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마실 . 마을책집 이야기


바보눈 (2024.4.20.)

― 부산 〈책과 아이들〉



  1970년 가을에 온몸이 불꽃으로 타오른 전태일 님은 “일하는 어깨동무”를 이루고 싶은 꿈으로 ‘바보회’라는 이름으로 모임을 꾸렸습니다. 아직 배우지 않았으니, 아직 눈뜨지 않았으니, 이제부터 ‘바라보려’는 마음이니, ‘바보’라는 낱말로 스스로 돌아보는 매무새였다고 느낍니다.


  2024년 봄에 부산에서 또다른 “이오덕 읽기 모임”을 꾸립니다. “이오덕을 보면서 나를 바라본다”는 뜻에다가, “이오덕을 읽어 가면서 ‘나’라는 마음과 삶을 새롭게 바라보는 눈을 생각하고, 스스로 ‘나살림’을 쪽글로 적어서 모아 본다.”는 마음으로, ‘바보눈’이라는 이름을 쓰기로 합니다.


  어제 배운 우리는 어제만큼 알아요. 어제 배웠기에 오늘 안 배워도 되지 않습니다. 어제 밥을 먹었으나 오늘 굶어도 되지 않아요. 어제 숨을 쉬었으니 오늘은 숨을 안 쉬어도 되지 않습니다. 새로 배우고 거듭 배우고 다시 배우고 즐겁게 배우면서 이윽고 사랑으로 배우는 살림길을 짓기에 사람답다고 느껴요.


  문득 돌아보면, 해마다 3월 끝무렵부터 4월 첫무렵 사이에 가만히 피고서 흙으로 돌아가는 모과꽃도 ‘분홍’이라는 한자말로 가리킬 만합니다. 한여름에 피어나는 배롱꽃도, 늦겨울과 첫봄에 멧골을 물들이는 진달래도 나란한 꽃빛이에요.


  온누리 온사람은 늘 온숲과 온들을 바라보면서 빛깔을 읽었어요. 둘레를 물들이는 빛깔을 한 올씩 품으면서 아이들한테 빛말을 물려주었습니다. 한봄 한복판을 부드럽게 지나가는 하루에 생각을 기울입니다. 〈책과 아이들〉에 깃들어 그림책을 읽다가, 여러 어린책을 헤아리다가, 앞으로 우리가 새록새록 지필 이야기에 글에 노래에 살림을 짚다가, 어린이도 씨앗이라 어린씨이면서 어른도 씨알이니 어른씨라고 새삼스레 떠올립니다.


  말 한 마디도 씨앗이기에 아무 말씨나 쓸 적에는 아무렇게나 뒹굴어요. 글 한 줄도 씨앗이니 아무 글씨나 치덕치덕 바를 적에는 함부로 굴더군요. 무엇이든 다 해볼 만하고 겪을 만하고 치를 만하지만, 얄궂거나 사납거나 윽박지르는 바보짓을 마음에 담는다면 마음씨가 끙끙 앓아요.


  바다를 바라보듯 눈을 뜨려고 합니다. 바람을 바라듯 귀를 틔우려고 합니다. 밭살림을 짓고 밑바탕을 추스르듯 온넋을 깨워서 함께 천천히 걸어가려고 합니다. 부산 한켠에서 ‘이응모임’을 이으면서 잇기에 있고, 다른켠에서 ‘바보눈’을 꾸리면서 일구고 가꾸자고 생각합니다. 혼자 잇지 않아요. 홀로 일구지 않습니다. 서로서로 손을 내밀어 느긋이 느슨히 넉넉히 노느는 노래자리입니다.


ㅅㄴㄹ


《엄청나고 신기하게 생긴 풀숲》(다시마 세이조/고향옥 옮김, 우리교육, 2007.5.10.)

#田島征三

《파란 막대 파란 상자》(이보나 흐미엘레프스카/이지원 옮김, 사계절, 2004.12.20.)

#IwonaChmielewska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마실꽃 2024.5.10.


오늘부터 사흘에 걸쳐

#부산마실 또는

#이야기꽃 펴는길이다.


집에서 덜 마친

#새로쓰는말밑꾸러미사전 교정지를

챙겨서 움직인다.


그래서 시외버스에서 읽을 책은

아예 안 챙겼다.


#어원사전 이 곱게 태어나도록

막바지로 가다듬는 대목은

#찾아보기 이다.


글손질보다 몇 곱으로 손이 간다.


그래도

#노래꽃 꽃 을 쓰고,

늦봄볕을 머금는다.


오늘은 5월 10일은

먼저 19시에

부산 "곳간"에서

사전 쓰는 모임인 #살림씨앗 을 한다.


사뿐히 날아가자. #곁책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4.5.11.

오늘말. 동고리


예전에 시골에서 나고자란 우리 어머니는 ‘동고리’도 알고 ‘버들고리’도 압니다. 어진 살림님인 어머니한테 풀이름을 여쭈면 척척 알려주었고, 풀벌레나 새가 어느 이름인지 짚어 주기도 했습니다. 어머니는 새벽마다 세 사람 몫 도시락을 손수 싸셨는데, 어릴 적에 어머니 곁에서 함께 밥고리를 싸려고 하면 “넌 하지 마!” 하면서 끊으셨어요. 가시내가 아니라서 집일을 안 시키려고 하셨다지만, 더 씩씩하게 집일을 함께 맡으면서 어머니 마음도 아버지 눈길도 다독일 수 있었을 텐데 싶더군요. 그래서 두 아이를 낳아 돌보는 길에 손수 나들밥을 싸서 다녔어요. 이 삶에서 스스로 임자로 서고, 아이들도 스스로 길밥을 챙기는 살림지기로 함께 살아가기를 바랍니다. 아스라이 먼 옛날에는 온집안 누구나 집일을 하고 집살림을 나누었을 테지요. 이러다가 웃머리는 집일에서 손떼면서 가시내한테 도맡기는 얼거리를 얄궂게 세우려 했어요. 서로 돕고 같이 거들면 모든 일은 한결 수월하면서 즐거울 텐데, 이제부터 하나씩 가꿀 수 있겠지요. 너도 나도 두레지기로 서기에 아름다워요. 모든 사람이 으뜸꽃에 살림꽃으로 노래하는 보금자리가 즐거워요.


ㅅㄴㄹ


싸움밥·쌈밥·도시락·동고리·밥고리·밥동고리·길거리밥·길밥·바깥밥·밖밥·나들밥·나들이밥·마실밥 ← 전투식량, 야전식량, 군량미


임자·지기·일지기·일터지기·일터님·끌다·끌고 가다·끌어가다·이끌다·돌보다·돌봐주다·보살피다·두레지기·모둠빛·모둠꽃·모둠지기·지킴이·지킴님·지킴꽃·지킴빛·지킴일꾼·우두머리·웃머리·꼭두머리·꼭두님·꼭두지기·꼭두빛·으뜸꽃·으뜸별·으뜸지기·으뜸빛·살림지기·살림이·살림님·어르신·어른·어른같다·어른답다·어른스럽다 ← 사장(社長)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4.5.11.

오늘말. 말꽃님


누구나 어려서부터 말을 잘 하지 않습니다. 누구 눈치도 안 보면서 조잘조잘 떠들 수 있는 터전에서 자라나는 아이라면, 둘레 어른이 얘가 좀 건방지거나 주제넘게 말한다고 나무랄 수는 있되, 아이는 마음껏 꿈꾸고 생각을 키웁니다. 이와 달리 아이가 실컷 떠들고 노래하고 얘기하지 말라고, 버릇없으니 입을 다물거나 닥치라고 닦달을 하면, 그만 아이는 넘어지고 자빠지면서 마음이 다쳐요. 일을 그르치는 셈입니다. 나무를 밑동부터 베어서 죽이는 창피한 짓입니다. 아이는 더듬더듬 느릿느릿 말할 수 있습니다. 아이는 거리끼지 않고서 수다꾼에 말꽃님으로 온하루를 밝힐 수 있습니다. 우리가 어른이라면, 아이가 무슨 말을 하든지 귀여겨듣되, 섣불리 꾸중하거나 흉을 보는 허방 같은 짓을 멈출 노릇이라고 봅니다. 스스럼없이 뜻을 펴면서 배우는 살림길을 누리는 아이라야, 앞으로 아름답게 크면서 꽃씨를 심는 손길을 펼 테지요. 이렇게 이끌거나 저렇게 끌어가야 하지는 않습니다. 서로 살림지기에 말빛지기로 만나면 넉넉해요. 함께 하늘빛을 품고서 흙내음을 맡으면 너그러워요. 숨을 쉴 틈이 있기에 싱그럽습니다. 눈을 뜨고 싹을 틔울 자리를 살펴봐요.


ㅅㄴㄹ


잘못·버릇없다·건방지다·주제넘다·넘어지다·고꾸라지다·자빠지다·그르치다·그릇되다·빠뜨리다·빠지다·비다·말썽·맞지 않다·사달·어긋나다·부끄럽다·스스럽다·창피하다·탓·터지다·튿어지다·틀리다·삐거덕·삐끗·구멍·틈·빈틈·흉·허물·허방·허튼·헛말·헛발·허술하다·뒤엉키다·뒤뚱·떨어지다·잡치다·저지레·못 받다·못하다·놓치다·넘겨짚다 ← 실수(失手)


길불·길빛·길잡이·길님·길눈이·끌다·끌어가다·이끌다·이끎빛·말글지기·말빛지기·말지기·말님·말꾼·말꽃지기·말꽃님·수다꾼·수다님·알림길·알림이·알림님·알림꾼·알림빛·알림꽃·얘기꾼·이야기꾼 ← 아나운서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발전 發展


 발전을 이룩하다 → 발돋움하다 / 나아가다 / 거듭나다

 자기 발전을 위해 노력하다 → 스스로 거듭나려 애쓰다

 회사가 발전되려면 → 일터가 자라려면 / 일터가 크려면

 최근 눈에 띄게 발전하고 있다 → 요새 눈에 띄게 달라진다

 이야기가 이제 발전 단계로 접어들었다 → 이야기가 이제 무르익는다

 사태의 발전 양상을 보니 → 일이 어떻게 되나 보니

 내기가 일단 노름으로 발전되면 → 내기가 노름으로 바뀌면

 사태가 엉뚱한 방향으로 발전했다 → 일이 엉뚱한 쪽으로 뻗는다

 어른들 싸움으로 발전하였다 → 어른들 싸움으로 치달았다


  ‘발전(發展)’은 “1. 더 낫고 좋은 상태나 더 높은 단계로 나아감 2. 일이 어떤 방향으로 전개됨”을 나타낸다고 합니다. ‘나아가다·나아지다·낫다·뻗다·좋아지다’나 ‘가다·굴러가다·걸어가다·뚜벅이·흐르다’나 ‘달리다·내달리다·내닫다·내딛다·치닫다’로 손볼 만합니다. ‘발걸음·걸음·앞걸음·움직이다·한걸음 나아가다’나 ‘거듭나다·다시 태어나다·살리다·새로 태어나다’로 손보고, ‘기지개·날개돋이·껍질벗다·눈뜨다·알깨기’나 ‘늘다·늘어나다·붙다·불다·불거지다’로 손봐요. ‘너울·물결·높다·일다·일어나다·일어서다·일으키다’나 ‘달라지다·바꾸다·무르익다·배우다·익히다’로 손볼 수 있고, ‘꽃철·곱다·봄·봄날·봄철·아름답다’나 ‘빛·빛나다·빛접다·환하다·훤하다’나 ‘새롭다·새뜸·해돋이·해뜸’으로 손보아도 어울려요. ‘새로가다·새로걷다·새로서다·새로짓다·새로찾다·새로하다’나 ‘생기다·생겨나다·서다·쓸만하다’로 손보고, ‘퍼뜨리다·퍼지다·펼치다·피다·피우다·피어나다’나 ‘살림꽃·살림멋·살림빛·삶빛’으로 손봅니다. ‘열다·트다·이루다·이룩하다·이르다·되다·잘되다·잘하다’나 ‘자라다·자라나다·커지다·크다·키우다·북돋우다’나 ‘손씻기·잘못씻기·착한길 가다·착해지다·허물씻이’로 손보아도 되어요. ㅅㄴㄹ



사람은 동물과 달라서 무한히 발전할 수 있는 것은 경험을 그저 기억할 뿐만 아니라 정리해서 기억한다

→ 사람은 짐승과 달라서 끝없이 거듭날 수 있는데, 삶을 그저 되새길 뿐만 아니라 추슬러서 담는다

→ 사람은 짐승과 달라서 가없이 배울 수 있는데, 살림을 그저 곱씹을 뿐만 아니라 차곡차곡 담는다

《유토피아의 꿈》(최인훈, 문학과지성사, 1980) 364쪽


자신의 문화를 발전시키기 위하여 그것을 섭취 동화하도록 힘쓰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 제 살림꽃을 키우려면 이를 품고 하나되도록 힘쓰지 않으면 안 된다

→ 스스로 살림을 북돋우려면 이를 익히고 녹이도록 힘쓰지 않으면 안 된다

《한국과 西洋》(정기수, 을유문화사, 1988) 269쪽


연륜이 쌓일수록 성숙해지고 발전해 나간다고 봅니다

→ 켜가 쌓일수록 익고 자라리라 봅니다

→ 자랄수록 무르익고 발돋움하리라 봅니다

《미국의 송어낚시》(리처드 브라우티건/김성곤 옮김, 논지당, 1991) 214쪽


힘들었지만 열심히 했고 그러다 보니 발전이 있었다

→ 힘들었지만 힘껏 했고 이러다 보니 껍질을 벗었다

→ 힘들었지만 힘을 냈고 이러다 보니 조금씩 컸다

《심형래의 진짜 신나는 도전》(심형래, 21세기북스, 1999) 254쪽


이렇게 노동을 하면서 정해진 일정한 관념적 목표가 상상이라는 사고 형태로 발전되어 온 것이다

→ 이렇게 일하면서 마련한 길이 생각이라는 모습으로 발돋움한다

→ 이렇게 일하면서 세운 틀이 꿈이라는 빛살로 자라난다

《생각은 힘이 세다》(위기철, 청년사, 2001) 58쪽


모든 사람이 밑바탕으로부터 조화를 이루고, 문명과 자연이 혼연일체가 된 새로운 발전이 되어야 함은 말할 것도 없다

→ 모든 사람이 밑바탕부터 어우러지고, 서울과 숲이 하나가 되어 새롭게 발돋움해야 마땅하다

→ 모든 사람이 밑바탕부터 어울리고, 새길과 풀꽃도 어우러져서 새롭게 거듭나야 마땅하다

→ 모든 사람이 밑바탕부터 함께하고, 서울길과 숲길이 어깨동무를 하며 새롭게 가야 마땅하다

→ 모든 사람이 밑바탕부터 나란하고, 서울빛과 숲빛이 오롯이 하나되어 새롭게 거듭나야 마땅하다

《여기에 사는 즐거움》(야마오 산세이/이반 옮김, 도솔, 2002) 253쪽


장족의 발전이라고 생각합니다

→ 크게 나아갔다고 생각합니다

→ 꽤 발돋움했다고 생각합니다

→ 무척 배웠다고 생각합니다

《천재 유교수의 생활 23》(야마시타 카즈미/신현숙 옮김, 학산문화사, 2004) 128쪽


한국 정치에서 절차적 민주주의 발전은 1987년 6월 항쟁을 거치면서 본격화되었고, 김대중 시대에 공고화되었다고 봐야 한다

→ 우리나라에서 디딤길 들빛누리는 1987년 6월 물결을 거치면서 퍼져나갔고, 김대중 무렵에 뿌리내렸다고 봐야 한다

→ 우리 벼슬판에서 디딤돌 두루길은 1987년 6월 물결을 거치면서 발돋움했고, 김대중 무렵에 자리잡았다고 봐야 한다

→ 이 땅에서 반듯한 고루길은 1987년 6월 물결을 거치면서 발돋움했고, 김대중 무렵에 꽃피웠다고 봐야 한다

《당당한 아름다움》(심상정, 레디앙, 2008) 135쪽


민주주의와 경제발전이 결코 따로따로가 아니라는 걸 국민들이 알게 된 거예요

→ 사람들은 아름길과 발돋움이 따로따로가 아닌 줄 알아차렸어요

→ 사람들은 어깨동무와 밥벌이가 따로따로가 아닌 줄 알았어요

《한홍구의 청소년 역사 특강》(한홍구, 철수와영희, 2016) 242쪽


현지에서 독자적 발전을 거친 언어인데

→ 그곳에서 새로 발돋움한 말인데

→ 마을에서 따로 자라난 말인데

《여행하는 말들》(다와다 요코/유라주 옮김, 돌베개, 2018) 62쪽


순수하게 사전의 진보와 발전을 바라는 마음에서였다

→ 그저 낱말책이 거듭나고 나아지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 오직 말꽃이 피어나고 한결 낫기를 바랄 뿐이다

《새로운 단어를 찾습니다》(사사키 겐이치/송태욱 옮김, 뮤진트리, 2019) 204쪽


점점 더 가속적으로 발전해 온

→ 더 빠르게 발돋움한

→ 더욱 빨리 자란

《책은 시작이다》(오사다 히로시/박성민 옮김, 시와서, 2022) 4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