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3.30.


《무한한 하나》

 김대성 글, 산지니, 2016.10.28.



앵두나무는 오늘도 흐드러진다. 딸기꽃은 가만히 늘어난다. 며칠 앞서부터 듣는 봄제비 노랫가락을 따라서 하늘을 올려다본다. 해마다 봄이면 지난해 제비하고 올해 제비가 얼마나 다른지 눈여겨본다. 마을과 시골에 돌아오는 제비는 부쩍 줄지만, 늦여름과 첫가을에 마을들을 살피면 이럭저럭 제비떼가 모이기는 한다. 제비를 비롯한 뭇새한테 우리나라는 차츰차츰 살기 나쁜 곳으로 뒹군다. 새한테 살기에 나쁘다면, 사람한테는 얼마나 사납고 메마를까. 새를 잊는 사람은 이웃을 잊는다. 새노래를 등지는 사람은 동무를 모른다. 새를 품고 사랑할 줄 알기에 스스로 살림을 짓는 숨결을 노래한다. 《무한한 하나》를 진작 읽었고, 느낌글을 쓰려고 한참 묵힌다. 요즈음은 느낌글을 더 묵혀서 쓴다. 바로바로 쓸 수 있되, 하루를 묵히면 하루치 눈썰미를 더 담고, 달포를 묵히면 달포치 눈빛을 더 얹는다. 하루새뜸(일간신문)에 나오는 느낌글뿐 아니라, 여느 새뜸글도 안 읽은 지 한참 된다. 삭이거나 묵히거나 재우지 않은 채 날마다 쏟아내는 글에는 무엇이 있을까? 나도 날마다 글을 쓰지만, 웬만한 글은 몇 이레나 몇 달쯤 가볍게 묵히고, 몇 해나 열댓 해도 거뜬히 묵힌다. “끝없는 하나”란, 어제하고 오늘을 잇는 길이 한결같다는 숨소리일 테지.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3.29.


《아나스타시아 1》

 블라지미르 메그레 글/한병석 옮김, 한글샘, 2007.10.20.



부천에서 새벽을 열다. 어제 산 책을 밤하고 새벽에 천천히 읽는다. 어제하고 새벽에는 밑글만 쓸 뿐, 낱글을 따로 누리집에 올리지는 않는다. 새소리도 풀노래도 개구리노래도 없는 부천에서 길을 나선다. 서울 광진 쪽에서 ‘바다빗질’ 보임꽃(사진전시)이 있다는 말을 어젯밤에 들었다. 혼펴냄터이자 마을책집인 〈씨도씨〉로 가는 동안에도 새나 풀벌레나 개구리를 볼 수는 없다. 불수렁(지옥철)이라 일컫는 길에 새바라기를 그리는 사람이 있기 어렵겠지만, “도시이니까.”라는 말로 너무 쉽게 넘어간다고 느낀다. 서울은 오히려 푸른길과 파란하늘을 그리는 이야기나 자리가 곳곳에 있지만, 시골은 도리어 삽질과 뒷돈이 판치는 나라이다. 쓸쓸하게 고흥으로 돌아가는 시외버스는 빈자리가 거의 없을 뿐 아니라, 길도 막힌다. 비는 멎었다. 《아나스타시아 1》를 곧잘 되읽는다. 새로 나오는 책이 많고, 새책도 이래저래 챙기지만, 오래오래 되읽으면서 아이들하고 이야기를 지피는 책이야말로 더 짚고 살필 일이라고 생각한다. 목소리(인문·지식)를 내는 책이 아닌, 스스로 살림을 짓는 사랑을 들려주는 책을 마음에 놓아야, 나부터 거듭나고 나라도 달라지겠지. 사랑을 등진 채 자리만 지키는 무리는 그들 스스로 삶을 갉는 줄 모르리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3.28.


《보노보노 24》

 이가라시 미키오 글·그림/서미경 옮김, 서울문화사, 2005.3.24.



부천으로 가는 새벽길이다. 벌써 첫봄이 저물고 한봄이 코앞인데, 둘레에서는 “춥다!”는 타령이 물결친다. 이 아름다운 봄날에 해바라기를 안 하니 추울밖에 없다. 이 싱그러운 봄날에 봄비를 맞이하고 봄풀을 쓰다듬으면 따뜻하다. 서울뿐 아니라 시골에서도 봄볕을 거스른 채 “안 추워요?” 하고 묻는 분이 넘친다. 난 거꾸로 묻는다. “왜 추워요? 왜 스스로 추우려고 하나요?” 고흥을 떠난 시외버스는 서울에 닿고, 긴긴 길을 돌아서 〈대성서적〉에 닿는다. 가만히 깃들어 책꾸러미를 품은 뒤에 〈빛나는 친구들〉로 옮긴다. 《우리말꽃》이 태어난 씨앗과 밑길을 이야기로 들려준다. 누구나 마음씨가 있기에, 스스로 말씨를 어떻게 묻느냐에 따라서 오늘 하루가 달라지게 마련이라고 속삭인다. 《보노보노 24》을 되읽었다. 이 그림꽃은 1999년에 처음 보았다. 그때에는 일본글로 읽으면서 일본말을 배웠다. 수수하게 재미있다고 여길 수 있지만, 가벼운 우스개로 볼 수 있지만, 주먹질이나 발길질이나 ‘모난 말씨’가 끝없이 나온다. 이 그림꽃으로 일본말을 배울 적에 꽤 버거웠다. 되읽어 보아도 새삼스레 저린다. 굳이 제살깎기 같은 줄거리를 엮어야 했는지 알쏭하다. 그러나 1999년에는 아직 배움터나 일터에서도 주먹질이 판쳤다.


#ぼのぼの #五十嵐三喜夫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3.27.


《행복한 어린이날》

 아스트리드 린드그렌 글·일론 비클란드 그림/김서정 옮김, 문학과지성사, 2009.3.26.



해날을 맞이한다. 앵두나무는 하얗게 물결친다. 밤낮으로 하얗게 꽃빛과 꽃내를 베푸는 앵두는 더없이 놀랍다. 가지에 줄줄이 맺는 앵두꽃은 하나도 안 솎는다. 이 작은 꽃이 고스란히 작은 열매로 거듭나니까. 《말밑 꾸러미》 석벌손질을 마쳐서 펴냄터로 넘긴다. 멍하다. ‘어원사전’을 매듭지어서 내기까지 더 남았는데, 글손질을 한 벌씩 할 적마다 기운이 쪽 빠진다. 《행복한 어린이날》을 되읽는다. ‘불러비 마을 아이들’이 보내는 즐거운 하루를 담아낸 알뜰한 이야기책은 썩 사랑받지 못한 채 사라졌다. 우리나라에서는 이렇게 아이들이 마을에서 스스로 놀이를 짓고 나누고 펴면서 노래하는 이야기책이 좀처럼 못 나온다. 글을 쓰는 어른부터 어릴 적에 못 놀거나 안 논 탓일까. 어릴 적에 놀기는 했어도 ‘어른이 되고 나서’는 ‘아이가 신나게 놀 터전’을 일구는 일에 마음을 안 쓴 탓일까. 어린이한테는 ‘놀이하며 노래하는’ 하루를 이야기로 물려주어야지 싶다. 놀이살림을 새롭게 가꾸고, 노래사랑을 새록새록 지으면서, 아이어른이 어깨동무하는 오늘을 어느 고장에서나 기쁘게 그려내야지 싶다. 어린이날 하루만 어린이누리일 수 없다. ‘의과대학’을 늘리기보다는 ‘어린이가 맨몸으로 뛰놀 들숲바다’를 늘릴 노릇이다.


#BarnensDagBullerbyn

#AstridLindgren #IlonWilkand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약사의 혼잣말 11 - 마오마오의 후궁 수수께끼 풀이수첩
쿠라타 미노지 지음, 시노 토우코 그림, 유유리 옮김, 휴우가 나츠 원작 / 서울미디어코믹스(서울문화사)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4.4.30.

책으로 삶읽기 878


《약사의 혼잣말 11》

 휴우가 나츠 글

 쿠라타 미노지 그림

 유유리 옮김

 서울미디어코믹스

 2021.10.30.



《약사의 혼잣말 11》(휴우가 나츠·쿠라타 미노지/유유리 옮김, 서울미디어코믹스, 2021)를 가만히 읽어 보았다. 혼잣말을 하면서 수수께끼를 풀어가는 아가씨는 꽃물님(약사)이다. 오늘날은 돌봄가루나 돌봄물을 뚝딱뚝딱 찍어내겠지만, 지난날은 우리 몸을 돌보는 가루나 물을 모두 풀꽃나무한테서 얻었다. 곰곰이 본다면, ‘약사’라는 이름보다 ‘꽃물님’이나 ‘꽃물지기’ 같은 이름이 어울릴 만하다. 모든 꽃을 읽고, 모든 잎을 헤아리고, 모든 나무를 살필 적에, 풀꽃나무가 사람한테 어떻게 이바지하는 이웃인지 가누고 다룰 테니까. 사람과 달라서 입으로 말하지 않는 풀꽃나무이니, 풀과 꽃과 나무를 다루고 달래려면, 말보다 마음으로 만날 줄 알아야 한다. 이런 얼거리나 밑동을 살핀다면, 꽃물님이 임금집에서 여러모로 길찾기를 해내는 얼거리를 엿볼 만하다. 또한 숱한 글바치나 벼슬아치나 임금은 풀도 꽃도 나무도 등진 채 붓자루나 칼자루를 쥘 뿐이니, 꽃물님이 들려주는 이야기에 귀를 기울일밖에 없겠지. 이런 얼거리는 오늘날에도 매한가지이다. 나라지기 가운데 누가 들꽃을 읽었는가? 벼슬아치 가운데 나무를 곁에 두는 일꾼이 없다시피 하다. 숲이나 시골에서 손수 살림을 지으면서 아이를 돌보는 보금자리를 잇는 글바치는 몇 사람이나 될까?


ㅅㄴㄹ


“과거에는 왕모님의 선택을 받은 자가 다음 왕이 되었죠. 그러면 그분은 이곳에 서서 백성들에게 선서하는 것이 관례였습니다. 때로는 아무도 이곳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그때는 올바른 길을 선택하는 비를 데리고 와 다시 통과했다고 하죠. 본래는 올바른 핏줄을 이어받은 자만이 그것을 이룰 수 있는데―.” (67쪽)


“설마 이런 작은 계집이 정말로 수수께끼를 풀 거라고는 생각하지 못했습니다.” ‘작은 계집.’ “왕모님께서 이 땅을 다스리실 수 있었던 건, 보기 드문 총명함 때문이었다고 전해지죠.” (81쪽)


+


매번 당첨되는 도박에 빠지는 사람은 없죠

→ 늘 뽑히는 돈놀이에 빠지는 사람은 없죠

→ 노상 걸리는 노름에 빠지는 사람은 없죠

10쪽


푸른 색이나 녹색을 선택하라는 뜻인가

→ 파랑이나 풀빛을 고르라는 뜻인가

30쪽


짐을 보고 왕모의 아이가 아니다라고 하는 진의를

→ 나를 보고 임금엄마 아이가 아니라는 속뜻을

47쪽


건국 설화에 등장하는 건

→ 새날노래에 나오는

→ 첫노래에 나오는

49쪽


실제로는 아들에 의한 세습제를 취하고 있다

→ 정작 아들한테 물려준다

→ 막상 아들이 이어받는다

49쪽


형제 분들은 동복 형제이셨습니까

→ 또래는 한배입니까

50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