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에겐 절망할 권리가 없다 - 김누리 교수의 한국 사회 탐험기
김누리 지음 / 해냄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케팅 용어로 메워상이다.

 

말이 어느 정도 세계 직조한다면, 지 세계 신자유주의결을 선동하는 마케 용어가 세계 직조하고 있다.

 

어떤 단어들, 의미 유사하나 조금씩 바뀌 단어들, 유행처럼, 어떤 정조를 만들어내기도. 온도라든가 무해하다라 단어, 그러니까 예전에는 용하지 않던 단어가 분명 존재했으나 의미로 사용하지 않던 단어가 어떤낌을명하기 위해 가능한 것처럼, 마케 용어가람들 머리 잠식하며, 선악을 넘어서람들 머리 잠식하며것이 마치 옳은 것이 되고 있구나, 깨달았다. 거기 길들여져 있었구나.

 

우리나라 교육이 정말 문제라고 생각했지만, 과 구조 어떻게 있단 말인가 했는데 책을 보니 어느 정도 답을 얻을 있었다.

 

 

김누리 교수, 차이라는 클라스에서 강연을 듣고 재미있어 책이다.



 

책을 읽다 세계가 조 인다. 그동안 희끄무레하게 느낌만 있었는데 그 느낌이 생겨났는지 알게 된다. 책을 읽는 이유다. .

 

뛰어 책들

 

 

내가 뭐가 좋다고 생각했지만것을 온전히 좋아할 없는 이유, 실은 마케팅의 논리에 따라 굴러가고 있기. 매거 B 콘셉진 같은 잡지들, 그것을 알게 해준다. 매거 B 전시하고 있는 공간에서 어떤언가 충족되지 않던 이유 같은 것을 알게 되었다.

  

독일이라는 나라에 대해 그동안 알지 못했다. 별로 생각해보지도 않았다. 그러나 그가 제시하 독일이라는 나라 분단이라는 현실을 안고 있는 우리가 모델로 삼을밖에 없는 많은 면을 나라다.


후배   명이 독문과 대학원을 다  독일로 유학을 갔다 독일로  걸까   없었는데  책을 읽고 알게 됐다. 이 사 제자로 공부하며 독일에 대해 듣다 보 나라도 가겠다 싶었다.

 

탁견이라는현은책에서 읽게 육체계를롯한 한국의 문제들법에견을 위해 있는 닐까 싶을 정도로.

 

앞으로 차이나 클라스를 다시 열심히 봐야겠다.

 

최재 교수 강의를 유튜브 보며 람이 한국람이라니 좋다, 싶었는데 이분도 우리나라 석학으로 있으셔서 좋다




2022 3 13일 일요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만 확실한 것은 독일의 젊은이뿐 아니라 온 세계의 젊은이는 자기 모순에 시종하고 원을 긋고 달리고 있다는 사실이다. 자유로 믿는 것이 결국 가상에 불과할 때가 허다하고 진보와 동시에 퇴보가 약속되어 있다.
인류는 도대체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고 어떤 작가도 말하고 있다. 그것을 모아서 읽어 보니 ‘금일의 젊은이들은 근본적으로 부패해 있다. 그들은 악하고 불신자이며 게으르다. 그들은 다시는 그 이전의 젊은이들같이 되지는 못할 것이다. 그들은 우리의 문화를 간직할 수가 없을 것이다‘라고 쓰여 있었다고 한다. 그 기왓장에 쓰인 글은 지금부터 3천 년 전에 쓰인 것으로 감정되었다 한다.
결국 누구나 자기 쥐덫 속에 살고 있는 것이다. 개인의 쥐덫, 그리고 그 밖으로는 인류의 운명이라는 역사성, 시간성의 쥐덫이 놓여 있다. - P12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현재 동북아에 감돌고 있는 갈등과 긴장은 크게 보면 세가지 요인에 기인한다. 일본의 과거, 한반도의 현재, 중국의 미래가 그것이다. 일본의 ‘청산되지 않은 과거‘가 동북아 지역 갈등의 역사적 기원을 이루고, 남북 대치로 인한 한반도의 분단 현실이 동북아를 지리적으로 갈라놓고 있으며, 미래 중국의 패권주의에 대한 주변국들의 불안이 동북아에 내적 긴장을 조성하고 있다. 동북아 지역이 안고 있는 바로 이 세 가지 문제, 곧 과거 청산, 분단, 패권주의의 문제를 한꺼번에 풀어낸 지구상 유일한 나라가 바로 독일이다. 독일은 나치 과거를 모범적으로 청산했고, 국가적 분단을 평화적으로 극복했으며, 세계대전을 일으킨 ‘패권국가 독일‘에대한 주변국들의 불안을 성공적으로 불식함으로써 유럽연합 탄생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바로 이 점에서 독일 현대사는 동북아평화공동체 구축을 위한 ‘살아 있는 교과서‘라고 할 만하다.
이처럼 독일은 복지국가 대한민국‘, ‘통일 한반도, ‘동북아 평화공동체‘의 실현을 꿈꾸는 사람이라면 한 번쯤 눈여겨보아야 할 나라가 되었다.
- P27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에서 교육개혁이 성공하지 못한 이유는 개혁의 불철저성에 있다기보다는 개혁의 방향성과 목표가 잘못됐다는 데 있다.
공정‘이라는 이름으로 더 가열찬 경쟁을 부추기는 개혁은 개선이 아니라 개악이다. - P152

이런 제도는 ‘똑똑한 학생‘과 ‘비전을 가진 정부‘가 있었기에 가능했다. 학생들은 1960년대 초 대학 개혁안을 스스로 만들고, ‘학생의 경제적 해방‘을 대학 개혁의 3대 목표 중 하나로 삼았다. 생활 형편과 학업 능력에 따라 장학금을 주는 전통적인 방식은 사회적 정의에 부합하지 않으며, ‘학문의 자유‘를 침해한다고 학생들은 비판했다. 그들이 제시한 대안은 ‘연구 보수‘였다. 대학생의 본분은 연구에 있고, 연구는 사회적 노동이므로, 대학생의 연구활동에 대한 보수를 국가가 지급하는 것이 당연하다는 논리다.
한편 브란트 정부는 ‘교양사회‘라는 비전 아래 돈이 없어 대학교육을 받지 못하는 사람이 없는 사회를 천명했다. 학생들의 ‘연구 보수‘ 구상과 브란트의 ‘교양사회‘ 비전의 합작품이 바로 바푀크다.
- P16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렇게 자신의 고유한 삶을 향유해야한다. 그렇게 인간적인 품성을 키우고, 시민적인 자질을 높여야한다. 자신의 개성과 ‘천재‘를 발견할 여유를 가져야 한다. 미래가 아무리 장밋빛이라 해도, 삶은 한순간도 ‘유예‘될 수 없다. - P120

알다시피 프로이트는 ‘자아‘ 에고란 슈퍼에고와 리비도 사이에서 동요하는 존재라 했다. 사춘기 때 자아가 형성되는 이유는 본능적 충동인 리비도가 발현되는 이때에 비로소 자아도 형성되기때문이다. 사회적 규범이나 도덕을 의미하는 슈퍼에고가 리비도를 악이라고 공격하면 할수록, 에고는 더욱 깊은 죄의식을 내면화하게 되고, 이렇게 강한 죄의식을 가진, 즉 약한 자아를 가진,
개인일수록 권력 앞에서 더 굴종적인 인간이 된다는 것이 이른바 권위주의 성격 이론의 골간이다.
이 이론에 따르면 강한 자아를 기르는 방법은 분명하다. 올바른 성교육을 통해 리비도의 존재를 악마화하지 않고 당연한 생물학적 현상으로 인정함으로써 죄의식을 내면화하지 않는 인간으로 길러내는 것이다. 독일 성교육의 제1 원칙이 성을 도덕적으로비판해서는 안 된다고 규정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이런 식으로 강한 자아를 가진 아이들을 길러내는 것이 공동체의 민주적 성숙을 결정하는 요인이기에 성교육을 가장 중요한 정치 교육이라고 여기는 것이다. 올바른 성교육은 강한 자아를 만드는 출발점이고, 강한 자아는 성숙한 민주주의의 조건이다. - P13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