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국의 선택 - 지배인가 리더십인가
Z.브레진스키 지음, 김명섭 역주 / 황금가지 / 2004년 4월
평점 :
절판


미국이 지닌 전 지구적 호소력의 가장 중요한 원천이자 미국이 보유한 힘의 가장 중요한 근원이 되는 것은 미국식 민주주의 체제의 매력이다.(p325)... 전 지구적으로 압도적인 힘을 지닌 미국이 이슬람주의 국가들을 민주화시킨다는 목표를 공개적으로 선언했다. 이 시점에서 위와 같은 사실을 되새기는 일은 중요하다. 민주주의의 확장이 전 세계의 평화에 기여한다는 것은 일반적인 사실이므로 이 목표는 숭고한 것이며 또한 실용적인 가치마저 지닌다. _ 지비그뉴 브레진스키, <제국의 선택>, p319

지비그뉴 브레진스키(Zbigniew Brzezinski, 1928 ~ 2017)의 <제국의 선택 The Choice: Global Domination or Glabal Leadership>에는 ‘좋은 제국‘을 자처하는 미국인들이 자신과 세계를 바라보는 세계관이 잘 드러난다. 카터 대통령의 국가안보보좌관 출신의 저자의 논리는 다음과 같다. 민주주의는 의심할 수 없는 절대우위의 제도이며, 미국은 (자신과) 세계 평화를 위해 이를 수호하고 확산시켜야할 사명을 부여받고 있다. 따라서, 절대선(善)인 미국은 다른 나라들을 압도할 군사력을 보유해야 하며 이를 통해 세계 평화를 위한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는 것. 이러한 제국의 논리는 언뜻 논리정연한 것 같지만 헛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

전례 없는 전 세계적 편재성과 전 지구적 안보 역할로 인해 미국은 다른 나라들보다 더 확고한 안보를 추구할 권리가 있다. 미국은 전 세계 어느 곳에도 배치 가능한 군사 능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다가오는 위협을 사전에 예측할 수 있도록 정보력을 더 향상시켜야 한다. 그리고 미국은 전략적 군사 능력이나 재래식 군사 능력 모두에서 잠재적인 적대 국가들보다 포괄적인 기술적 우위를 유지하여야 한다. _ 지비그뉴 브레진스키, <제국의 선택>, p326

브레진스키의 논리(제국의 논리)의 모순을 지적하는 것은 유클리드 수학의 체계를 무너뜨리는 것과 마찬가지라 생각된다. 유클리드 기하학(Euclidean geometry)의 수많은 정리가 5공리, 5공준에서 시작되었고 이들의 논리가 무너졌을 때 비(非)유클리드 기하학이 등장했던 것을 생각해보자. 과연 서양의 도시국가에서 일부 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정치체제를 기원으로 하는 민주주의 체제가 보편적 국제정치 체제로서 문제는 없는 것인지. 그리고 이를 수호할 사명을 과연 미국이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근원적인 물음을 이제는 진지하게 생각할 때가 아닐까. 이러한 질문을 통해 제국의 기하학의 공준과 공리를 무너뜨렸을 때 우리는 새로운 국제질서의 역학관계를 올바르게 인식할 수 있는 것은 아닐까.

산 위에 있는 요새는 단지 홀로 서 있을 뿐이다. 그것은 위협의 그림자를 사방에 드리운다. 이런 식으로 미국은 전 지구적인 증오의 대상이 될 수 있다. 반면 산 위에 있는 도시는 인류의 진보를 소망하며 전 세계에 빛을 비출 수 있다. 미국이 빛을 비추도록 하자._ 지비그뉴 브레진스키, <제국의 선택>, p326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페크pek0501 2020-09-14 12:1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미국은 (자신과) 세계 평화를 위해 이를 수호하고 확산시켜야할 사명을 부여받고 있다˝
- 이건 좋은데 말이죠. 어떤 사람이 대통령이 되는가, 하는 문제가 중요해요. 세계를 지배하는 권력을 자국의 이익을 위해서만 또는 대통령 자신을 위해서만 휘두를 수 있거든요.

겨울호랑이 2020-09-14 12:49   좋아요 0 | URL
자신이 선의를 갖고 있으며, 사명을 부여받고 있다고 믿는 힘센 나라가 미국이 아닐까 합니다. 이때문에 세계평화가 오히려 위협받는 현실에서 차라리 예전처럼 고립주의를 택하는 편이 좋지 않을까도 생각합니다. 당시에도 라틴 아메리카를 착취하긴 했습니다만...
 
제3 신분이란 무엇인가 책세상문고 고전의세계 33
E.J. 시에예스 지음, 박인수 옮김 / 책세상 / 2003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시에예스(Emmanuel Joseph Sieyes, 1748 ~ 1836)의 <제3신분이란 무엇인가 Qu’est-ce que le tiers etat?>에서 귀족, 성직자, 평민으로 대표자로 구성된 삼부회(Etats generaux)에서 실질적으로 배제된 제3신분의 문제에 주목한다. <제3신분이란 무엇인가>는 시에예스가 주목하는 문제와 이에 대한 시에예스의 대답이며 문제해결 방안이다.

1. 제3신분이란 무엇인가 - 모든 것.
제3신분은 전체 국민에 속하는 모든 것을 포함하고 있으며, 제3신분이 아닌 것은 모두 전체 국민으로 간주될 수 없다. 제3신분이란 무엇인가? 모든 것이다.(p24) <제3신분이란 무엇인가>

2. 정치적으로 제3신분은 현재까지 무엇이었는가 - 무(無)
제3신분은 현재까지 삼부회에서 진정한 대표를 갖지 못했다. 따라서 제3신분의 정치적 권리는 존재하지 않는다.(p34) <제3신분이란 무엇인가>

3. 제3신분은 무엇을 요구하는가 - 그 무엇이 되는 것.
제3신분의 대표자는 진정 제3신분에 속하는 시민 중에서만 선출될 것.(p40)... 제3신분 대표자의 수가 두 특권 신분 대표자의 수와 동일할 것.(p48)... 삼부회에서는 신분별이 아니라 개인별로 투표할 것.(p54) <제3신분이란 무엇인가>

주권으로부터 소외된 제3신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에예스는 이들을 대표하는 국민의회 설립을 제안한다. <제3신분이란 무엇인가>에서 제기되는 시민대표제는 공화정(共和政)이 민주주의(民主主義)와 분리할 수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 직접민주주의가 아닌 대의민주주의(代議民主主義, representative democracy)는 과연 시민주권을 보장해줄 수 있을 것인가? 이에 대해 시에예스는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사고를 하는 대표에 의한 지배체제만이 전제와 혼란으로부터 벗어날 길이라 대답한다. 이러한 그의 주장은 계몽주의시대의 낙관적인 기대 위에 놓여있다.

시민의 공통적 자격으로부터 벗어나 있는 모든 것은 정치적 권리에 참여할 수 없다는 것이 원칙이다. 인민의 입법 기관은 오직 일반 이익에 대해서만 필요한 것을 마련해줄 의무를 띌 수 있다. 그러나 법률과는 거의 무관한 단순한 구별에 의존하지 않고, 통상적인 규범에 따른 평가에 의해 특권적인 적들이 존재하고 있다면 이들은 적극적으로 추방되어야 한다. 오만방자한 특권을 지속하는 한 그들은 유권자일 수도, 피선거권자일 수도 없다.(p133) <제3신분이란 무엇인가>

시에예스의 안에 따라 1789년 소지된 삼부회에서 국민의회가 구성된 이후 이제는 대의민주주의는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 되버렸다. 현재 우리나라의 헌법체제는 국민주권주의를 보장하지만, 대의제도가 통치자를 피통치차의 판결에 종속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현실까지 바꾸지는 못한다. 과거 <제3신분이란 무엇인가>를 통해 다중(多衆)의 목소리를 모아 대의제 민주주의를 만들었다면, 보다 효과적인 대의제를 운영하기 위한 방안 마련은 오늘날 우리의 숙제임을 생각하게 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후애(厚愛) 2020-04-10 19:5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겨울호랑이님 일교차에 감기 조심하시고, 주말 즐겁게 보내세요.^^

겨울호랑이 2020-04-10 20:23   좋아요 0 | URL
후애님께서도 건강한 주말되세요!^^:) 감사합니다
 
독도 1947 - 전후 독도문제와 한.미.일 관계
정병준 지음 / 돌베개 / 201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947년을 계기로 한국은 독도에 대한 본격적 조사활동을 개시해 독도를 새롭게 인식하게 되었고, 일본은 독도•울릉도가 일본령이라는 허위정보를 담은 영토 관련 팸플렛을 제작했으며, 미국은 대일평화조약 초안을 작성하며 리앙쿠르암(독도)이 한국령이라고 명시했다. 이후 세 나라의 인식과 정책은 1951년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에 도달했으며, 이후 각자의 길로 갈라졌다.(p19)

이 책은 전후 일본이 한국령인 독도를 영토분쟁 대상지역으로 주장하게 된 가장 큰 배경이 샌프란시스코 평화회담에 있었다고 본다... 이 책은 전후 독도문제가 동북아시아에 대한 미국의 정책적 영향력•결정력이 초래한 지역문제였으며, 그 결정력의 그늘이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때문에 전후 독도문제는 한일관계보다는 한미일관계의 성격이 강했으며, 역사적 영유권의 문제보다는 국제정치적 지역문제의 성격이 강했다는 주장을 유지하고 있다.(p1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일본회의는 1997년 5월 30일, 유력한 우파단체로 알려진 두 조직, '일본을 지키는 국민회의'와 '일본을 지키는 모임'이 통합하며 새롭게 결성되었다. '일본을 지키는 국민회의'는 1981년 10월에 탄생했는데. 이른바 '원호법제화운동 元?法制化運動' 등을 추진한 단체를 발전시키고 개편한 것이었다.(p21)... '국민회의'는 말 그대로 학계, 재계, 종교계, 정계의 우파란 우파는 모두 결집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조직이다. 한편, '일본을 지키는 모임'은 '국민회의'에 앞서 1974년, 주로 우파계 종교단체가 중심이 되어 결성했는데 이른바 '종교 우파조직'이라 할 수 있다.(p23) <일본 회의의 정체> 中


 <일본회의의 정체 日本會議の正體>는 현 일본 총리 아베 신조(安倍 晋三, 1954 ~ )의 배후로 알려진 '일본회의'라는 조직을 파헤친 책이다. 최근(2019년) 일본과 우리나라의 갈등이 커지면서 일본 극우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이 책은 이에 대한 궁금증을 어느정도 해소해준다. 이번 페이퍼에서는 <일본회의의 정체>를 중심으로 일본의 극우화와 천황제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우리나라가 IMF위기를 맞이한 1997년 결성된 일본회의는 일본 내 우파 세력들이 통합되어 만들어진 조직으로, 일본회의의 원류를 신흥종교단체 '생장의 집 生長の家'에서 찾는다. 그리고, 이들이 종교를 바탕으로 맺어진 조직이기에 끈끈한 유대감과 지속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었다고 설명한다. 


 일본회의의 원류가 신흥종교인 생장의 집 출신의 우파정치가들이었다고 한다면, 현재 일본회의를 지탱하는 주축은 이세 신궁을 본종으로 하는 신사본청을 정점에 둔 신도 종교집단이다. 종교단체로서의 신도와 신사계에는 엄청난 동원력과 자금력, 영향력이 있다.(p121) <일본 회의의 정체> 中


 일본회의의 원류는 신흥종교단체인 생장의 집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 사실은 이미 의심할 여지가 없다. 아니, 정확히 말하자면 생장의 집 출신자들에 의한 정치활동이 일본회의로 이어지면서 전후 일본 우파운동의 원류가 되었다고 말해야 할 것이다.(p115)... 이들의 뿌리에는 '종교심'이 있다. 일반인의 감각으로는 좀처럼 이해할 수 없지만, 어린 시절부터 심어진 '종교심'은 쉽게 흔들리지 않고, 쉽게 바뀌지 않고 바꿀 수조차 없다. 타인이 어떻게 생각하건 신경 쓰지 않고, 포기하지 않고, 믿는 바를 향해 오직 직진할 뿐이다.(p117) <일본 회의의 정체> 中


 생장의 집에서 시작된 극우운동은 일본 전통의 신도(神道) 세력과 결탁하면서 튼튼한 자금 지원을 받으며 일본 사회에 뿌리를 내리게 되었다. 이처럼 종교(宗敎)가 중심이 되어 뭉친 이들 일본회의가 추구하는 이념은 무엇일까. 그것은 한마디로 전전(戰前)으로의 회귀(回歸)다.


 일본회의와 그 전신인 우파조직은 무엇보다 먼저 1) 천황, 황실, 천황제의 수호와 그 숭배, 이어서 2) 현행 헌법과 그로 상징되는 전후체제의 타파, 그리고 이에 부수하는 것으로서 3) '애국적'인 교육의 추진, 4) '전통적'인 가족관의 고집, 5) '자학적'인 역사관의 부정. 이로부터 파생한 그 밖의 주제를 다룰 수는 있어도 역시 핵심적인 운동대상은 이상 5가지로 집약된다고 할 수 있다.(p204) <일본 회의의 정체> 中


 저자는 <일본회의의 정체>에서 이들이 자신들의 요구를 관철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방편 또한 제시한다. 일본회의와 그 별동대가 외부에서 '여론'을 조성하면, 우파정치인들이 장악한 지방의회와 중앙의회가 이러한 여론의 압박에 못이겨 결국 자신들의 요구를 관철시키는 방식이 이들이 즐겨 사용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이 낯설게 느껴지지 않는 것은 SNS를 통한 가짜뉴스의 생산과 확산이라는 우리의 현실 때문일 것이다. 

 

 대규모 운동의 경우에는 신사본청이나 신사계, 신흥종교단체와 같은 동원력, 자금력을 보유한 조직의 후원을 받으면서 전국 각지에 '캐러밴대'라는 명칭의 회원부대를 파견하여 '풀뿌리 운동'으로 대량의 서명 모집과 지방조직 구축, 또는 지방의회에서의 결의와 의견서 채택을 추진함으로써 '여론을 형성한다. 이와 동시에 중앙에서도 일본회의와 관련 단체, 종교단체 등이 연계하여 '국민회의'라는 명칭의 조직을 설립하고, 대규모 집회등을 파상적으로 개최하여 시선을 끌면서 전국에서 모은 서명과 지방의회의 결의, 의견서를 갖고 중앙정계를 압박한다. 한편, 뜻을 같이하는 국회의원들도 이에 호응하여 의원연맹이나 의원 모임을 결성하고, 여당과 정책결정자를 움직여 운동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한다. 이처럼 일본회의와 그 전신인 우파조직은 최근 수십 년 동안 주로 5가지 주제로 집약되는 '국민운동'을 일관되게 전개해왔다.(p205) <일본 회의의 정체> 中


 종교적 차이에서 비롯된 작은 이견들을 버리고 하나로 대동단결하여 일본회의라는 정치집단으로 결집했다. 거기에 배경음악처럼 깔린 것이 바로 전쟁전 체제, 즉 천황 중심 국가체제로의 회귀 욕구다.(p149) <일본 회의의 정체> 中


 일본 천황을 중심으로 한 제2차 세계대전 이전의 제국주의 국가로의 복귀. 이것이 그들이 추구하는 이상향(理想鄕, Utopia)이다. 여기에 이르기 위해 그들은 평화헌법의 개정을 요구하면서 '군국주의 軍國主義'로의 부활을 꿈꾸고 있다는 것이 저자의 결론이다. 그렇다면, 그들이 추구하는 전쟁 전 체제 안의 천황(일왕) 이미지는 어떤 것이어야할까. 루스 베네딕트(Ruth Benedict, 1887 ~ 1948)의 <국화와  칼 The Chrysanthemum and the Sword : Patterns of Japanese Culture>에서 천황에 대해 언급한 부분을 찾아보자.


 일본인들은 한결같이 천황을 모든 비판을 넘어선 존재로 여긴다. 이러한 태도는 미국인에게는 이해하기 어려운 태도다. 하지만 패전이라는 상황에서조차 모든 비판을 넘어서는 천황의 초월성이 일본의 목소리였음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p62)... 하여간 군국주의자들은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 천황에 대한 충성심에 호소하고 또 그것을 최대한 이용했다. 그들은 부하 장병에게 "천황 폐하의 뜻에 맞도록" "천황 폐하의 근심을 없애도록" "천황 폐하의 인자하심에 대한 그대들의 존경심을 표시하도록" "천황을 위해 죽으라"고 호소했다.(p63) <국화와 칼> 中


 섬나라라는 지정학적 특성으로 인해 외적으로부터 거의 침략을 받지 않아 오랜 기간 단일 왕조를 유지할 수 있었기에, 그들은 천황을 신(神)과 같이 떠받들어 왔고, 그들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덴노헤이카 반자이 天皇陛下 萬歲'를 외치며 적 앞으로 돌진할 수 있었다. 그리고, 지금 그들은 이 지점으로 돌아가려 한다. 이를 위해 역사(歷史)를 왜곡하고, '애국 교육'의 확대 실현을 하려는 그들의 목표 속에서 우리는 플라톤(Platon, BC 424 ? ~ BC 348 ?)의 이상 국가의 모습을 찾을 수 있다. 여기에 부가하여 민주주의 절차에 전제군주정의 조합은 다른 의미에서의 적도 또는 중용이 아닐까 생각하게 된다. 그런 면에서 그들은 플라톤주의자인지도 모르겠다.

 

교육(paideia)은 법에 의해 규정된 바른 원칙(ho logos orthos)으로의 아이들(paides)의 이끎(holke) 그리고 인도(agoge)이며, 또한 이것은 가장 합리적이고 가장 연장자인 사람들한테서 경험을 통해 정말로 바른 것으로 인정을 받은 것이라는 겁니다.(제2권 659d) <법률> 中


 전제적인 통치를 하는 유형들과 자유롭게 하는 유형들 각각이 어떤 적도(適度) 상태(metriotes)를 취하게 되었을 경우에는, 그럴 경우에는 그것들에 유달리 번영(eupragia)이 일었음을 보았습니다. 반면에 그 각각이 극단으로, 즉 한쪽은 노예 상태의 것들의 극단으로 다른 쪽은 그 반대 것들의 극단으로 나아갈 경우에는, 그 어느 쪽에도 유익함은 없었습니다.(제3권 701e) <법률> 中


 일찍이 마루야마 마사오(丸山眞男, 1914 ~ 1996)의 <일본정치사상사연구 日本政治思想史硏究>에서 메이지 사상가들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리하고 있다. 이들을 본받아 현재 일본회의의 엘리트들은 자신들이 일본을 근대화 시킨 메이지 사상가들의 후손임을 강렬히 자각하면서 일본인들에게 '국가 國家'라는 이념을 깊이 새기는 것을 것을 사명으로 생각하는 것은 아닌가도 생각하게 된다. 아베가 메이지 유신의 주역이었던 조슈(長州)번 후손임을 고려한다면 무리한 해석만은 아닐 것이다.


  "중개(仲介) 세력"의 배제가 서민층의 능동적 참여 없이, 실로 "중개 세력"을 구성하고 있는 사람들에 의해서만 수행되었다는 점이 근대적 국민국가를 형성하기 위한 유신의 제(諸) 변혁의 성격을 결정지워주는 요인이었다. 여전히 사라지지 않은 국제적인 중압 속에서 "전국 인민들의 뇌리 속에 국가<國>라는 생각을 갖도록 만든다"(the implantation of the concept 'nation' in the minds of the people of the entire country) (福澤, <通俗國權論>)는 것은, 바야흐로 새로이 메이지(明治) 사상가들이 두 어깨로 짊어져야 할 절실한 과제가 되었다.(p516) <일본정치사상사연구> 中


 종교심과 사명감이 결합했을 때 인간은 얼마나 완고해질 수 있는가를 유럽의 십자군전쟁(Crusade, 1095 ~ 1492)을 통해 우리는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일본회의를 바라봤을 때, 일본 극우화의 움직임이 얼마나 일본 사회에 뿌리깊은 것이며, 전방위적인 것인가를 잘 알려준다. 또한, <일본회의의 정체>안의 극우단체의 모습은 한국의 우리에게도 많은 시사점을 던진다. 예를 들어, 생장의 집으로 대표되는 종교계와 제국주의 일본을 꿈꾸는 세력의 결합은 오늘날 전광훈 목사로 대표되는 극우 개신교 세력과 박정희 유신 체제의 부활을 꿈꾸는 태극기 부대의 결합을 연상케 한다. 비록 형태는 다르지만, 종교와 결합된 정치세력이 극우의 모습으로 표현된 것은 한일 공동의 모습일런지도 모르겠다.


[사진] 전광훈 목사 집회 모습 (출처 : 프레시안)


 돌아보면, 과거 태평도(太平道)를 앞세운 황건적(黃巾賊), 백련교도 중심의 홍건적(紅巾賊), 홍수전(洪秀全, 1814 ~ 1864)의 태평천국(太平天國) 모두 종교를 중심으로 일어난 민란이며, 서구의 제국주의 침략도 종교의 결탁을 통해 이루어졌음을 봤을 때 종교와 정치는 역사적으로 뗄 수 없는 관계인 듯하다. 종교의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 모두를 고려한다면 종교는 양 날의 검(劍)인 하다. 


 내용이 꽤 길어졌으니 이제 마무리를 하자. 이는 종교와 정치 그리고 천황제의 유지에 대한 가라타니 고진(柄谷行人, 1941 ~ )의 <일본정신의 기원 日本精神分析>의 내용을 옮기는 것으로 대신하며, 이만 줄이자.

 

 불교는 특별히 관용의 종교는 아니다. 거꾸로 말해서 일신교가 특별히 가혹하다는 것도 아니다. 가혹한 것은 세계 제국의 군사적 정복과 지배다. 종교가 오직 그 수적 '힘'만으로 세계로 퍼져나가는 일은 없다. 세계종교가 구舊 세계제국의 범위 안에서만 확산되었다는 것이 그 증거다.(p114)... 일본에서 천황제가 존속한 것은 천황제가 뿌리 깊은 신화적인 힘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 아니라, 한반도가 있어서 한 번도 이민족에게 직접 지배당하지 않아도 되었기 때문이다.(p115) <일본정신의 기원> 中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9-12-10 18:2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9-12-10 19:01   URL
비밀 댓글입니다.
 
일본회의의 정체 - 아베 신조의 군국주의의 꿈, 그 중심에 일본회의가 있다!
아오키 오사무 지음, 이민연 옮김 / 율리시즈 / 201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본회의와 그 핵심, 주변에 있는 ‘종교심‘에 의해 움직이는 종교 우파의 정치사상은 확실히 위험성을 내재한다. 자민족 중심주의, 천황 중심주의, 국민주권의 부정, 지나치기까지 한 국가 중시와 인권의 경시, 정교분리의 부정. 이 모든 것을 고려했을 때, 일본회의의 정체는 무엇인가? 결론을 한 마디로 말하자면, 전후 일본 민주주의 체제를 사멸의 길로 몰아넣을 수 있는 악성 바이러스와 같은 것이라고 생각한다.(p235)

일본회의와 아베 정권이 총력을 기울이는 헌법개정의 성공 여부가 모든 열쇠를 쥔 것은 분명하다. 그것은 또한 전후 민주주의 아니 근대, 근대 민주주의 근본원칙 전체를 지킬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가름하는 최후의 보루를 둘러싼 경쟁이기도 하다.(p23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