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천연기념물 - 노거수편
이경준 지음 / 아카데미서적 / 200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몇 년전의 베스트셀러인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에 비견되는 책이라고 보여진다. 이 책은 말 그대로 천연기념물로 등재된 큰 나무에 대해서 다루고 있는 책이다. 즉, 소재지, 지정일자, 관리자와 지정면적, 찾아가는 길 등등의 핵심정보와, 해당 나무에 대한 자세한 생태와 유래, 오래전의 기록 등이 꼼꼼히 수록되어 있다.  물론 사진도 빠지지 않고 나오며, 전형적인 도감 형식을 따르기에 종이의 재질은 두껍고 광택이 나는 아트지를 사용했다.


다른 책에 비해서 도감은 마이너 장르라서 매니아가 아니면 거의 찾지를 않는다. 그런데 이 책은 도감이면서도 아이디어가 돗보이는 서적이다. 생각해보라. 전국에 산재한 노거수를 찾아보는, 일종의 테마여행을 계획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주변의 풍경도 둘러보고 아름드리 나무의 웅장한 모습도 살펴보는 의미있는 여행말이다. 가족들이 함께 하는 것도 좋을 뿐만 아니라, 나홀로 출사를 가는 것도 나쁘지 않을 듯 싶다.


따라서 책의 내용을 소개하지 않을 수 없다.
천안 광덕사 호도나무는 사찰경내에서 단목으로 자란다. ...중략..국내에서 가장 큰 호도나무이다. 나이는 약 400년으로 전해진다...중략... 호도나무는 본래 페르시아가 원산인데, 중국 전한시대 장건이 서역에서 B.C. 126년에 실크로드를 따라 중국으로 가져왔다. 국내에는 신라시대 민정문서를 보면 경덕왕 때 호도나무, 뽕나무, 잣나무의 식목을 장려했다는 기록이 있따. 취위에 약해서 경기도 이남에만 심을 수 있으며 뿌리가 깊이 들어가기 때문에 땅이 깊어야 잘 자란다.


이 책의 분류가 도감파트가 아닌, 여행 카테고리에 들었더라면 주목받는 책 중 하나가 되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약이 되는 한국의 산야초
김태정 지음 / 국일미디어(국일출판사) / 2003년 11월
평점 :
품절


양장본이며 포켓 사이즈로 만들어져서 휴대하기가 편한 도감이다. 정확한 사이즈는 A5 (148 × 210mm) 크기이며 총 페이지는 900쪽을 약간 넘는다. 전형적인 도감의 형식을 따르기에 큼지막한 사진이 한 쪽 면을 차지하고 그 아래로 설명이 붙었다. 이 도감에서 눈에 띄는 점은, 민간요법이 비교적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본문의 내용을 조금만 발췌해본다면,
이질풀은 풀 전체를 한방과 민간에서 적리.역리.변비.통경위.대하증.방광염.피부병.종창.위궤양.지리 등에 약으로 쓴다. 채취시기는 꽃이 필 무렵이며 대개의 약초는 개화기에 채취하는 것이 그 효과가 크다.....중략.......체해서 복통과 설사 등 장 카나르 등이 일어났을때에는 이질풀 말린 것 20 ~26그램을 물 0.7리터에 넣어 그 반이 될 때까지 달인다. 이것을 한 번 마시면 즉시 효과가 나타나며.....중략......피마자 기름을 한 차례 마셔 속을 씻어 내면 더욱 효과가 있다고 한다........이하 생략.


이런 식으로 민간요법이 소개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영화 Sicko를 보고 미국 의료보험의 실상을 알게 되었을 것이다. 돈이 없어서 의료혜택을 받지 못하는 미국인들의 실상이 참으로 안타깝다. 대부분은 아는 내용이니 더 이상 언급하지는 않겠다. 아뭏든 이런식으로 흘러 간다면, 한국도 이런 황당한 시추에이션이 발생하지 말라는 법이 없다(영리병원이 그 시초가 될 수 있다). 만약 그렇게 된다면 이런 책을 보면서 자가 치료를 해야 할지도 모르겠다. ㅜ.ㅜ 민간요법으로 병치료를 한다? 상상히 회의적이기는 하지만, 작금 돌아가는 상황을 보니 허무맹랑한 이야기만은 아닐 듯 싶다....  아뭏든 이제는 오래 사는 것이 반드시 좋은 것만은 아닌 세상인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딱정벌레 왕국의 여행자 자연과 인간 1
한영식 지음, 이승일 사진 / 사이언스북스 / 200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읽을거리가 풍부한 도감류 책이다. 딱정벌레는 갑충이라고도 불리우며 딱딱한 겉날개를 가진 모든 곤충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곤충을 촬영한 여러장의 사진과 함께 그들의 습성이나 특성, 감상, 에피스드 등으로 꾸며졌다. 사진의 품질은 평균정도인데, 초점이 맞지 않은 것이나 노출이 빗나간 사진들이 상당 수 섞여 있다. 그렇다고 못 봐줄 정도는 아니지만 급조한 느낌을 지울 수 없다. 한편 이 책은 필자가 서평을 작성한 '곤충 학습 도감' 의 저자가 과거에 펼쳐낸 서적이다. 해가 갈수록 스킬이 진일보하여 내용의 깊이와 사진의 품질이 좋아지고 있다. 다음에 나올 책도 기대해 본다.


책의 내용을 조금만 소개해 보자면,
"남가뢰는 4월 한 달 정도면 평생 동안 할 활동을 거의 다 마치는 것 같다. 성충으로 겨울을 나는 남가뢰는 초봄이면 겨울잠에서 깨어나는데, 새로이 돋아나는 여린 풀들을 먹으며 짝을 찾아서 짝짓기하고 땅속에 알을 낳는다. 태어난 가뢰의 애벌레는 유충 시기에 여러번 변태를 하는 과변태를 한다. 가뢰는 대개 애벌레로 네 번 과변태를 하는 데 마지막 네 번째 애벌레 단계를 마치면 가을에 성충으로 탈피한다.


이런 식으로 곤충의 생태와 관련 정보를 수록했다. 도판의 크기는 228 * 190mm 이며, 총 페이지는 300쪽이 조금 안 되면, 두껍고 광택이 나는 아트지를 사용했다. 참고로 곤충은 다리가 6개인 생물을 말한다. 그래서 분류학에서는 육각류라는 다소 생소한 이름을 사용하기도 한다. 따라서, 다리가 8개인 거미는 곤충이 아니고 절지동물이 된다. 그런데 보통 사람들은 그냥 벌레하면 작고 성가신 것들을 모두 통틀어서 부르고는한다. 하지만 조금만 어릴 적 생각을 해보라. 우리모두 여름방학 숙제로 곤충 채집을 신나게 하지 않았던가? ㅎㅎㅎ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특징으로 보는 한반도 민물고기 - 개정판
노세윤.이완옥 지음, 노세윤 사진 / 지성사 / 200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형적인 도감의 형식을 따르기에 한 쪽 면에 큼지막한 사진과 함께 그 아래로 여러 화각에서 찍은 작은 사진이 배열되어 있다.
사진의 품질은 평균을 넘는 수준이며, 종이 재질은 두껍고 광택이 도는 도감용지인 아트지를 사용했다. 도판의 크기는 B6(128 x 182mm) 이며 400쪽이 조금 넘는 두께를 가졌다. 또한 이미지와 텍스트는 약 7 대 3의 비율로 이루어진 책이다.


눈에 띄는 점은 ,각 종마다 서식지 사진이 상당히 구체적으로 나온다. 연구자들에게는 이러한 자료가 상당한 도움이 되겠지만, 그로 인해 서식지자 훼손되는 부분도 고려를 했으면 좋겠다. 허접한 인간들이 가서 물고기 씨를 말리는 경우도 있으니 말이다. 물론 이렇게 불법적인 일을 저지르는 사람은 극히 일부에 불과하지만 말이다. 한편, 텍스트 부분에는 산란 습성과 산란 시기를 아이콘으로 보여줘서 직관적인 파악이 가능하다. 인간의 두뇌는 글자 보다는 그림을 더 잘 받아들이므로, 도감을 만들때는 이런 부분도 고려를 하면 좋을 것이다.


끝으로 구매여부를 판단하는데 어떤 가늠자가 될 수 있도록, 책의 내용을 조금만 소개해 볼까 한다.
"모래무지, 몸이 길고 원통형이다. 앞쪽은 두껍고 뒤쪽은 가늘다. 주둥이는 뾰족하고 길며 입은 바닥에 바로 닿는다. 입에는 굵은 입수염이 한 쌍 있다. 눈은 작고 머리 위쪽으로 나있다. 입술은 잘 발달되어 있으며 돌기로 되어 있다. 몸은 전체적으로 회갈색이다......중략..... 모래무지는 먹이를 얻기 위해 바닥이 모래를 빨아들인다. 이때 먹이는 섭취하고 모래는 분리하여 아가미 밖으로 내보낸다. 무엇인가에 놀라면 재빨리 모래를 파고 들어가 숨는다. 버들매치, 두우쟁이 들과 비슷하지만 주둥이가 두 종에 비해 길고 뾰족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류의 생태
김무상 지음 / 아카데미서적 / 2003년 12월
평점 :
품절


도감의 형식을 따르고는 있지만, 어류 사진은 없고 약간의 일러스트와 함께 물고기의 전반적인 생태를 다루고 있는 책이다. 따라서 사진 위주로 발간된 다른 도감하고 같이 보면 상호보완이 될 수 있겠다. 도판의 크기는 A5(148 x210mm) 이며 약 400쪽에 이르는 두께를 가졌다. 종이 재질도 평범한 갱지, 즉 모조지라서 뒷장이 상당이 비친다.


책의 내용을 잠깐 보자면,
볼락은 서식환경에 따라 체색의 변이가 심한 편인데, 천해에 서식하는 것은 흑갈색이고 깊은 곳에 서식하는 것은 붉은색이 많은 다갈색이다. 생시에는 검은색의 불명료한 횡무늬가 있으나 죽으면 소실된다. 생태적으로는 새끼를 낳은 어류로 유명하다. 동물이 새끼를 낳는 경우는 두 가지로 구분이 된다. 즉 태생과 난태생이다. 모두 새끼를 낳는다는 점에서는 같으나, 태생인 경우는 태자가 모체 내에 있을 때에 난황을 영양으로 모두 소비한 후에도 모체로부터 여양을 공급 받아 더욱 발육한 다음 출산하는 경우이고.....생략."


이 정도 수준의 깊이라면 사진이 없다고 해도 크게 문제될 것은 없어 보인다. 가만있어 보자. 물고기라고 하면 거의 모두 알을 낳는 생물이라고 알고 있었는데 ---난태생의 어류는 오직 한 가지 해마 만을 알고 있는 필자에게는--- 새끼를 낳은 녀석도 있다니 놀라울 따름이다. 그런데 이 녀석들은 외관이 정말 물에 사는 말처럼 생겨서 과연 어류로 분류할 수 있는지 헷갈리고는 한다. ㅎㅎㅎ. 하긴 뭐~ 호주근처의 바다에서는 해룡이라고 하는 어류도 살고 있으니 --얼마전에 우리나라에서도 4번째인가? 아뭏든 인공번식에 성공했음-- 우리가 아는 지식이 얼마나 짧은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