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andma Moses: American Modern (Hardcover)
Thomas Denenberg / Skira / 201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4.5.6.

그림책시렁 1408


《Grandma Moses American Modern》

 편집부 엮음

 Skira Rizzoly

 2016.



  집집마다 손길이 달라서 손맛이 다르고, 손멋도 손빛도 다릅니다. 똑같은 살림살이는 어디에도 없습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다 다른 사람”이 사라지면서 “다 같은 잿집(아파트)”에 “다 같은 쇳덩이(자동차)”에 “다 같은 옷차림·머리·몸매·얼굴”뿐 아니라 “다 같은 글결·말씨·끈(학력)”까지 거느리려고 합니다. 사랑을 하는 이한테 ‘사랑 자격증’이 있어야 할 턱이 없고, 아기를 낳는 이한테 ‘아기 자격증’이나 ‘엄마아빠 자격증’이 있어야 할 까닭이 없습니다. 밥옷집을 짓는 살림꾼이 ‘요리자격증·건축자격증·재봉자격증’이 왜 있어야 할까요? 《Grandma Moses American Modern》은 그림 할머니가 담아낸 ‘새로운 미국’을 보여줍니다. 모세(모제스·모지스) 할머니는 할머니로서 빚는 붓결입니다. 할머니는 “잘 그리지도 못 그리지도 않”습니다. 그저 할머니 손끝에 따라서 태어나는 그림입니다. 이른나이부터 그려야 하지 앟고, 늦은나이란 없습니다. 어릴 적부터 밥살림을 해야 밥솜씨가 뛰어나지 않아요. 사랑으로 밥을 차릴 줄 알기에 밥빛이 아름답습니다. 글이며 그림도 매한가지입니다. 뛰어나다거나 훌륭하다고 여기지 않기를 바랍니다. 그저 우리 곁 누구나 살림빛인 줄 알아보면 넉넉합니다.


#애나메리로버트슨모지스

#GrandmaMosesAmericanModern #GrandmaMoses

#AnnaMaryRobertsonMoses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가오는 5월 10~12일 사흘에 걸쳐서 

날마다 부산에서 수다꽃을 엽니다.

마음과 뜻이 있는 분은

즐겁게 마실해 보시기를 바랍니다.



ㄱ 2024년 5월 10일 19시 . 부산 동광동 <곳간> : '살림씨앗', 사전 함께 쓰기

ㄴ 2024년 5월 11일 20시. 부산 연산동 <카프카의 밤> : 이응모임 2걸음. 이오덕 읽기 모임

ㄷ 2024년 5월 12일 10시. 부산 거제동 <책과 아이들> : 바보눈 1걸음. 이오덕 읽기 모임



세 가지 수다꽃 가운데 ㄴ자리에서 쓸 밑글을 걸칩니다.

지난 2012년에 누리집에 살짝 걸친 적이 있는데

그때에는 이 글을 읽은 분이 거의 없습니다 ^^;;;

이제는 이 글을 읽고서

권정생 할배가 어떤 삶과 마음이었는지

새롭게 바라볼 수 있는 조그마한 밑돌 노릇을 할 만하려나 하고

헤아려 봅니다.

..

2005.10.1. 권정생



  누리그물(인터넷)에서 이모저모 살펴보다가 ‘권정생’ 할배 이름을 치니 여러 가지 글이 뜬다. 이 가운데 2005년 8월 26일치 〈한겨레21〉에 실린 ‘우토로 살리기 캠페인 모금’이 눈에 띈다. 남경필(20만 원), 김미화(30만 원), 강맑실(100만 원), 윤도현(30만 원)도 돈을 냈는데, 경북 안동 조탑마을 오막집에서 홀로 살아가는 권정생 할배도 10만 원을 냈다.


  두멧시골에서, 몸 움직이기 수월하지 않다는 분이, 우체국까지 손수 찾아가서 10만 원을 부쳤을 일을 헤아려 본다. 아주 천천히, 느릿느릿 걸어서, 마을 어귀 시골버스 타는 데로 간 다음, 두 시간에 하나쯤 지나가는 시골버스를 타고는 읍내나 면내 우체국으로 가셨겠지. 우체국에서 종이쪽에 슥슥 글을 적어서 돈 조금 부쳤겠지. 버스일꾼이나 우체국일꾼은 천천히 기우뚱 걷는 할배가 누구인지 알까?


  어쩐지 짠해서 눈물을 찔끔하다가, 이처럼 한결같이 이웃하고 눈물을 나누려는 모습을 가만히 그린다. 돈이 많아야 이웃사랑을 할 수 있지 않다. 100만 원을 내거나 1만 원을 내거나 대수롭지 않다. 마음이 반갑고 고맙다.


  안동 할배는 어느 ‘수재 의연 모금’에도 돈 10만 원을 낸 자국이 있다. 이오덕 어른 큰아드님이 권정생 할배한테 언젠가 ‘수재 의연 모금’을 놓고서 빙그레 웃으면서 말을 여쭌 적이 있다. “정생 형님, 신문사에 10만 원 내셨습니까?” “봤냐? 10만 원 냈지.” “돈이 10만 원밖에 없어서 10만 원을 내셨습니까? 신문에 이름이 실리고 싶으셨나요?” “허허, 그래. 내 이름 좀 신문에 나라고 냈지. 수재 의연금이라고 돈있는 사람들은 1억도 내고 5000만 원도 내서 얼굴이 실리던데, 〈한겨레〉에서는 1억을 내든 10만 원을 내든 얼굴 사진 없이 이름만 싣잖냐?” “거기는 그렇게 하지요.” “나 같은 동화작가도 10만 원을 내는 줄 사람들이 보면, 작은 아주머니도 작은 아저씨도 1만 원씩 내서 같이 이름이 실릴 수 있지 않겠니?” “요새 어른들은 동화를 안 읽어서 정생 형님 이름이 신문에 실려도 누구인지 모를 텐데요?” “그럴까? 그러면 안 되는데. 허허. 먼저 동화부터 읽으라고 해야겠네. 허허.”


  곰곰이 돌아본다. 어쩌면, 권정생 할배는 ‘나 아직 우체국으로 버스 타고 나가서 이렇게 돈 부칠 수 있을 만큼 몸 튼튼해’ 하는 이야기를 들려주는 셈이지 싶다. 적잖은 사람들이 할배 몸이 아픈 일을 걱정하지만, 그런 걱정일랑 말고, 즐겁고 아름답게 꿈을 그리고 사랑을 생각하라면서 속삭이는 10만 원이리라 느낀다.


  어떻게 살아갈 때에 삶다울까. 아름답게 살아갈 때에 삶답겠지. 어떻게 살아가야 즐거울까. 사랑스레 살아갈 때에 즐겁겠지. 밥 한 그릇을 나누고, 책 한 자락을 나누고, 마음 한 움큼을 나눈다.


ㅅㄴㄹ. (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노래꽃 / 숲노래 동시

― 내가 안 쓰는 말 . 청소년 2023.8.11.



네가 가리키는 곳을

내가 함께 걸어가고

내가 가다듬는 길을

너랑 더불어 가꾸고


날마다 하루가 흐르고

달마다 오늘이 새롭고

철마다 천천히 익히고

해마다 하나씩 이룬다


작은씨는 싹트고 뿌리내려

잎망울에 꽃망울 터뜨리고

줄기하고 가지가 튼튼하니

푸릇푸릇 숲으로 나아간다


온마음 가만히 열고서

눈뜨는 새벽에 이슬을

동트는 아침에 햇살을

온몸에 듬뿍 받아안아


ㅅㄴㄹ


어린 사람은 ‘어린이’요, 젊은 사람은 ‘젊은이’요, 늙은 사람은 ‘늙은이“입니다. 한창 푸른 나날을 보내는 사람은 ‘푸른이·푸름이’입니다. 어린이하고 젊은이 사이에 선 사람을 한자말로는 ‘청소년(靑少年)’이라 하는데, 우리말로는 ‘푸른이·푸름이’라 하면 어울립니다. 푸르게 피어나는 풀꽃을 닮은 하루이고, 푸르게 우거지는 나무를 담은 삶이고, 푸르게 바람이 일어나는 숲으로 다가가는 사랑인 ‘푸른이·푸름이’예요. 우리가 서로 어떤 이름으로 부르거나 가리키거나 맞이하는가에 따라서 마음이 다르게 자라게 마련입니다. 어린이는 어린이로서 어른 곁에서 두루 지켜보고 살펴보면서 하나씩 배웁니다. 어른은 어른답게 어린이 곁에서 고루 사랑하고 돌아보면서 하나씩 일굽니다. 푸른이·푸름이는 어린이하고 어른 사이에서 새롭게 길을 열면서 푸르게 살림빛을 밝히는 나날을 가꿉니다. 어린이는 어린숲입니다. 어른은 어른숲입니다. 푸른이는 푸른숲이에요. 푸릇푸릇 잎빛을 베풀면서 온누리가 싱그러워요. 파릇파릇 하늘빛을 품으면서 언제나 산뜻합니다. 온몸과 온마음을 푸른들과 파란하늘로 채우는 길목입니다.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노래꽃 / 숲노래 동시

― 내가 안 쓰는 말 . 무지 2023.8.10.



안다면 알뜰히 말하고

알맞게 이어가겠지

모르면 멍하니 읊다가

머뭇머뭇 망설이지


알기에 알차게 가꾸고

아름다이 헤아린다

몰라서 밀치고 몰다가

모조리 무너뜨리지


아는 사람이라면

무엇을 모르는 줄 알고

새롭게 알아가는 길에

반가이 배우며 웃어


모르는 굴레라면

뭘 모르는지 모르기에

그대로 굴레에 갇혀서

하나도 안 배우더라


ㅅㄴㄹ


알지 못 할 적에 ‘모르다’라 하고, 이를 한자말로는 ‘무지(無知)’로 나타냅니다. 모르기에 잘못이라거나 나쁘지 않아요. “모르는 줄 알” 때에는 스스로 배우려고 합니다. “모르는 줄 모를” 때에는 스스로 닫아걸면서 짜증을 내고 부아를 일으키면서 싸우거나 다투기 일쑤입니다. “모르는 줄 모를” 때에 함부로 달려들거나 몰아붙이거나 밀어대기 때문에 ‘어리석다’고 여겨요. ‘알다’라고 말할 수 있으려면 “난 내가 무엇을 모르는지 알아.” 하고 말하면서 “난 내가 모르는 길을 배울게.” 하고 덧붙입니다. 모르는 줄 알기에 “모르는 일”을 함부로 안 해요. 모르기에 늘 고개를 숙이면서 묻습니다. 모르니까 어른이어도 어린이한테 얌전하게 묻고서 배우려고 합니다. “모르는 줄 모를” 적에는 나이를 앞세워서 누른다거나, 이 핑계 저 핑계로 빠져나가려고 하더군요. 아무리 달아난들 끝나지 않으니, “모르는 길을 배워서 알려고 하지 않을” 적에는 늘 쳇바퀴를 돌아요. 쳇바퀴질로 허둥지둥하기에 그만 스스로 지쳐서 무너져요. 하나씩 배우는 길은 얼핏 더뎌 보이지만, 차근차근 스스로 세우면서 든든하고 새롭게 일어서는 살림빛입니다.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노을빛 2024.4.23.불.



네가 지켜보든 안 보든 늘 해가 뜨고 져. 네가 느끼든 안 느끼든 아침저녁으로 노을빛이 퍼져. 네가 어느 곳에 있어도 이 별은 늘 빙그르르 돌아. 네가 무엇을 하든 이 별 둘레와 먼 곳에서 숱한 별이 반짝여. 네가 곁에 가든 등을 지든, 새는 언제 어디에서나 노래하고 날아. 네가 알아채든 아니든, 지렁이는 흙을 새로 일구지. 아침노을을 느끼거나 보는 하루이니? 저녁노을을 만나거나 아는 오늘이니? 밤에는 고요하게 덮는 ‘잠빛’이고, 낮에는 환하게 퍼지는 ‘일빛’이고, 아침저녁으로는 노래처럼 번지는 ‘노을빛’이야. 구름이 끼거나 비가 오더라도 아침노을과 저녁노을이 있어. 네가 걷거나 뛰거나 앉거나 눕거나, 네 몸에는 노상 피가 흘러. 너는 말을 할 적에 피돌이를 느끼니? 숨을 쉬고 뱉는 사이에 온몸이 어떻게 거듭나는지 알아보니? 네가 스스로 숨소리를 느끼는 귀를 틔운다면, 나뭇잎이 들려주는 숨소리를 들을 수 있어. 네가 온몸에 바람이 드나들면서 기쁘게 흐르는 숨결을 느끼는 빛을 틔우면, 넌 돌과 모래가 어떻게 숨쉬는지 읽을 수 있어. 그러나 하나는 늘 새겨야겠지. 여태 몰랐거나 안 읽었기에 대수롭지 않아. 틔워서 느끼고 읽는 오늘부터 바꿀 수 있어. 바로 여기에서 하면 돼. 숨을 내쉬면서, 이 숨이 어느 하늘로 피어올라서 노을하고 섞이는지 지켜보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