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목도감 - 원색
조무연 / 아카데미서적 / 198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포켓 사이즈(135mm x 195mm) 로 제작된 전형적인 도감이다. 각 페이지 별로 큼지막한 사진이 한 장 나오고 그 아래로 관련 정보가 수록되어 있다. 한편, 나무에 대한 도감이지만 사진은 주로 꽃이 핀 상태에서 촬영했다.  발간 년도를 고려해 볼때 사진의 품질을 평균은 넘지만, 여러각도에서 찍은 이미지(종자, 잎, 수피 등등)를 조그마하게 손톱그림으로 넣어줬더라면 하는 생각이 든다. 특이하게도 양 사이드와 아래 위로 여백이 조금 밖에는 없다. 휴대용임을 감안해 볼때 공간을 조금 확보했어야 할듯 싶다.


책의 내용을 살짝 들춰본다면,
풀또기. 함경북도 회령과 무산의 표고 100 ~ 400m 의 산록 양지에서 자라는 낙엽활엽관목으로 높이 3m 정도이며, 중국에도 분포한다. 추위에 강하고 생장과 맹아력이 좋으며 내염성과 내공해성이 있고 비옥적윤한 토양에서 잘 자란다. 내음성은 약하나 내건성은 보통으로 건조한 곳에서도 생장이 양호하다. 잎은 어긋나며 도란형으로 길이 3 ~ 6cm 이고, 잎 뒷면은 회록색으로 엽맥을 따라 백색털이 밀생하며 가장자리에 겹톱니가 있다. 꽃은 4 ~ 5월에 연한 홍색으로 잎보다 먼저 피고......생략.


이런식으로 핵심정보를 담고 있다. 그런데 텍스트 부분은 2단 편집을 사용해서 상당히 많은 내용을 수록했다. 바꿔말해 여러 화각에서 찍은 사진 대신에 풍부한 자료를 수록하고자 한 노력이 엿보인다. 앗? 혹시나 여백을 조금 밖에 주지 않은 것도 이런 이유에서 일까? ㅎㅎ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제주의 바닷말
이용필 지음 / 아카데미서적 / 2008년 3월
평점 :
품절


말 그대로 제주 인근해의 해초를 다룬 전형적인 도감이다. 도판의 크기는 A4(10 x 297mm) 이며 총 페이지는 약 500쪽에 이른다. 사진의 품질도 평균을 넘으며, 기준이 되는 표본을 찍었기에 자료로서의 가치도 상당히 높다. 사용된 종이는 두껍고 광택이 나는 도감용지(아트지)를 사용해서 뒷장이 비취지 않는다.


그동안 바닷말들은 식용으로 이용하는 종이 제한적이었는데 --특히나 서양은 해초를 거의 먹지 않으므로-- 앞으로 인구가 늘어나면서, 미래의 친환경 식량자원으로서의 가치가 매우 높다. 따라서 앞으로는 바다생물들과 해초를 가지고 경쟁을 해야 할 시절이 오게 될 것이다. 아니 그렇다면? 작물을 먹는 곤충들을 해충이라고 여겨 박멸의 대상으로 여겼던 인간들이, 해초를 먹는 바다 생물들은 뭐라고 부를까? 해어류? 해패류? ㅎㅎㅎ.


책의 내용을 조금 들춰보자면

,
탕건흐늘풀. 식물체는 붉은색이고 미끌미끌하며 원기둥모양이고 입체적으로 가지를 내어 다발을 이룬다. 가지는 드물게 잘록하며 좁은 각으로 가지를 내고 끝은 뭉툭하다. 피층의 투명한 세포는 크고 둥글지만 서로 밀려서 옆쪽의 세포벽은 거의 직선으로 된다. 정자낭은 가지의 끝에 모여나 탕건모양의 무늬로 나타나지만 흔히 그 가지의 끝에서 새로운 가지를 내기도 한다. 조간대 하부 및 조하대에서 자란다.


이런 식으로 간단하지만 핵심적인 정보가 수록되어 있다. 가만있어 보자. 우리가 지금 먹는 해초류가 뭐가 있을까? 가장 대표적인 것이 김, 미역, 우뭇가사리....음...이 정도 밖에 생각이 안난다. 바닷가에 사는 사람들은 이 밖에도 여러 해초를 반찬삼아 먹는데, 이런 식용 가능한 바닷말을 좀더 많이 개발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자원식물도감 - 원색
윤세영 / 아카데미서적 / 1995년 6월
평점 :
품절


600쪽이 약간 안 되는 두께에, 도판의 크기는 포켓 사이즈 A5[148×210mm],로 제작된 도감이다. 전형적인 도감인데, 각 페이지 당 한 개의 사진이 나오고 그 아래로 간단한 설명이 붙었다. 종이의 품질은 두껍고 광택이 나는 도감용지(아트지)를 사용해서 뒷 장이 비춰지지 않는다. 한편, 여러 화각에서 찍은 사진이 담겨졌더라면 해당 자원식물을 식별하기가 좀더 쉬었을 것 같다. 이 도감에서는 주로 식물의 꽃을 위주로 촬영했다.


책의 내용을 조금만 발췌해보자.
박쥐나무. 숲속 전석지에서 자라는 낙엽 관목, 작은 가지에 털이 있으나 곧 없어진다. 잎은 호생하고 사각상 심원형 또는 원형이며 나비가 각각 7~20cm로서 끝이 3~5개로 얕게 갈라지고 열편은 삼각형이다. 핵과는 난상 원형이고 길이 6~8mm로서 9월에 짙은 벽색으로 익는다. 재배는 꽃 모양이 독특하여 정원수목으로서 토심이 깊고 토양 수분이 충분한 장소에 심는다.


이정도 설명이면 대상 식물에 대한 핵심적인 정보는 거의 담긴 셈이라고 보여진다. 자원식물이 중요한 이유가 뭘까? 거대 다국적 기업의 이윤추구로 세상이 점점 험악해지기 때문이다. 세계 각국에서 유용한 식물을 가져다가 --마치 제것인양--특허를 등록하고, 그에 따른 막대한 이득을 취하면서......이미 TV다큐면터리를 통해서 다룬 내용이므로 더 이상 언급하지 않으련다. 우리나라도 피해국 중 하나이니 열 받는다. 아뭏든 가면갈수록 지구상의 인구는 계속 증가를 할 것이고 이에 따라 식량자원 확보에도 치열한 경쟁이 펼쳐질 것인바, 자원식물의 중요성을 일러 무삼하리오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의 농어아목 어류 - 동물자원편람 7
김익수 지음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2003년 10월
평점 :
품절


모조지(백상지)에 인쇄된 전공서적겸 도감이다. 도판의 크기는 B5(182 x 257mm)이며 약 300쪽에 이르는 두께를 가졌다. 보통의 용지인 모조지(백상지)로 만들었으며 국명과 더불러 영명, 일명이 간단히 나온다. 한편 사진은 뒤에 부록 형식으로 20여 페이지를 차지한다. 나머지는 농어류에 대한 상세한 텍스트와 비교를 위한 일러스트가 곁들여져있다. 특히나 이 도해는 농어아목 어류를 구별하기 위한 포인트를 제시하기 때문에 활용도가 매우 높다.


본문의 내용을 조금만 들춰본다면,
점주둥치. 몸과 머리는 좌우로 납작하고 체고가 낮고 긴 난형이며, 체장은 체고의 2.6~2.8배이다. 눈은 머리의 중앙보다 약간 위에 위치하고, 눈지름은 주둥이 길이와 비슷하다. 눈 앞의 위쪽 가장자리에 2개의 가시가 있다. 등지느러미는 1개로 극조부는 연조부보다 높고, 기조수는 8극 16연조, 뒷지느러미 기조수는 3극 14연조이다. 꼬리지느러미 뒤 가장자리는 안쪽으로 깊게 파여 있다.....중략......연안에서 무리지어 생활한다. 어미의 몸 길이는 약 8cm이다. 우리 나라의 남해안에 분포하고, 국외에는 일본 남부에 분포한다.


가만있어 보자. 많고 많은 어류도감 중에서 굳이 농어를 선택한 이유는 뭘까? 아마도 횟감으로 많이 먹기 때문이 아닐까? ㅎㅎㅎ 매콤한 초고추장에 찍어서 먹으면 그 맛이 기가막히지 않은가? 하여간 우리와 관련된 주변 생물에 대해 더 친근함을 느끼는 것이 인지상정인데.......음? 친근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대상물을 잡아먹는 것은 논외로 하자...ㅜ.ㅜ;; 필자도 어쩔 수 없은 인간이니까 말이다. 아뭏든 양식업자나 횟집 사장님도 한번쯤 읽어보면 좋지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담수조류도감
정용 / 아카데미서적 / 1993년 5월
평점 :
품절


양장본으로 만들어진 포켓 사이즈의 도감이다. 새를 소개한 조류도감이 아니고, 민물에사는 조류藻類를 말한다. 즉 원생생물계에 속하면서 광합성을 하는데, 너무 작아서 현미경으로 관찰해야하는 생물을 말한다. 그런데 요렇게 말하면 어렵구, 그냥 녹조류라고 말하면 금방 이해가 될 것이다. 저수지에서 대량발생해서 산소를 고갈시켜 물고기를 질식케 한다는 뉴스가 심심치 않게 보도되므로, 이렇게 말하는 편이 더 빠르다. ㅎㅎㅎ


아뭏든 도감은 다른 서적에 비해서 마이너장르인데, 그 중에서도 찾는 사람이 거의 없는 분야가 바로 이런 미세생물을 다른 분야일 것이다. 그래도 미래에는 조류가 인간의 식량자원이나 연료로 쓸 가능성이 있기에 놓쳐서는 안 된다. 무엇보다 연구하는 사람이 적어서 경쟁이 치열하지 않다는 것. 이것이 가장 매력적일 것이다.


책의 내용을 조금만 소개해 본다면, CLASS DINOPHYCEAE 와편모조 강.
조체는 단세로포 되어 영양체가 편모를 가지고 운동하는 것과 영양체에는 편모가 없는 것과 군체로 되는 것, 사상체로 되는 것 등이 있다. 조체의 기본형은 원형 또는 타원형이라 할 수 있으나 이밖에도 돌기를 가지는 것 등 다른 모양의 것도 많다. 세포의 주위에는 세포벽이 명확히 분화하며 횡구와 종구가 있고 이 홈에 따라서 각각 한개씩의 편모가 있다....중략... 못, 웅덩이, 늪에 서식하며 보통 3월경부터 출현하여 봄에서 여름에 걸쳐서 번식하는 것이 많으며 때로는 이상 번식에 의해서 물꽃을 형성하는 수도 있다.

라고 설명이 되어 있다. 한편, 이 도감은 서두에 20여 페이지에 걸쳐서 현미경 사진이 나오고, 약 절반 정도는 일러스트가 차지한다. 그리고 나머지 절반에 각 조류의 특징과 서식환경, 학명 등등의 관련정보가 수록되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