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 중국의 송나라에 휘종 황제란 분이 있었다. 그는 그림을 너무 사랑했다. 그림을 사랑했을 뿐만 아니라 그 자신이 훌륭한 화가였다. 휘종 황제는 자주 궁중의 화가들을 모아 놓고 그림 대회를 열었다. 그때마다 황제는 직접 그림의 제목을 정했다. 그 제목은 보통 유명한 시의 한 구절에서 따온 것이었다. 한번은 이런 제목이 걸렸다.

"꽃을 밟고 돌아가니 말발굽에서 향기가 난다."

말을 타고 꽃밭을 지나가니까 말발굽에서 꽃향기가 난다는 말이다. 그러니까 황제는 화가들에게 말발굽에 묻은 꽃향기를 그림으로 그려 보라고 한 것이다. 꽃향기는 코로 맡아서 아는 것이지 눈으로는 볼 수가 없다. 보이지도 않는 향기를 어떻게 그릴 수 있을까? 화가들은 모두 고민에 빠졌다. 꽃이나 말을 그리라고 한다면 어렵지 않겠는데, 말발굽에 묻은 꽃향기만은 도저히 그려 볼 수가 없었다.

모두들 그림에 손을 못 대고 쩔쩔매고 있었다. 그때였다. 한 젊은 화가가 그림을 제출하였다. 사람들으 눈이 일제히 그 사람의 그림 위로 쏠렸다. 말 한 마리가 달려가는데 그 꽁무니를 나비 떼가 뒤쫓아 가는 그림이었다. 말발굽에 묻은 꽃향기를 나비 떼가 대신 말해 주고 있었다.

젊은 화가는 말을 따라가는 나비 떼로 꽃향기를 표현했다. 이런 것을 한시에서는 '입상진의(立象盡意)'라고 한다. 이 말은 '형상을 세워서 나타내려는 뜻을 전달한다'는 뜻이다. 다시 말해 나비 떼라는 형상으로 말발굽에 묻은 향기를 충분히 전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형상을 시에서는 이미지라는 말로 표현한다. 시인은 결코 직접 말하지 않는다. 이미지를 통해서 말한다. 그러니까 한 편의 시를 읽는 것은 바로 이미지 속에 담긴 의미를 찾는 일과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자신을 의식하는 기술을 터득하게 되면, 여러분은 자기 생각이 다른 대상으로 옮아간 것을 알아차리게 될 뿐만 아니라 옮아가고 싶다는 충동까지도, 다른 무엇에로 마음이 옮아가고 싶어하는 그 충동까지도 의식할 수 있게 됩니다. 손을 움직이고 싶게 되면, 먼저 손을 움직이고 싶다는 충동이 자기 마음 속에 솟구치고 있음을, 이 충동에 동의하는 것을, 이 충동을 실행하는 것을, 손을 처음 움직이는 것을 일일이 의식하게 될 것입니다....(드 멜로)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달팽이 2004-10-21 22: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내용은 우리들의 오감각을 아주 세밀하게 관찰하게 되면 그 감각을 작동시키는 원인이 마음에 있음을 알게 된다. 그 때 우리는 미세한 마음의 변화를 점차 알아가게 되고, 우리 마음 속에 얼마나 무수히 많은 생각들이 생기고 사라지며 옮겨가고 있는지를 보다 뚜렷하게 알게 된다.

파란여우 2004-10-21 22: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가 스트레스를 엄청 받고 과중한 업무로 인하여 육체의 피곤함이 계속되다 보니 몸에 병이 생기더군요. 그리고 나서야 알았죠. 겉으론 아무렇지 않은 것처럼 보이던 몸이 마음속에 쌓여지는 정도에 따라 몸도 그렇게 따라간다는 것을요. 정말 그래요.우리 마음이 그렇게 중요한것을요.
 

마음을 쉰다는 것은 마음의 활동을 멈춘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것은 자신의 마음이 육신 전체에 스며든다는 것을 의미한다.

온 마음을 기울여서 자신의 손으로는 무드라(수인)를 맺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나는 항상 부재하므로 항상 존재합니다. 그리고 내가 부재할 때에만 나는 실재하는 것입니다. 이것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해서, 저는 항상 상대적으로가 아니라 절대적으로 존재해왔다는 것을 덧붙이고자 합니다. 제가 이렇게 보이는 형상의 모습으로 존재하고 있는 것이 곧 명백한 저의 없음입니다.

2. 어느 "것"도 아닌 나는 모든 것입니다. 나는 내 자아가 아니지만 우주 전체가 나의 자아입니다.

3. 너(you)라든가 나(me)라든가 하는 것들이 모두 부정된 후에야 나(I)는 "나(I)"로서 남게 됩니다.

4. 당신이 어떻게 나를 사랑할 수 있겠습니까? 당신이 바로 나의 본면목인데 말입니다. 내가 어떻게 당신을 미워할 수 있겠습니까? 내가 곧 당신의 본면목인데 말입니다.

5. 나는 결토 태어난 일이 없는데 어떻게 죽을 수 있겠습니까? 결코 구속받은 적이 없는데 어찌 해방될 필요가 있겠습니까?

6. 상대가 어떻게 절대를 판단할 수 있겠습니까? 상대가 자신을 상대적으로 만드는 모든 쌍대성을 포기하고 더이상 상대적이 되기를 그만둔다면 물리적 형상이 없을 때 의식은 자기 자신을 의식하지 못합니다.

7. 태어나기 전에 당신은 무엇이었습니까?

8. "선택이나 차이"라는 것은 모두 관념적인 헛된 말에 불과합니다. 그것들은 상대적으로만 파악되는 것입니다. 그러나 실상인 절대적 상태에서 볼 때는 그런 형상들이 아예  나타나지 않으며 따라서 선택이나 차이라는 것도 있을 수 없는 일입니다.

9. 세속적인 것이든 비세속적인 것이든 당신이 원하는 모든 지식을 모으도록 하십시오. 그리고 나서 그 모두를 절대에 바치도록 하십시오. 그리고 또 그렇게 계속하십시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글샘 2004-10-15 16: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태어나기 전에 나는 무엇이었을까? 태어나기 전에 나는 무엇이었을까?
태어나기 전 나는 있었고, 나는 태어난 적도 없는 존재.
존재하고 있었고, 존재라는 말도 모르는 나.
논리적으로는 이해할 것 같지만, 글쎄요, 나는 누구일까요?

달팽이 2004-10-15 22: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말은 논리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말은 아닙니다. 질문을 마음으로 녹여내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내 몸이 없던 시절에 지금 나에게 있는 그 무엇이 그때에도 존재하였고, 따라서 그 때에도 지금 몸을 가진 나에게도 공통되게 존재하는 그 무엇에 대해 알 수 있어야만 답이 나옵니다.
 

1. 수동적으로 생각하거나 말하는 습관을 들일 것.

말하자면 이런 것입니다. "나는 무엇을 봅니다" 대신에 "내게 무엇인가 보입니다", "내가 무엇을 봅니다" 대신에 "무엇이 들립니다"로 말입니다. 그렇게 하면 지각이 어떤 주체적 실체의 행동에 근거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적인 사건 발생에 근거한다는 사실을 알게 될 것입니다. 그렇게 하면 가짜 실체인 나는 뒤로 물러서게 될 것입니다.

2. 잠에 들기 전 10분 정도 앉아서 나는 몸 - 마음의 구성체가 아니고 생기를 주는 그 건너편이라고 생각하십시오. 그렇게 해서 잠자는 동안에도 이러한 느낌이 여러분 속에 깊이 스며들도록 하십시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달팽이 2004-10-15 22: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렇게 하다보면....잠드는 순간 깨어있음과 잠듬을 가로지르며 지속되는 어떤 것을 찾아내어야만 합니다. 비록 깊은 숙면에서 그것을 알 수 없다 해도 의식이 돌아오는 그 순간, 몸도 없고 세상도 없는 그 순간, 나는 존재한다는 느낌을 가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