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문이 많은 요리점 힘찬문고 19
미야자와 겐지 지음, 민영 옮김, 이가경 그림 / 우리교육 / 2000년 8월
평점 :
품절


쏙독새가 이렇게 생겼구나, 이렇게 생긴 새를 위해 동화를 쓰다니, 참 아름답다.

 

미야자와 겐지의 동화는 어딘가 재밌다. 그 어딘가란 게 다른 동화들과 지점이 어긋난다. 낮잠 자다 꾼 꿈 같기도 하고(도토리와 살쾡이, 주문이 많은 요리점, 첼리스트 고오슈) 인생의 모습을 아주 멀리서 바라본 것 같기도 한데(기러기 동자, 켄쥬 공원의 숲) 구분하다 보면 그 양면이 겹쳐지기도 한다. 인생은 낮잠 자다 꾼 꿈과 같은 것일 테지만 산다는 것은 또한 지독한 투쟁이기도 해서, 이리저리 뒤척이게 될 수밖에 없다. 미야자와 겐지의 동화는 그런 삶의 모습을 자기가 좋아하는 색으로 그려놓은 듯 하다. ‘사람은 남을 위해 일하지 않으면 안 된다’(기러기 동자)라는 기러기 동자의 아버지의 말이나 켄쥬나 쏙독색와 같은 바보인지 천재인지 모를 인물들이 미야자와 겐지의 대표적인 색채다. 그의 시 「비에도 지지 않고」에 나온 그가 바라던 인간형이 동화 속에서 나타나는 것 같다. 그런 인물들은 정말 사람들에게 천치라고 불리며 미움도 받지 않고 칭찬도 받지 않고 냉해일 때는 빨리 걷고 여름에는 땀을 흘릴 것만 같다. 심지어 자기가 살기 위해 먹는 음식(쏙독새가 먹는 벌레)에 대해서도 미안한 마음을 갖기도 한다. 그래서 사랑스럽고 존경스럽다.

게다가 그의 동화의 또 다른 묘미는 끝부분이다. 다른 동화들이 대부분 이야기를 정리하려 든다면 그의 동화의 끝은 이제 막 열린 문으로 들어선 기분이 든다. 첼로 켜는 고슈의 고슈가 뻐꾸기에게 미안하다고 혼잣말을 중얼거리며 끝나는 부분은 최고로 좋다. 가장 작은 존재에 대한 애정 같은 것들을 이렇게 하나도 강요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보여줄 수 있다니. 아름다운 사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아하고 감상적인 일본야구 - 개정판
다카하시 겐이치로 지음, 박혜성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05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자전거를 타러 갔다. 날씨는 화창, 그래, 캐치볼을 해도 좋을 날씨, 그래서 성산대교 북단에 사람들은 넘쳐나고 그들은 각자 뭔가 생각을 할 것이고 나는 도대체 그 생각은 알 수 없고 그저 성산대교 북단에 앉아 이 책을 읽다 들어왔다. ‘사랑의 스타디움’ 부분이었다. 말 그래도 사랑의 스타디움에서 사랑의 스타디움을 읽은 셈. 옆에는 두, 세 쌍의 연인이 수건돌리기라도 하듯 오갔고 내 눈에는 그들이 모두 그저 ‘연인’이지만 필시 각자 다른 연인일 듯. 기간 상으로도 일주일 된 연인이 있는가 하면 어제 키스한 연인, 이제 섹스가 지겹기 시작한 연인 등등이 있을 것이며 어쩌면 삼각관계에 빠진 연인, 한 쪽이 바람 피는 연인, 두 쪽 다 바람 피는 연인 등등이 있을 테지만 그건 대체 내 알 바가 아닌 셈이다. 내 알 바는 얼굴이 조금 탔고 팔뚝도 조금 탔다는 것, 아무래도 선크림을 좀 더 바를 걸 그랬나 하는 생각이 들긴 하지만 이미 지나간 일을 어쩌란 말인지.

어제도 그제도 밥 말리를 듣는 중, 좋아서라기 보다는 그저, 한번 다 들어볼까 하는 그런 생각의 발현, 적어도 지겹지 않으면 계속 들을 수 있으니까, 어제도 그제도 오늘도 적어도 지겹지 않았다는 점에서 밥 말리는 대단하다.

책을 왜 읽지 생각해보면 겸손해지기 위해서가 아닐까, 문장의 속도는 적어도 생각의 속도보다는 느리기 때문에 그런 속도를 맞추다 보면 조금은 겸허한 마음이 들기도 한다. 이 정도의 속도라면 좋겠다 하는 그런 마음. 게다가 책을 읽다보면 조금은 자기 자신에 대해 생각할 수 있다, 그러니까 많이 말고 조금만. 이것은 좋은 점. 책을 읽다 보면 대상에 대해 생각할 수 있다, 자신이 아니라, 착각일지라도.

책을 읽다 박민규에 대한 생각 조금, 하지만 구차하니까 이에 대해서 더는 쓰지 말자.

생각해보면 할 수 있는 말 같은 것은 거의 없다, 그럼에도 우리는 말을 가진 유기체(이것은 내 말이 아니라 유명한 화가의 작품 제목, 하지만 지금은 이름이 기억나지 않는다.)니까 말을 해야 하고 말을 하지 않으면 이상한 놈이 되고 급기야 이상한 년이 되며 급기야 싸가지 없는 놈/년이 되며 그러므로 말을 하지만 실은 할 수 있는 말 같은 것은 거의 없고 그것은 실은 이 작품에 대해서도 마찬가지. 그러니까 진짜 야구를 찾아 돌고 돌다 보면 야구 같은 것은 없어지고 야구 비슷한 것만 남고 무엇에 대해서도 마찬가지, 진짜 무엇 같은 것을 생각하다 보면 꿈에서도 무엇을 하는 것 같고 그러다보면 내가 하는 게 무엇인지 무엇 비슷한 것인지 헷갈리고 지금이 꿈인지 생시인지 헷갈리고 결국 세계는 음부와 페니스뿐인가 싶을 즈음(다카하시 겐이치로의 소설 ‘겐지와 겐이치로’ 중 한 단편에 나온 말) 그렇다고 말할 수도 아니라고 말할 수도 없게 되고 역시 할 말이란 없는 채로 계속 말을 지껄여대며 사랑의 스타디움을 꿈꾸다가 치매에 걸리거나 정신병원에 가거나 어쨌든 마지막으로 가게 될 구멍은 하나, 이것은 다행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겐지와 겐이치로 세트 - 전2권
다카하시 겐이치로 지음, 양윤옥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07년 4월
평점 :
절판


 A. 

노인 문제를 다루는가 하면 세계가 망해가는 모양새에 대해서 자기 멋대로 상상하거나 해석하거나 하는가 하면 젊은이들의 세계, 혼자인 사람들의 세계 같은 것을 그린다. 게다가 AV 찍는 회사에서 일하는 남자가 어떻게 배우를 만나게 되는가(정말 젊은이의 시선이다)하면 원조교제를 하는 여자애를 다루기도 한다. 그런데 그게 너무 천연덕스럽다. 전혀 “이게 진짜야, 내가 말해줄게” 이런 느낌이 아니다. “그냥 그런 거지, 뭐.” 이런 느낌이다. 코끼리를 기르는 오츠베르가 코끼리를 기르는 동안 무슨 일이 있었는가에 대해서도 길게 말하지 않는다. 오히려 코끼리를 받기 위해 네트워크에 대해 애완동물 가게 점원과 하는 대화가 훨씬 길다. 그런가 하면 아사로 죽어가길 택한 여자애는 마지막으로 남자친구에게 “나 사랑해?”라고 묻는다. 미야자와 겐지의 「주문 많은 요리점」은 AV 배우를 섭외하는 남자 이야기가 되고 「구스코부도리의 전기」는 책과 인간에 대한 다른 종의 상념이 뒤범벅된 이야기가 된다. 불경을 외는 아톰이 나오고 고양이 사무소에 나가 연필을 깎는 일을 하는 무직 시대의 인간이 나온다. 그런 이야기들 어딘가에서는 소외의 극지점을 찌른다. 거기 그 극지점에 혼자 서있는 것 같은 기분이다. 단어의 의미는 모두 빠져나가고 소외소외 해봐도 ‘그래서 뭐?’라는 기분밖에 안 남은 현대성의 한 지점을 이런 식으로 매만질 수도 있다니. 슬픔을 강요하지 않는 것은 미덕인가 보다.

종종 친구들과 만나 점점 세상이 망해간다는 이야기를 한다. 늙어버려서 그런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번 인류는 실패라도 다음 인류는 뭔가를 찾을 수 있을까 하는 아련하고 절박할지도 모를 그런 의문이 고개를 쳐들 때가 있다. 이 소설책은 종종 그런 기분을 느끼게 한다. 자기가 누군지도 모르고 인간이 누군지도 모르고 결국 아무것도 아는 게 없는 이 이상한 동물이 이 생에는 실패한 것 같은데 다음 인류는 좀 더 나아질까 하는 그런 질문 같은 것이 맴돈다.

그럼에도 모든 소설은 쿨하다. 전달하려는 느낌에 충실하며 단지 그럴 뿐이야다. 그래서 어쩌라고 같은 것은 없다. 자연스럽다. 요새 내 뇌속엔 윤리에 대한 강요, 논리에 대한 강요가 가득한데 오랜만에 시원하다. 뇌가 따라가지 않아도 된다. 게다가 동화도 한 편 있는데(「수선월의 4월」) 그 동화는 아름답다. 결국 자아와 죽음, 삶의 경계에 대한 질문을 담고 있는 동화인데 눈이 내리는 설원을 배경으로 해서인지 어딘가 기묘하게 아름답다. 
 

 

 

B. 

 

즐기고 있는 건지 비판하자는 건지 그 지점조차 모호하다. 근데 그게 그렇게 매력적일 수가 없다. 실은 인간이란 게 그런 거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어느 정도는 즐기고 어느 정도는 비판하며 산다. 그 지점이 실은 쓰는 사람도 읽는 사람도 모호해지지만 어딘가 걱정스럽긴 하다. 그래서 쓸쓸해지기도 한다. 이게 사람이 살고 있는 모습이라니 하면서.

「영결의 아침」은 자기 이야기를 하는 낭독회(왕따라든가 실직 가장)의 한 단면

「돌배나무-크람본 살인사건」은 인터넷 채팅 사이트에서 일하는 직업남의 이야기+오래된 음식을 먹는 은둔형 외톨이 이야기

「바람의 마타사부로」는 성매매업소에서 일하는 남성들 이야기-세계는 페니스와 음문으로 이루어졌다는 해석

「봄과 아수라」-치매 노인+무관심한 가족들에 대한 기록

「푸리오신 해변」-성매매+각각의 인간과 각각의 사물의 꿈과 아름다움에 대한 사유

「가죽 트렁크」-내일 세상이 끝나라는 소리를 배경으로 딸과 아빠 사이의 대화-결국 세상은 미묘해라는...

「겐쥬 공원의 숲」-에로 게임에 빠진 초딩4학년 -엄마, 아빠, 형도 아이템이 되는 세계

「안방 동자 이야기」-말없는 아이의 친구 네로는 누구인가

「가돌프의 백합」-계속되는 꿈+밀실 살인 사건


다카하시 겐이치로는 기막힌 지점들을 발견해내는 능력이 있다. 그러니까, 「봄과 아수라」라는 미야자와 겐지의 시집 제목이 이런 소설로 태어날 수도 있다니, 어디에도 봄에 대해서도 아수라에 대해서도 쓰여져 있지 않지만 너무나도 어울린다. 이미지가 어울린다고 해야 할까? 아니면 한 지점에서 만나는 걸까? 그런데 그 지점에서 태풍이 치고 있는 것처럼. 「가돌프의 백합」은 하루의 기억을 가진 남자에 대한 꿈이 계속되는 이야기인데, 깨어나도 꿈, 깨어나도 꿈인 이상한 세계를 밀실 살인 사건과 연결지어 놓았다. 이것이야말로 밀실인가, 싶다. 가끔, 이렇게 아무리 깨도 꿈인 이런 꿈을 꾼 날은 정말 지독하게 최악이다. 누구나 이런 꿈을 꾸는지 어떤지는 모르지만 나는 가끔 꾼다. 그리고 최악이다. 그런데 이렇게 쓸 수도 있다니. 어쨌든 한번 읽으면 눈을 뗄 수 없다. 거의 지하철에서 읽었는데 아무리 피곤해도 읽기 시작하면 계속 읽었다. 혼자 방에서 읽다가 엄청나게 웃었던 적도 있다. 소설이 아직도 이럴 수 있다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성스러운 테러
테리 이글턴 지음, 서정은 옮김 / 생각의나무 / 2007년 9월
평점 :
품절


 

팡세를 읽다가 생각이 나 다시 읽었다. 인간 존재에 내재해있는 모순을 수렴하는 데 있어, 비슷한 논의를 하고 있는 셈이기 때문이다. 인간의 신성함과 비속함(악)을 동시에 포함하는 개념들에 대해 논의한다.

디오니소스 제전, 숭고, 무의식과 죽음충동, 유대교 신의 공포성, 법과 자유의 이중성, 순교, 희생양 등을 통해 테러의 이중적 의미를 분석한다. 결국 테러를 유발한 힘은 사회 내부에 있다는 이 인식은 개인으로 보자면 죽음과 삶의 관계와도 같다. 우리는 죽음을 통해 삶이라는 것의 특성을 인지한다. 또한 죽음으로만 생을 유지한다. 그러나 9.11 이후 미국은 악의 축을 제정하며 그 사건의 원인을 규정 불가능하고 비역사적인 적으로만 간주했다. 이러한 서구 사회에 대한 비판이라 할 수 있는 이 책은 마치 롤러코스터를 타는 것처럼 다양한 역사적 사건들(특히 프랑스 혁명), 철학적 개념들(칸트, 들뢰즈, 라캉, 지젝, 바디유 등), 문학작품들(특히 바코스의 여신도들(에우리피데스), 오이디푸스(소포클레스), 사랑에 빠진 여인들(아직 읽어보지 못함-로렌스), 비밀요원(역시 읽어보지 못함-콘래드)을 예로 들며 테리 이글턴의 기획대로 테러에 대한 형이상학적 고찰을 하고 있다. 테러가 단순히 사회적 비판 행위라고 긍정할 수는 없지만, 그러나 테러에 대해 단순히 부정적인 적으로만 대응한다면 그 사회는 부활의 가능성을 닫는다는 것이 그의 주장인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분홍 리본의 시절
권여선 지음 / 창비 / 200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이가 들수록 타인들 속에서 부끄러움을 깨닫게 된다. 타인들은 모두 거울처럼 나의 부끄러움을 반사한다. 더 이상 자신이 그다지 정의롭지도 대단하지도 않다는 것도 깨닫게 된다. 자신이 만나는 누구나처럼. 그래서 타인들 속으로 들어가길 겁내하지만, 결국 사회적 동물인 인간은 너와 나의 세상을 산다. 그리고 영화를 찍는다고 생각하다 보면 어느새 홍상수 영화밖에 찍을 수 없는 그런 곳, 어느 정도는 그런 곳, 추한 욕망과 아집 속에서 자기 자신을 감추고 적당히 포장하다가는 어느 순간엔 폭발하듯 그 이상하게 일그러진 자신의 모습을  드러내고 곧 그것을 기억 속에서 지우며 살아간다. 어쩌면 인간이 자기 자신을 볼 수 없는 것은 그나마 축복인지도 모른다. 모든 자신에 대한 환상을 제거하고 타인을 재단하는 눈으로 자기를 본다면, 곧 자살하려 들지도 모른다.

권여선 소설은 한없이 재밌다. 하지만 절대 만나고 싶지 않은 인간 군상의 기록이기도 하다. 「문상」의 우정미나 「약콩이 끓는 동안」의 김교수와 그의 아들들을 만난다면 뭐라 해야 할까. 하지만 이런 생각 끝에 결국 발견하게 되는 것은 나의 추함이다. 「가을이 오면」에서 학을 뗄 만큼 떼를 쓰던 로라처럼 나도 언젠가 누군가 학을 뗄 만큼 떼를 쓰던 때가 있었으며 「반죽의 형상」, 「문상」 속에서의 일들에 대해 ‘어머, 어쩜’이라고 내숭을 떨 수만은 없는 것이다. 진짜 싫지만, 진짜 싫어서 모른 척 하고 싶은 모습을 권여선은 쓴다.

아무래도 비극일라치면 희극이고 희극일라치면 비참한 시간의 기록임이 분명한 관계들이다. 그래서 이 소설집을 읽는 내내 폭소를 터뜨리다가는 조금 시간이 지난 뒤 나의 비루한 시간들을 떠올리곤 했다. (날뛰는 생선 같은 비유도 웃음에 한 몫 한다.) 이제와 생각해보면 유치한데 나는 그때 얼마나 진지하게 굴며 떼를 쓰고 생지랄을 떨거나 우아한 척 굴며 자기 보호를 했던가에 대해 그만 고개를 절래절래 흔들게 된다. 다음부턴 사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