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외국 外國


 외국 사람 → 이웃사람 / 곁나라 사람

 외국 유학 → 바깥배움 / 먼배움

 외국으로 이민 가다 → 먼나라로 떠나다

 외국 자본을 유치하다 → 다른나라 돈을 들이다

 외국 문화가 무조건 우월하다고 믿는 → 바깥바람이 늘 높다고 믿는

 외국에서 온 사람처럼 → 먼나라서 온 사람처럼


  ‘외국(外國)’은 “자기 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 ≒ 외방·이조”를 가리킨다고 합니다. ‘곁나라·옆나라’나 ‘다른나라·다른겨레·딴나라·딴겨레’로 손봅니다. ‘먼나라·먼겨레·머나먼 나라·멀디먼 나라’나 ‘나라밖·바깥·밖·바깥나라·밖나라·바깥겨레·밖겨레’로 손볼 만하고, ‘남·남남·남나라·남누리’로 손보면 돼요. ‘이웃·이웃꽃·이웃하다’나 ‘이웃나라·이웃겨레·이웃자리·이웃터’로 손보고, ‘낯설다·설다·다르다·멀다’나 ‘너머·너머꽃·너머길·너머빛·너머누리·너머나라’로 손보아도 어울립니다.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외국(外局)’을 “중앙 행정 기관의 본부 밖에 두는 기관”으로 풀이하면서 싣지만 털어냅니다. ㅅㄴㄹ



외국과 기술제휴도 하지 않고

→ 이웃나라와 손도 잡지 않고

→ 옆나라와 맞잡지도 않고

《포니를 만든 별난 한국인들》(강명한, 정우사, 1986) 18쪽


수박 겉핥기 식 외국 여행을 하지 않으려면

→ 수박 겉핥기 같은 바깥마실을 안 하려면

→ 수박 겉핥기 이웃나들이를 하지 않으려면

《모독冒瀆》(박완서, 학고재, 1997) 5쪽


외국문화의 수용에도 결코 인색하지 않았다

→ 바깥물결도 까칠게 안 굴고 받아들였다

→ 밖바람도 까다롭게 안 굴고 받아들였다

《조선 최고의 명저들》(신병주, 휴머니스트, 2006) 131쪽


어설픈 외국의 이론을 부여잡고 고담준론만으로 일관하거나 출판자본이 만들어내는 잠시의 명예에 안주할 일이 아니다

→ 어설픈 바깥틀을 부여잡고 대단한 듯이 떠벌이거나 책마을 돈꾼이 치켜세우는 가벼운 이름값에 좋아할 일이 아니다

→ 어설픈 바깥말을 부여잡고 자랑질로 흐르거나 책마을 돈바치가 꾸며내는 가벼운 이름값에 머물 일이 아니다

→ 어설픈 바깥길을 부여잡고 잘난 척만 하거나 책마을 돈벌레가 띄우는 가벼운 이름값에 들뜰 일이 아니다

→ 어설픈 바깥바람을 부여잡고 말자랑을 늘어놓거나 책판 돈쟁이가 지어낸 가벼운 이름값에 맴돌 일이 아니다

《곤혹한 비평》(이현식, 작가들, 2007) 95쪽


반출된 물품의 상당수가 외국의 교환시장에서 팔려나가

→ 빼낸 살림은 이웃나라 저잣판에 잔뜩 팔려나가

→ 슬쩍한 살림은 옆나라 장사판에 엄청 팔려나가

《티베트, 말하지 못한 진실》(폴 인그램/홍성녕 옮김, 알마, 2008) 50쪽


외국 문화의 방정식을 규명하기보다는

→ 밖살림이 어떠한가를 알아내기보다는

→ 바깥길과 얽힌 실타래를 밝히기보다는

《번역의 탄생》(이희재, 교양인, 2009) 402쪽


그런 기회가 없는 어른들은 같은 외국 생활에도 언어 습득이 느릴 수밖에 없다

→ 그런 틈이 없는 어른들은 같은 바깥살이에도 말 배우기가 느릴 수밖에 없다

→ 그런 자리가 없는 어른들은 같은 바깥살이에도 말을 느리게 배울 수밖에 없다

《외교관 엄마의 떠돌이 육아》(유복렬, 눌와, 2015) 181쪽


외국의 멋진 우표도 동봉하게 되었는데 진귀한 우표를 찾으려고

→ 이웃나라 멋진 나래꽃도 넣었는데 값진 나래꽃을 찾으려고

→ 옆나라 멋진 날개꽃도 담았는데 드문 날개꽃을 찾으려고

《편지의 시대》(장이지, 창비, 2023) 6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사발통문



 그가 돌린 사발통문에 의하면 → 그가 돌린 대접글씨에는

 사발통문 거사 계획을 세웠다 → 둥근글씨로 큰일을 그렸다

 주변 지인들에게 사발통문을 돌려 → 둘레에 두레글을 돌려


사발통문(沙鉢通文) : 호소문이나 격문 따위를 쓸 때에 누가 주모자인가를 알지 못하도록 서명에 참여한 사람들의 이름을 사발 모양으로 둥글게 삥 돌려 적은 통문



  한문을 쓰던 무렵에는 그릇을 놓고도 한자말 ‘사발’이라 했으니, ‘사발 + 통문’이었을 테고, 오늘날에는 우리말 ‘대접’을 넣어서 ‘대접글·대접글씨’로 풀어낼 만합니다. 둥글게 쓰기에 ‘둥근글·둥근글씨’라 할 만합니다. 여러 이름을 모으면서 두레를 밝히니 ‘모둠글·두레글’이라 할 수 있고, ‘같이쓰기·함께쓰기’라 해도 어울립니다. ㅅㄴㄹ



사발통문 같은 오월 하늘에 마음을 빼앗겨 오늘도 거사는 실패

→ 대접글 같은 닷달 하늘에 마음을 빼앗겨 오늘도 큰일은 뒤뚱

→ 둥근글 같은 닷달 하늘에 마음을 빼앗겨 오늘도 일은 꽈당

《이파리 같은 새말 하나》(변홍철, 삶창, 2022) 62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사회의


 사회의 문제를 좌시하지 않겠다 → 나라일을 팔짱끼지 않겠다

 한국 사회의 단면을 분석하여 → 우리 터전을 켜켜이 살펴

 개미 사회의 생활을 연구한다 → 개미 모둠살이를 살핀다

 인간 사회의 현실도 차이가 없다 → 우리 삶터도 다르지 않다


  ‘사회(社會)’는 “1. 같은 무리끼리 모여 이루는 집단 2. 학생이나 군인, 죄수 들이 자기가 속한 영역 이외의 영역을 이르는 말 3. [사회 일반] 공동생활을 영위하는 모든 형태의 인간 집단 4. [역사] 촌민(村民)이 입춘이나 입추가 지난 뒤에 다섯째 무일(戊日)인 사일(社日)에 모이던 모임”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사회 + -의’ 얼개라면, ‘-의’부터 털고서 ‘삶터·터전·살림터·삶자리’나 ‘판·터·마당’로 손볼 만하고, ‘나라·누리·마을’이나 ‘덩어리·덩이’나 ‘모둠살이·사람살이’로 손볼 만합니다. ‘널리·두루’나 ‘온누리·온나라·온땅·온터’나 “이 땅·이 나라”로 손보아도 어울립니다. ㅅㄴㄹ



만약에 누군가가 우리 사회의 본질적인 문제를 밝히고자 했을 경우 베스트셀러는커녕 잡혀가기부터 합니다

→ 누가 우리 삶터를 이루는 밑뿌리를 밝히고자 했다면 잘팔리는 책은커녕 잡혀가기부터 합니다

→ 누가 우리 삶터에 깃든 속살을 밝히고자 했다면 잘팔리는 책은커녕 잡혀가기부터 합니다

→ 누가 우리 삶터를 낱낱이 밝히고자 했다면 잘팔리는 책은커녕 잡혀가기부터 합니다

《난 월급받는 시인을 꿈꾼다》(오봉옥, 두리, 1992) 119쪽


분명히 낙후되어 있던 사회의 문학청년이

→ 틀림없이 뒤처진 터전인 젊은글님이

→ 아무래도 너절한 삶터에서 푸른글님이

《시란 무엇인가》(유종호, 민음사, 1995) 73쪽


의사들은 한국사회의 가장 대표적인 고소득 전문 직업군이자

→ 돌봄이는 우리나라에서 손꼽히도록 돈 많이 버는 무리이자

→ 돌봄이는 이 땅에서 내로라 할 만큼 돈 많이 버는 이들이자

→ 돌봄지기는 우리나라에서 돈을 많이 벌면서

→ 돌봄일꾼은 이 나라에서 돈을 많이 벌지만

→ 돌봄이는 이 땅에서 돈은 많이 벌되

→ 돌봄지기는 돈만 많이 벌고

《B급 좌파》(김규항, 야간비행, 2001) 249쪽


사회의 룰이란 건, 전부 똑똑한 놈들이 만들고 있지

→ 삶자리 얼개란, 모두 똑똑한 놈이 세우지

→ 삶터에서 지킬 틀이란, 모두 똑똑한 놈이 짓지

→ 마을 얼거리란, 모두 똑똑한 놈이 꾸미지

→ 이곳 틀거리란, 모두 똑똑한 놈이 닦지

《꼴찌, 동경대 가다 1》(미타 노리후사/김완 옮김, 북박스, 2004) 108쪽


사람과 사람의 관계가 무너져 버린 일본 사회의 추악한 모습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수치가 아닌가

→ 사람과 사람 사이가 무너져 버린 추레한 일본을 잘 보여주지 않는가

→ 사람과 사람 사이가 무너져 버린 못난 일본을 남김없이 보여주지 않는가

→ 사람과 사람 사이가 무너져 버린 얼뜬 일본을 오롯이 보여주지 않는가

→ 사람과 사람 사이가 무너져 버린 더러운 일본을 깡그리 보여주지 않는가

《인생이라는 이름의 여행》(고히야마 하쿠/양억관 옮김, 한얼미디어, 2006) 217쪽


우리 사회의 소중한 인적 자원이라는 생각을 하지 못합니다

→ 우리 터전에 빛나는 넋이라는 생각을 하지 못합니다

→ 우리나라에 값진 숨결이라는 생각을 하지 못합니다

《다수를 위한 소수의 희생은 정당한가》(표창원과 네 사람, 철수와영희, 2016) 176쪽


이 사회의 소수자가 아닐까 생각하기도 해

→ 이 나라에서 적다고 생각하기도 해

→ 이 삶터에서 드물다고 생각하기도 해

《아이, 낳지 않아도 될까요?》(코바야시 유미코/노인향 옮김, 레진코믹스, 2016) 107쪽


사회의 경제 권력에 봉사하는 도구로 되었고

→ 이 나라 돈바치에 이바지하는 길이 되었고

→ 이 나라 돈바치를 돕는 구실을 했고

→ 이 나라 돈바치 곁에 붙었고

《감의 빛깔들》(리타 테일러/정홍섭 옮김, 좁쌀한알, 2017) 54쪽


우리 사회의 시스템이 엉망진창이라는 사실을 모두 알고 있다

→ 우리네 얼개가 엉망진창인 줄 모두 안다

→ 우리 삶터는 기틀이 엉망진창인 줄 모두 안다

《인디고 파워를 깨워라》(도린 버츄·찰스 버츄/여연 옮김, 샨티, 2018) 8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미나의 작은 새 인생그림책 18
윤강미 지음 / 길벗어린이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4.4.28.

그림책시렁 1367


《미나의 작은 새》

 윤강미

 길벗어린이

 2023.2.24.



  《미나의 작은 새》는 “새에 대해 공부도 하고”로 첫머리를 여는데, 뭔가 아리송합니다. 새를 알고 싶다면, 새한테 다가설 노릇이요, 새하고 한마음으로 지낼 일이며, 새가 깃드는 나무랑 동무하면서, 새가 노래하는 숲을 품을 줄 알면 넉넉합니다. 한자말 ‘공부’와 우리말 ‘배우다’는 다릅니다. ‘工夫’는 “솜씨 다스리기”를 나타낸다면, ‘배우다’는 ‘몸에 배고 마음에 받아들이기’를 나타냅니다. 그나저나 《새들의 아이 미나》(에릭 바튀/이수련 옮김, 달리, 2003)라는 그림책이 자꾸 떠오릅니다. ‘새·미나’라는 두 마디가 책이름에까지 똑같이 나올 수 있고, “우리에 갇힌 새”마저 똑같이 나타나며 줄거리가 닮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미나의 작은 새”라는 책이름은, 작은 새를 ‘내 것’으로 삼는 마음씨입니다. 적어도 “미나와 작은 새”를 바라볼 줄 모른다는 얼개예요. 어린이책에 ‘-의’를 함부로 쓰니 얄궂으면서, ‘새 곁에 어떻게 있느냐’를 제대로 바라보지 못 하는 모습입니다. 우리는 새가 깃들 터전을 마구 밟았고 빼앗았습니다. 새한테 묻지 않으면서 서울을 넓히고, 부릉부릉 매캐하게 온누리를 더럽힙니다. 부디 새 곁에서 이 숲을 바라보기를 바라요. 새도 사람도 별 너머에서 보면 똑같이 작습니다.


ㅅㄴㄹ


《미나의 작은 새》(윤강미, 길벗어린이, 2023)


새에 대해 공부도 하고

→ 새를 배우고

→ 새를 살펴보고

여는말


나의 작은 새야, 드디어 숲이야! 좋은 공기를 마음껏 마셔 봐

→ 작은 새야, 드디어 숲이야! 맑은 바람을 마음껏 마셔 봐

5


숲의 공기룰 온몸으로 느끼고 있는 것 같았습니다

→ 숲바람을 온몸으로 느끼는 듯합니다

6


내 작은 새도 저 새들처럼 하늘을 날 수 있을까요

→ 우리 작은 새도 저 새처럼 하늘을 날 수 있을까요

6


아마 곧 날 수 있을 거야

→ 아마 곧 날 테지

→ 아마 곧 날겠지

6


작은 새는 미나의 주변을 천천히 날기 시작했습니다

→ 작은 새는 미나 곁을 천천히 납니다

→ 작은 새는 미나 둘레를 천천히 날아요

9


작은 새는 새들의 소곤거리는 속삭임애 귀 기울이는 겉 같았습니다

→ 작은 새는 소곤거리는 새소리에 귀 기울이는 듯합니다

→ 작은 새는 속삭이는 새소리에 귀를 기울입니다

17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너는 활짝 피어나려고 기다리고 있어 위고의 그림책
마리카 마이얄라 지음, 정보람 옮김 / 위고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4.4.28.

그림책시렁 1395


《너는 활짝 피어나려고 기다리고 있어》

 마리카 마이얄라

 정보람 옮김

 위고

 2023.3.1.



  꽃은 다 다르게 핍니다. 잎은 다 다르게 돋습니다. 줄기는 다 다르게 오르고, 뿌리는 다 다르게 뻗습니다. 그러나 서울도 시골도 풀꽃나무를 함부로 치고 자르고 손댑니다. 나무가 나무답게 가지를 뻗거나 잎을 내는 길을 싫어하는 오늘날이에요. 길나무는 어디에서나 삭둑 잘리거나 줄기를 빼앗기고 가지를 잃습니다. 산 목숨을 함부로 다루는 손은 사납습니다. 나무를 아무렇지 않게 들볶으니, 이웃사람도 괴롭히고, 아이를 억눌러요. 《너는 활짝 피어나려고 기다리고 있어》를 돌아봅니다. “Taikurinkukka”를 옮겼으니 “마법사 꽃”이라 하면 될 텐데, 책이름을 잔뜩 늘어뜨립니다. ‘마법’이란 다른 길이 아닌 ‘꽃길’이나 ‘빛길’입니다. 꽃솜씨나 빛솜씨를 한자말 ‘마법’으로 가리킵니다. 꽃으로 빛나는 손길이기에 ‘마법’이에요. 모든 어른이 처음에 품은 어린넋이 꽃빛입니다. 모든 사람이 처음 태어나면서 건사한 숨결이 꽃넋이에요. 사랑을 펴는 사람이라면 어린넋을 살리면서 보듬는다는 뜻입니다. 사랑을 등진 채 사납거나 가위질을 일삼는다면 스스로 넋을 잃고서 헤맨다는 뜻입니다. 어느 훌륭한 분만 꽃이지 않습니다. 수수한 누구나 꽃입니다. 모든 숨결은 들숨빛이자 숲꽃에 숲나무입니다. 우리 마음을 들여다봐요.


#MarikaMaijala

#Taikurinkukka (마법사 꽃)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