포트레이트에 관심있으신 분들은 한번 들여다 봐도 나쁘지는 않으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요제프 수덱 Josef Sudek 열화당 사진문고 25
이안 제프리 지음, 문광훈 옮김, 요제프 수덱 사진 / 열화당 / 200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세프 수덱은 체코 태생의 사진가다. 전쟁중에 오른 팔을 잃고서 왼쪽손으로만 사진을 찍었다. 삼각대에 연결된 무거운 중형카메라를 들고 베레모를 쓰고 사진을 찍었다고 한다. 생전에는 그다지 빛을 보지 못했는데, 나중에 사진 큐레이터에 의해서 재조명되었다. 사실 예술의 역사에 있어서 이런 일은 흔하디 흔한 일이다. 아뭏든 이런 신체적 제약에 의해서인지 정물들을 매우 사실적으로 촬영했다고 한다.

요세프 수덱은 체코 태생의 사진작가다. 전쟁중에 오른 팔을 잃고서 왼쪽손으로만 사진을 찍었다. 삼각대에 연결된 무거운 중형카메라를 들고 베레모를 쓰고 사진을 찍었다고 한다. 생전에는 그다지 빛을 보지 못했는데, 나중에 사진 큐레이터에 의해서 재조명되었다. 사실 예술의 역사에 있어서 이런 일은 흔하디 흔한 일이다. 아뭏든 이런 신체적 제약에 의해서인지 정물들을 매우 사실적으로 촬영했다고 한다.

필자가 수덱의 작품집을 처음 본 것은 열화당 사진문고에서 번역되어 나온 손바닥 만한 사진책이다. 한국의 이 출판사는 예술작품을 위주로 한 여러가지 좋은 책들을 펼쳐내고 있다. 원래 이 사진집은 세계적으로 이름난 PHIDON 출판사의 시리즈물인데, 열화당에서 번열출간하고 있다. 총 페이지 수는 120쪽을 조금 넘으며 모두가 흑백사진으로 꾸며져있다. 종이재질은 두껍고 광택이 나는 사진용지를 사용했다. 서두에 수덱에 대안 간단한 텍스트가 나오고 이후부터는 사진이 차지한다. 좌측에 그림에 대한 짧막한 설명글이 나오고 우측에 이미지가 배치되어 있다. 흥미로운 장면을 한 장 소개해보자. 제목이 '프라하의 한 거리, 1926경' 이라는 작품이다. 건물외벽에 마차가 놓여져있다. 마치 사다리에다가 바퀴만 닳아놓은 것처럼 생겼다. 그리고 그 위로 건물의 창문이 보이고 2개의 창문을 열려져있다. 아마도 황혼녘인 것 같다. 왜냐하면 창문의 그림자가 건물의 외벽을 따라서 아주 기~일게 늘어져있기 때문이다. 이 그림자와 마차의 방향이 같은 각도라서 푸근한 조형미가 느껴진다. 텍스트에는 다음과 같이 적혀있다. "다양한 범위의 섬세한 모더니즘적 요소들을 담은 이 같은 장면을 젊은 수덱은 분명 즐겨 찾았다. 이 요소들이란 얇은 널빤지를 대어 남든 손수레나 기하학적 모양의 작은 자갈, 단정한 유리창 칸막이 그리고 길게 던져진 그림자인데, 이들은 장면을 하나의 거대한 해시계로 변형시킨다. 사진의 모더니즘은 사실상 일종의 지도 제작 운동이어ㅒㅆ는데, 이 모더니스트들은 공간이란 지시 관계의 아르키메데스 점인 태양에 의해 그려진다는......." 이하 생략. 아하 거참 말 되게 어렵게 하네. ㅎㅎㅎ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