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언와인드 : 하비스트 캠프의 도망자 ㅣ 언와인드 디스톨로지 1
닐 셔스터먼 지음, 강동혁 옮김 / 열린책들 / 2025년 7월
평점 :
전쟁으로 이어지는 나날
한편에서는 사람들이 생명권을 지키겠다며 임신 중절 시술을 하는 의사들을 살해했고
다른 편에서는 사람들이 태아 조직을 팔겠다는 이유만으로 임신하고 있었다.
임신 중지를 둘러싼 내전 끝, 그들은 기묘한 평화를 택한다.
태아는 지켜진다. 대신,
13세부터 18세 사이의 청소년은 ‘소급적으로 중절’될 수 있다.
그들을 분해하고, 장기를 나눠 이식한다. 법적 용어로는 ‘언와인드’.
그리고 그 장기들은 다른 사람 안에서 살아간다.
“너의 몸은 100% 살아있어. 단지, 낱낱이 분리된 채로.”
이 믿을 수 없는 세계에서 도망치는 세 아이.
부모가 포기한 아이. 하지만 누구보다 삶에 집착하는 소년 코너,
국가가 버린 아이. 하지만 누구보다 이성적이고 용기 있는 소녀 고아 리사,
독실한 기독교 가정의 열 번째 자녀로, 태어날 때부터 '십일조'로 정해진 아이 레브.
세 사람은 ‘하비스트 캠프’(언와인드 되는 곳)라는 지옥을 피해 열여덟 살이 될 때까지 살아남아야 한다.
💥 첫 장부터 심장이 철렁한다.
『언와인드』는 단순한 청소년 SF가 아니다.
읽는 내내 “과연 인간이란 무엇인가”, “누가 생명의 가치를 결정하는가”라는 질문이 가슴을 파고든다.
SF는 언제나 사회의 거울이었다. 닐 셔스터먼의 『언와인드: 하비스트 캠프의 도망자』는 디스토피아 장르의 문법을 충실히 따르면서도, 그 이상을 해낸다. 이 소설은 ‘생명이란 무엇인가’라는 고전적 질문을 독창적인 세계관과 감정적 긴장 속에서 끊임없이 되묻는다.
내전 갈등의 타협의 산물로 만들어진 ‘생명법’은 아이러니하게도 생명을 지키는 척하며 청소년을 분해, 즉 ‘언와인드’할 권리를 부모에게 부여한다. ‘신체는 살아 있으나, 개별 인격은 해체된다’는 논리는 놀랍도록 기괴하고, 동시에 끔찍할 만큼 설득력 있게 제시된다. 과학적 진보가 윤리의 속도를 초월할 때, 인간의 존엄은 어떤 방식으로 소비되고 타협되는가. 이 작품은 그러한 질문을 탁월한 상상력과 이야기의 힘으로 밀어붙인다.
⠀
“난 당신 아들이 아니야.
당신이 언와인드 서류에 서명한 순간부터 그랬어.”
⠀
세 아이의 도주는 단순한 탈출극이 아니다.
그들은 인간으로서의 존엄을 되찾기 위한 혁명을 시작한다.
그 과정에서 독자는 이 세계가 현실과 얼마나 닮았는지를 목격하게 된다.
부모가 자녀를 ‘언와인드’하는 세계.
우리는 정말 그런 세상과는 거리가 멀까?
인간이 부품처럼 거래되는 이 사회, 지금 우리 현실과 얼마나 다른가.
부모의 ‘사랑’이라는 이름 아래 자녀가 개조되고, 통제되는 시대.
닐 셔스터먼은 이러한 현실을 거울처럼 비춘다.
'제발 인간이 되어 주세요.'
너무도 많은 규칙과 통제에 둘러싸여 살다 보면 우리가 바로 인간이라는 사실을 잊기 쉽다. _p.130
나는 이 책을 읽으며 손끝이 떨릴 만큼 몰입했고, 분노했고, 흥분했다.
결국 1권의 마지막 장을 넘긴 직후 바로 2권을 급하게 찾을 수밖에 없었다.
⠀
📌 총 4권의 시리즈.
『언와인드: 하비스트 캠프의 도망자』는 그 첫 이야기.
하지만 단언컨대, 이 1권만으로도 당신은 이미 빠져들고 말 것이다.
⠀
📚 인간의 존엄성과 생명의 정의를 묻는 역대급 디스토피아,
과연 그 끝은 무엇일까?
혼자 가기 두려운 그 끝, 나와 함께 가보지 않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