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고사성어(故事成語)

 

 

군계일학(群鷄一鶴)

: 닭의 무리 속에 있는 한 무리의 학이라는 뜻으로,

평범한 많은 사람 가운데서 뛰어난 사람을 이름. 계군일학(鷄群一鶴)

 

() 무리 군

무리, , 떼 지어 모이다, 동아리, 동료(同僚)

 

() 닭 계

, 가금(家禽)

 

() 한 일

하다, 한 번, 처음, 오로지, 모두, 동일하다

 

() 학 학

, 두루미, 희다, , 빛깔의 비유, 호미의 머리 부분

 

........................................

 

군계일학학립계군(鶴立鷄群, 닭 무리 속에 우뚝 선 학)’또는 계군일학(鷄群一鶴, 닭 무리 속의 한 마리 학)’이라고도 한다. 중국은 계군일학을 주로 쓴다.

 

이 성어는 남조시대 세속의 명리를 버리고 자연과 더불어 고담준론(高談峻論), 즉 고상한 대화인 청담(淸談)을 일삼은 인사들 가운데 일곱 명을 가리키는 죽림칠현(竹林七賢)’의 일화에서 비롯되었다.

 

죽림칠현(竹林七賢)의 한 사람인 혜강의 아들 혜소는 열 살 때 아버지 혜강이 무고죄로 사형을 당하자 산속에 숨어 어머니와 살았다. 훗날 혜소가 처음으로 낙양에 들어 갔을 때 어떤 사람이 죽림칠현의 한 사람인 왕융(王戎)에게 다음과 같이 말했다. “그저께 혼잡한 군중 속에서 혜소를 처음 보았습니다. 그의 드높은 혈기와 기개는 마치 닭의 무리 속에 있는 한 마리 학과 같더군요.”

이 말을 듣고 왕융이 대답했다.

그것은 자네가 그의 부친을 본 적이 없기 때문일세.”

왕융은 군계일학의 혜소보다 그 아버지 혜강을 한 차원 높게 평가했다. ‘군계일학과 비슷한 뜻을 가진 단어로 발군(拔群, 여럿 중에서 특별히 뛰어남)’, ‘백미(白眉, 원래 흰 눈썹을 가리키지만 여럿 중에서 가장 뛰어남을 의미함, 옛날 촉의 마씨 집안 형제 중 눈썹 속에 흰 털이 있는 마량(馬良)이 가장 뛰어난 데서 유래한 말)’ ‘절륜(絶倫, 월등하게 뛰어나거나 출중함)등이 있다.

 

 

 

_참고도서 : 알고 쓰자 고사성어김영수 / 창해

_사진출처 : UnsplashAnnie Spratt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의 고사성어(故事成語)

 

교학상장(敎學相長) : 가르침과 배움이 함께 성장한다.

가르치면서 배우고, 배우면서 가르치면 서로 성장할 수 있다는 뜻.

 

() 가르칠 교

가르침, 교령, 가르치다, 하여금

 

() 배울 학

배우다, 학문, 학자

 

() 서로 상

서로, 보다, 자세히 보다, 바탕

 

() 길 장

길다, 길이, 오래도록, 늘이다

 

.............................

 

아름다운 옥이라도 쪼고 다듬지 않으면 그릇이 되지 못하고, 사람은 배우지 않으면 도를 모른다. 이런 까닭으로 옛날에 왕이 된 자는 나라를 세우고 백성들에게 임금 노릇을 함에 가르침()과 배움()을 우선으로 삼았다. (....) 비록 좋은 안주가 있더라도 먹지 않으면 그 맛을 알지 못하고, 비록 지극한 도가 있더라도 배우지 않으면 그 좋음을 모른다. 이런 까닭으로 배운 연후에 부족함을 알고 가르친 연후에야 막힘을 안다. 부족함을 안 연후에 스스로 반성할 수 있고, 막힘을 안 연후에 스스로 힘쓸 수 있으니, 그러므로 말하기를 남을 가르치는 일과 스승에게 배우는 일이 서로 도와서 자기의 학업을 증진시킨다고 한다.

 

배움만으로도 부족하고 가르치기만 해서도 모자란다. 배움에도 가르침에도 끝은 없다. 언제든 배운다는 자세로, 아랫사람에게 물어도 부끄러워하지 않아야 하고, 자신이 아는 것을 언제든 기꺼이 베풀 수 있어야 한다. 가르침과 배움을 기꺼이 베풀고 받아들여 자신의 학문과 인격 수양을 높여야 한다는 뜻이기도 하다. 공자는 모르면 아랫사람에게 묻는 것이 부끄럽지 않다불치하문(不恥下問)’이란 명언을 남겼다. 이것이 교학상장의 진정한 의미다.

 

 

_참고도서 : 알고 쓰자 고사성어김영수 / 창해

_사진출처 : UnsplashBoston Public Library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의 고사성어(故事成語)

 

 

교각살우(矯角殺牛)

: 소의 뿔을 잡으려다가 소를 죽인다는 뜻으로, 결점이나 흠을 고치려다가

수단이나 정도가 지나쳐 일을 그르친다는 뜻.

 

() 바로잡을 교

바로잡다, 곧추다, 바루다, 도지개, 뒤틀린 활을 바로잡는 기구, 속이다

이법(理法)을 굽히다, 속여 군명(軍命)을 빙자하다

 

() 뿔 각

, 짐승의 뿔, 달팽이나 곤충의 촉각, , , 구석, 한 모퉁이

 

() 죽일 살(빠를 쇄)

빠르다, 죽이다, 죽다, 매우, 지우다, 베다, 어조사

 

() 소 우

, 무릅쓰다, 별 이름, 견우성

 

..................................

 

한 나라 또는 단체와 조직에 나쁜 경향이나 좋지 못한 습관 따위가 나타날 때, 리더가 그것을 바로잡으려면 어느 쪽에도 치우치지 않는 정당한 방법을 채택해야지, 힘만 믿고 처리하려해서는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교각살우는 문제 해결에만 급급한 리 더들이 쓰는 방법이다. 마치 휘어버린 대나무를 곧게 펴려고 힘을 지나치게 쓰는 것과 같다. 휜 대쪽을 똑바로 또는 수평이 되는 자리까지만 눌러서는 바로 펼 수 없다. 굽은 쪽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눌렀다가 천천히 놓아서 그 탄력으로 회복되기를 기다려야 ()’,‘()’의 수평에 이를 수 있는 것이다.

 

권력(權力)이란 단어에 대한 오해도 그렇다. 대부분 권력은 움켜쥐거나 차지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권력의 참뜻은 힘을 나누어 균형을 잡는다는 것이다. 권력의 이 다름 아닌 저울추이기 때문이다. 영어로 표현하자면 ‘Balnace of Power’. 이 균형이 한족으로 기울면 반발이 생기고 무력으로 저항하여 권력을 가진 자를 무너뜨린다.

 

유사성어 : 교왕과정(矯枉過正)


() 굽을 왕

굽다, 굽히다, 사곡(邪曲)한 사람

 

() 지날 과

지나다, 초월하다, 낫다, 빠져나가다, 여유가 있다, 심하다, 동떨어지다

실수하다, 틀리다, 분수를 잃다, 잘못하여 법을 어기다, 실수

 

 

 

_참고도서 : 알고 쓰자 고사성어김영수 / 창해

_사진출처 : UnsplashKseniya Konovet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의 고사성어(故事成語)

 

광음여류(光陰如流)

; 세월이 가는 것이 물의 흐름처럼 빠름.

시간이 빠르게 지나가는 것을 비유하는 사자성어

 

() 빛 광

, 빛나다, 광택

 

() 응달 응

응달, (), 습기, 축축함

 

() 같을 여

같다, 같게 하다, 따르다

 

() 흐를 류

흐르다, 물이 낮은 데로 흐르다, 떠내려가다, 시간이 지나가다

흘러내리다, 흘리다, 물이나 눈물이 흐름, 흐름, 흘러가는 물

냇물이 흐르는 방향

 

.......................

 

중국 문헌에는 세월여류(歲月如流)’로 나온다. 남조시대 진()나라 사람 서릉(徐陵, 508~583)의 윗글과 수호전(水滸傳)등에 대부분 세월여류로 표현되어 있다. ‘광음은 글자 그대로 풀이하면 빛 그림자가 되는데, 세월이나 시간을 나타내는 단어로 사용된다. 남조시대 양()나라 문인 강엄(江淹)의 유명한 문장 별부를 시작으로 당나라 시인 이백(李白)의 시에 이르기까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광음이 들어간 유명한 문장으로 늦기 전에 부지런히 공부하라는 주희(朱熹)권학시,勸學詩를 많이 인용한다. 다음은 그 원문과 번역문이다.

 

소년이로학난성(少年易老學難成) 젊음은 쉬 늙지만 배움은 이르기 어려우니

일촌광음불가경(一寸光陰不可輕) 한 시라도 가벼이 여기지 말지어다.

미각지당춘초몽(未覺池糖春草夢) 연못가 봄풀이 깨기도 전에

계전오엽이추성(階前梧葉已秋聲) 계단 앞 오동나무 잎이 가을을 알리는구나.

 

 

_참고도서 : 알고 쓰자 고사성어김영수 / 창해

_사진 출처 : UnsplashJ V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의 고사성어(故事成語)

 

 

관포지교(管鮑之交)

: 중국 춘추시대의 관중(管仲)과 포숙아(鮑叔牙)의 사귐이 매우 친밀하였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로, 아주 친한 친구 사이의 다정한 교제를 일컬음.

 

() 피리 관

, 대나무로 만든 악기의 총칭, 대롱

 

() 절인 어물 포

절인 어물, 전복, 석결명(石決明), 갖바치, 혁공(革工)

 

() 갈 지

가다, (指示代名詞), ~(冠形格助詞)

 

() 사귈 교

사귀다, 주고받고 하다, 서로

 

..................................

 

관포지교는 우정의 대명사라 할 정도로 널리 알려진 고사성어다. 기원전 7세기 춘추시대 제나라의 관중(管仲)과 포숙(鮑叔)은 어릴 때부터 함께 어울려 지낸 친구였다. 한 때 장사도 같이 했다. 그 후 관중은 공자 규()를 보좌했고, 포숙은 공자 소백(小白)을 보좌하게 되었다. 두 공자는 국군 자리를 놓고 서로 싸웠다. 그 결과 공자 규는 피살되고 그를 도와준 관중도 잡혔다.

 

정쟁 과정에서 관중은 공자 소백을 활로 쏘아 죽이려 했고, 소백은 당연히 관중을 원수로 여겨 죽일 생각이었다. 포숙은 환공(桓公, 즉 소백)에게 관중은 모든 면에서 자신보다 뛰어나다며 관중을 살려 주는 것은 물론 자신에게 돌아올 재상 자리를 관중에게 주라고 설득했다. 포숙의 간곡한 청에 환공은 관중을 살려주고 재상에 임명했다. 관중은 환공을 도와 제나라가 춘추시대의 패자(霸者)가되는 데 결정적인 공을 세웠다.

 

관중은 자신을 알아주고 보살펴 준 포숙의 우정을 두고 나를 낳아 주신 이는 부모님이지만(생아자부모, 生我者父母), 나를 알아준 사람은 포숙아였다(지아자포자야, 知我者鮑子也)”라고 술회했다. 훗날 사람들은 두 사람의 우정을 관포지교라는 사자성어로 칭송했다. ‘관중과 포숙의 우정에 버금가는 우정을 나타내는 성어를 든다면 서로 목숨을 내놓는 우정이라는 뜻의 문경지교(刎頸之交)’가 있다.

 

 

_참고도서 : 알고 쓰자 고사성어김영수 / 창해

_사진출처 : UnsplashYomex Ow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