깊은 밤 부엌에서 네버랜드 Picture Books 세계의 걸작 그림책 15
모리스 샌닥 지음, 강무홍 옮김 / 시공주니어 / 1994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괴물들이 사는 나라>>로 유명한 모리스 센닥의 또다른 판타지 그림책 <<깊은 밤 부엌에서>> 역시 어린이들의 상상력을 자극하고 즐거움을 주는 재미있는 그림책입니다.
밤이면 잠들기 싫어하는 아이들과 부모들의 한바탕 전쟁이 치루어집니다. 아빠 엄마의 잔소리를 듣고 겨우 잠이 든 아이들은 꿈 속에서 자유로운 밤을 보내게 됩니다.
이 그림책은 어린이들에게 상상과 환상으로만 존재하는 깊은 밤의 도시를 종횡무진 활보하고 싶은 어린이들의 마음을 미키를 통해서 담아냈습니다.

한밤중 요란한 소리에 깬 미키도 일어나 꽥 소리를 질렀습니다. 그러자 미키는 깜깜한 데로 굴러 떨어지면서 달을 지나고, 쿨쿨 잠든 엄마와 아빠도 지나서 부엌으로 떨어졌습니다.
빵가게 아저씨들은 미키를 반죽 속에 넣고 반죽을 했답니다.
반죽을 구우려고 할때 미키는,

난 밀크가 아니야.
밀키는 내가 아냐!
난 미키란 말이야!


하면서 반죽을 뚫고 나왔습니다. 미키는 반죽으로 멋진 헬리콥터를 만들어 미키웨이에서 밀크를 구해오겠다고 하죠.
미키웨이 꼭대기에서 미키는 반죽에 밀크를 부어주었습니다.
아저씨들은 맛있는 빵을 구웠고, 미키는 침대로 돌아왔습니다.





밀크,미키, 미키웨이 어감이 비슷한 단어들을 통해서 읽는 즐거움을 맛볼 수 있는 그림책입니다. 깊은 밤에도 내일을 위해서 일하는 사람들을 미키는 보았습니다. 그리고 마음껏 늦은 밤을 날았습니다.
아이들은 간혹 늦게까지 잠들지 않은 채 깨어있는 아빠 엄마를 부러워합니다. 늦게까지 텔레비전을 보고 싶어하고, 늦은 밤까지 깨어있고 싶어합니다.
부모의 강요에 의해서 억지로 잠든 그 시간의 세상이 어떤지 궁금한 아이들의 마음을 이 책은 판타지를 통해서 보여주고 있습니다.
우리 아이들은 아마 꿈 속에서 이렇게 늦은 밤까지 즐거운 모험을 하고 있을지 모릅니다.
가끔은 늦은 밤에 일어났던 어른들의 세상을 이야기해주는 것은 어떨까요?
그저 평범하기만 한 늦은 밤의 일상들이 아이들에게는 환상적인 세상으로 보여질지도 모르니 말입니다.

(사진출처: ’깊은 밤 부엌에서’ 본문에서 발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리석은 판사 네버랜드 Picture Books 세계의 걸작 그림책 154
마고 제마크 그림, 하브 제마크 글, 장미란 옮김 / 시공주니어 / 2004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이 그림책을 읽다가 존 버닝햄의 <지각대장 존>이라는 그림책을 떠올렸습니다. 아이의 말을 믿어주지 않았던 선생님이 나중에 곤경에 처하는 이야기로 어린이 도서 부분에서 오랫동안 큰 인기를 얻고 있는 그림책이죠.
칼데콧 아너 상을 수상한 <<어리석은 판사>> 역시 사람들의 말을 믿지 않은 어리석은 판사가 결국 나쁜 결과를 초래하게 된 과정을 담은 그림책입니다.
이 책은 권력을 가진 자의 어리석음을 유쾌함으로 풍자하고 있는 그림책이라고 소개하고 있습니다.
어린이들에게 풍자의 참맛을 즐기게 하는 멋진 그림책이라는 소개도 곁들여져 있지만, 책을 읽어주는 엄마의 입장에서는 사람들의 말에 귀 기울이는 사람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 중점을 두게 되네요.

반복적인 내용으로 진행되는 이야기이기 때문에, 유아의 아이들이 책 내용을 쉽게 이해하기에 도움이 될 듯 합니다.
천 번째 죄수가 등장했습니다.

죄수는 "이런 것도 죄가 되나요? 본 대로 말한 것뿐이에요." 라고 하면서 무시무시한 괴물이 오고 있다고 합니다.
판사는 말도 안 되는 소리라며 당장 감옥에 처넣으라고 말하죠.
두 번재 죄수 역시 첫 번째 죄수처럼 "이런 것도 죄가 되나요? 본 대로 말한 것뿐이에요." 말하면서 무시무시한 괴물이 오고 있다고 말합니다.
판사는 머리가 이상하다며 죄수를 감옥에 가두라고 명령합니다.
세 번째 죄수도 똑같이 말을 했고, 판사는 이번에도 감옥에 가두었습니다.
네 번째, 다섯 번째 죄수도 마찬가지였죠.
그렇게 죄수들이 감옥에 끌려가자, 문에서 무시무시한 괴물이 나타납니다.
무시무시한 괴물은 판사를 먹어치웠고, 죄수들은 감옥에서 풀려났습니다.



 

죄수들이 괴물에 대해서 이야기를 할 때, 앞서 죄수들의 이야기에 한가지씩의 이야기를 더 첨부해서 말하고 있습니다. 아이들과 책을 읽을 때, 그 부분을 찾아보는 것도 즐거운 책 읽기가 될 수 있을 거 같아요.
정말 어리석은 판사는 죄수들의 이야기를 제대로 듣지 않았기 때문에, 무시무시한 괴물에게 잡아 먹혔습니다.
정말 말도 안되는 이야기였지만, 죄수들의 이야기에 좀더 귀를 기울였다면, 판사는 무사했을지도 모릅니다.
가끔 아이들은 어른들의 생각에도 말도 안되고, 황당한 이야기를 하곤 합니다.
어른들은 그런 어린이들의 이야기에는 귀 기울이지 않습니다. 
저도 어리석은 엄마였던 것은 아닐까요? 아이들의 이야기에 좀더 귀 기울이고, 함께 생각해보는 시간을 좀더 가져야 할 거 같아요.

덧붙히자면, 제마크 부부가 권력자들의 어처구니 없는 행동에 대한 풍자에 의미를 두고 그린 이 그림책은 그 의미에 중점을 두고 읽자면 어린이들보다는 엄마인 제게 더 재미있는 그림책이 될 거 같아요.

(사진출처: ’어리석은 판사’ 본문에서 발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돌멩이 수프 네버랜드 세계 옛이야기 11
마샤 브라운 지음, 고정아 옮김 / 시공주니어 / 200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래 전 풍족하지 못했던 시절에는 오히려 서로 나누고, 서로 도우면서 살아갔습니다. 지금은 물자가 풍부해지고 부족함이 없이 살아가는 시대가 되어 서로 나누어도 부족하지 않을만큼 풍족해졌지만, 오히려 서로 나누며 살아가는 미덕은 사라졌습니다.
어린이들이 점점 이기적인 성향을 띈다는 어른들의 우려의 목소리가 높습니다. 
모든지 부족했던 그 시절에는 몰랐던 풍족함이 주는 행복으로 인해 자기 소유욕이 높아져서 그런 것은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그러나 이제 나누고 베풀고 함께하는 것에 대한 즐거움과 행복에 관한 이야기를 통해서 다시금 나눔에 대한 미덕이 되살아나는 듯 합니다.
더불어 <돌멩이 수프><무지개 물고기> 등 나눔의 미학에 대한 예쁜 이야기를 담은 그림책들이 많이 출간되고 있어, 우리 어린이들도 나눔이 주는 즐거움을 자연스레 알 수 있게 될 거 같아요.

이 그림책은 몇 해전에 읽었던 기억이 나지만, 사실 시대적 배경에 대해서는 모르고 있었습니다.
그림책의 시대적 배경이 끝없는 전쟁에 시달렸던 중세 유럽을 배경으로 했다고 하네요. 
길을 걸어가는 군인 세 명은 군대로 끌려가 목숨을 부지하기 위해 필사적으로 싸워야 했던 사람들이였고, 이들이 만난 시골의 마을 사람들은 군인들의 약탈에 시달려야 했으며, 전쟁으로 인해 먹을 것이 없었던 사람들이라고 합니다.
시대적인 배경을  알지 못한 채, 이 그림책을 읽는다면 책 속의 마을 사람들을 이기적이고, 욕심많은 사람들로 알고 있었을 거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다시금 책을 읽으면서 이 책이 가지고 있는 의미를 제대로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고 생각하니, 뿌듯한 마음이 앞섭니다.

군인 세 명이 전쟁터에서 집으로 돌아가는 길입니다.
이틀 동안 아무것도 먹지 못했던 세 명의 군인은, 따뜻한 밥 한 끼와 포근한 침대가 그리웠습니다.
갑자기 눈앞에 마을의 불빛을 보고 희망을 가진 군인들은 서둘러 마을로 갔습니다.
한편 군인이 온다는 소식을 들은 마을 사람들은 음식을 숨기느라 바빴습니다. 
군인들이 도착해서 음식을 나누어 달라고 했지만, 이들은 먹을 음식도 허름한 방도 없다고 말했어요.
그러자 군인들은 돌멩이 수프를 만들어 보기로 했습니다.

"우리는 배고픈 군인들입니다. 낯선 마을에서 먹을 것을 좀 얻어 볼까 했지만, 마을 사람들 먹을 것도 부족하군요.
그래서 우리는 할 수 없이 돌멩이 수프를 만들어 먹기로 했습니다."
(본문 中)

그말에 사람들은 궁금해했어요. 마을 광장에 모닥불을 지피고 큰 솥에 물을 끊인 후에 큼지막하고 매끈한 돌멩이 세 개를 넣었습니다.

"이런 돌멩이면 아주 맛있는 수프가 될 거예요. 
아, 하지만 당근이 좀 있으면 수프 맛이 훨씬 좋아질 텐데..."


사람들은 호기심에 숨겨둔 당근을 가져왔고, 그 뒤로도 양배추, 쇠고기 약간, 감자, 보리, 우유 등을 가지고 와서 돌멩이 수프에 넣었죠.
마을 광장에 식탁을 차려서 마을 사람들과 잔치를 벌였습니다.

"빵하고 같이 먹으면 더 맛있지 않을까? 구운 고기하고 사과술도?"

사람들은 숨겨둔 음식을 자진해서 가져왔고, 정말 맛있게 돌멩이 수프를 먹었습니다. 마을 사람들은 광장에서 먹고, 마시고 춤을 추고 노래를 부르면서 즐거운 시간을 보냈어요.
그리고 군인들은 마을에서 가장 좋은 침대에서 잠을 자게 되었죠.

 

 

조금씩 음식을 나누었더니 그들은 정말 맛좋은 음식과 행복한 시간을 가질 수 있게 되었어요. 전쟁으로 인해서 삶이 궁핍해지고 마음까지 힘겨웠던 그들에게 군인들은 나누고 함께하면서 얻는 즐거움을 알려준 셈입니다.
’콩 한쪽도 나누어 먹어라’ 라는 말이 있습니다. 궁핍하고 어려울 때일수록 서로 나누고 돕는다면 더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습니다.
세 명의 군인들은 그것을 알려준 것입니다.
당근 하나, 양배추 하나로는 아무것도 만들 수 없지만, 당근과 양배추와 함께라면 맛좋은 음식을 만들 수 있겠죠?
음식과 잠자리를 제공하지 않았다고 화를 내기보다는, 재치로서 마을 사람들에게 희망과 즐거움을 알려준 군인들의 모습이 멋져 보입니다.


(사진출처: ’돌멩이 수프’ 본문에서 발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괴물들이 사는 나라 네버랜드 Picture Books 세계의 걸작 그림책 16
모리스 샌닥 지음, 강무홍 옮김 / 시공주니어 / 2002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지금 초등6학년이 된 큰 아이가 어릴 때부터 정말 많은 인기를 얻었던 그림책인데, 지금까지도 스테디셀러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그림책이네요. 
맥스를 통해서 아이들의 마음을 잘 보여주고 있기 때문일지 모릅니다. 풍부한 상상력으로 그려진 그림책이 아이들에게 큰 즐거움을 주고 있다는 점도 잊어서는 안된답니다.

늑대 옷을 입고 장난을 치는 맥스는 정말 엄청난 개구쟁이 같습니다.
오죽하면 엄마가,
"이 괴물딱지 같은 녀석!" 이라고 말했을까요.
맥스도 만만치 않은 아이입니다.
"그럼, 내가 엄마를 잡아먹어 버릴 거야!" 
엄마는 저녁밥도 안 주고 맥스를 방에 가두어 버렸지만, 맥스는 전혀 외롭지도 쓸쓸하지도 않은 듯 보입니다.
오히려 맥스는 더욱 즐거워보이기까지 합니다.

 

맥스의 방은 나무와 풀이 자꾸자꾸 자라서 세상 전체가 되어버렸습니다. 맥스는 맥스 호를 타고 넓은 바다로 나아가 일 년동안 항해한 끝에 괴물 나라에 도착했습니다.
’괴물 중의 괴물’인 맥스는 괴물 나라 왕이 되었고, 괴물 소동을 벌이며 즐거운 시간을 보냈어요.
그러던 어느 날, 맥스는 괴물들을 저녁도 안 먹이고 잠자리로 쫓아 버렸습니다.
쓸쓸해진 맥스는 자기를 사랑해 주는 사람이 있는 곳으로 가고 싶었어요.
맥스는 일 년을 거슬러 올라 그 날 밤에 맥스 제 방으로 돌아왔습니다.
따뜻한 저녁밥이 기다리는 집으로 말이죠.

 

 

괴물처럼 말썽을 피우던 맥스가 한 뼘 자란 과정이 담겨진 그림책입니다. 엄마에게 화를 내고, 방에 가두는 벌을 받게 되었어도 오히려 즐기고 있는 맥스는 엄마에게 반항을 하고 있습니다. 벌을 받으면서도 즐거워하던 맥스는 스스로 마음을 다독이고 결국 자신을 사랑하고 있는 엄마의 마음을 조금은 이해하게 된 듯 합니다.
장난치고, 혼나고, 반항하고 그리고 감정을 다스리게 되는 맥스의 모습이 바로 우리 아이들의 모습인 거 같아요.
아이들의 마음을 모리스 센닥은 어린이들의 눈높이를 정확히 이해하고 느꼈던 거 같아요.
이것이 바로 오랫동안 사랑받는 비결이겠죠?
어린이들의 여러 감정을 판타지라는 상상을 통해서 재미있고 독특하게 그려낸 듯 합니다.
괴물이라는 소재가 아이들의 구미를 당기고 있어요. 그 괴물을 통해서 맥스의 마음을 역지사지로 이끌어낸 거 같아요.
어린이들도 이 그림책을 통해서 자신의 마음과 엄마의 마음을 조금을 알 수 있게 되지 않을까 싶네요.


(사진출처: ’괴물들이 사는 나라’ 본문에서 발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기 오리들한테 길을 비켜 주세요 네버랜드 Picture Books 세계의 걸작 그림책 28
로버트 맥클로스키 지음, 이수연 옮김 / 시공주니어 / 1995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엄마 오리 뒤를 졸졸 따라가는 아기 오리들을 본 적이 있습니다. 뒤뚱거리는 모습이 재미있다는 생각만 가지고 보았던 모습이였는데, 책 속에는 가족, 삶, 터전 등 다양한 모습으로 보여지고 있습니다. 
갈색톤으로 그려진 그림이 화려하지는 않지만, 부드러운 느낌을 주는 삽화입니다.

오리 부부인 말라드 씨와 말라드 부인은 둥지를 틀 곳을 찾아다닙니다.
숲 속에는 여유가 살고, 물 속에는 거북이 있어서 말라드 부인은 새로운 보금자리를 찾는 일에 까다롭습니다.
그래서 오리 부부은 날고 또 날았다가 보스턴 시에 오게 되었습니다.
너무 지쳐서 보스턴 시민 공원에 있는 멋진 호수에 있는 작은 섬에 내려 앉았습니다.
호수 바닥의 진흙에는 먹을거리가 많지는 않았지만, 배를 타고 있는 사람들이 땅콩을 던져 주어서 아침을 맛있게 먹었죠.

말라드 부인은 여우와 거북이 없는데다가, 땅콩을 던져주는 천국 같은 호수가 마음에 들었습니다. 하지만 빠르게 달리는 자전거 때문에 오리 부부는 다른 곳을 찾기로 합니다. 찰스 강 위를 날던 오리 부부는 시민공원이 멀지 않은 강의 작은 섬에서 둥지를 틀었습니다. 공원에서 만난 마이클이라는 경찰 아저씨는 오리 부부에게 땅콩을 주었고, 오리 부부는 날마다 마이클 아저씨를 찾아갔습니다.
얼마 뒤에 알을 여덟 개 낳은 말라드 부인은 물을 마시러 간다거나 점심을 먹으러 간다거나 알이 모두 잘 있는지 세어 볼 때만 둥지에서 나왔을 뿐 알을 따뜻하게 품어 주었어요.
말라드 부인의 정성으로, 잭, 캑, 랙, 맥, 낵, 왝, 팩, 그리고 쾍의 아이들이 태어났습니다.

말라드 씨는 찰스 강 이곳저곳을 살펴보러 돌아다니기로 했고, 일 주일 뒤에 시민 공원에서 만나기로 했습니다. 그동안 말라드 부인은 아이들에게 헤엄과 잠수를 가르쳤고, 한 줄로 서서 따라오는 법과 엄마가 부르면 곧장 달려오는 법, 자전거와 스쿠터와 바퀴 달린 수레 같은 것이 나타나면 멀리 피하는 법도 가르쳤어요.
그리고 어느새 일주일이 되어 말라드 부인은 아이들을 데리고 말라드 씨를 만나러 가기로 했습니다.
강기슭을 헤어쳐 큰길까지 온 오리 가족은 달리는 자동차에 놀라 꽥!꽥! 소리칠 뿐 길을 건널 수 없었어요.
그때 마이클 아저씨가 달려와 자동차를 세우고 오리 가족이 길을 건너도록 도와주었습니다.
오리 가족은 거리를 행진했고, 시민 공원에서 말라드 씨를 만날 수 있었죠.

 

 

아기들에게 안전한 둥지를 틀기 위해서 지치도록 날고 날았던 오리 부부의 모습은 아기들을 사랑하는 부모의 모습을 엿볼 수 있었습니다. 책을 읽는 어린이들에게도 그 마음이 전해져 자신들을 사랑하는 부모의 마음을 느낄 수 있을 거 같아요.
또한 사람과 자연이 조화를 이루며 공존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을 듯 합니다.
사람에게 자연은 꼭 필요한 부분입니다. 그러나 무질서한 훼손과 파괴로 인해서 점점 자연은 병들어 가고 있어요. 오리 가족을 위해서 자동차를 세워주고, 매일 땅콩을 주었던 마이클 아저씨의 모습은 자연과 함께 살아가는 모습이 결코 어려운 일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저 무심히 보았던 자연의 일상의 모습을 통해서 새로움을 보여준 작가의 상상력이 멋진 그림책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늘 보아왔던 자연의 모습을 둘러보는 기회가 된 듯 싶어요. 더불어 오리 가족의 모습을 통해서 가족의 소중함과 의미를 다시금 생각해 보면 좋겠죠? 갈색톤의 삽화가 따뜻한 이야기와 잘 어우러진 잔잔한 감동이 있는 그림책이네요.
아기 오리들의 이름을 부를 때마다 느껴지는 즐거움도 참 재미있는 듯 합니다.

(사진출처: ’아기 오리들한테 길을 비켜주세요’ 본문에서 발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