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ace Letter

- 평화와 교육을 생각하는 인터넷 편지 신문 -

World Peace Human Happiness

제18호 2004.1.1.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다사다난 했던 2003년을 지는 해와 더불어 모두 마감하고, 2004년의 떠오르는 태양과 더불어 힘찬 새해를 출발합시다. 다가오는 2004년에는 기원하고 희망했던 모든 일들이 이루어지기를 진심으로 기원드립니다. 그리고 반드시 승리하시기를.......

금주의 명언

The same reason that makes us wrangle with a neighbor, cause a war between princes. 국가간의 전쟁 역시도 우리가 이웃과 다투는 것과 같은 이유로 시작되는 것이다.

북리뷰:리더십 - Harvard Business Review Paperback 3

* 변화를 선도하는 6가지 리더십 원칙 1.발코니에 올라서라! 2.정체를 파악하라! 3.고충사항들을 적절하게 통제하라! 4.지속적인 관심과 주의를 기울여라! 5.구성원들에게 문제해결의 과업을 돌려줘라! 6.아래로부터의 리더십을 존중하라!

 - 리더십(HBR) 로널드 하이페츠, 도널드 로리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1. BSC 도입 이유

BSC는 기업의 사명과 전략을 측정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포괄적인 측정지표로 바꾸어 주는 틀로써 성과측정 전문 회사인 르네상스 솔루션의 David Norton과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의 Robert Kaplan 교수가 공동으로 개발하여 1992년에 최초로 제시한 무형자산 평가시스템을 말한다. BSC는 전략에서 도출된 측정지표 들을 통합하는 관리 시스템이며 재무, 고객, 내부 프로세스, 학습과 성장을 측정지표로 전환하여 기업의 사명과 전략을 성취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BSC는 기업의 리러 각자의 리더십 혁명이 없이는 불가능 하다. 왜냐하면 아무리 좋은 제도라도 사용하는 리더가 제대로 적용하지 못하고, 구성원들의 생각을 좋은 방향으로 이끌어 가지 못하면 BSC도 하나의 거추장스런 제도로 전락하고 말 것이다. BSC는 이미 많은 기업에서 재무, 인사, 종업원의 경쟁력 등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Norton이 사장으로 재직하고 있는 Balanced scorecard collaborative 등에 의해 IT와 e-business 분야에 활용될 수 있도록 특화 된 방법론이 개발되어 각광을 받고 있다. 한국의 주요 기업들 역시 이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선도적인 기업들을 중심으로 BSC를 구축하려는 실제적인 노력이 진행중이다. 그럼 왜 BSC를 도입하려고 하는가?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가.전략 달성의 촉진 나.균형된 성과평가 다.책임 경영의 구현 라.조직 변화의 촉진 마.의사소통의 활성화 바.기업의 신뢰도 확보 즉 기존 관리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BSC는 다차원적인 균형을 고려한 성과관리 프레임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한 국가의 흥망은 그 나라의 최고지도자에 의해 좌우되고, 한 기업의 성패는 회사 경영자 즉 리더에 의해 성공 여부가 달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폴 태핀더(Paul Taffinder)는 리더십훈련(THE LEADERSHIP CRASH COURSE)에서 ‘리더와 관리자, 이 둘 사이에는 엄청난 차이가 있다. 관리자는 넘쳐 나지만 리더는 턱없이 부족하다’ 라고 하면서 다음과 같은 실천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 신속하게 영향력을 행사하면서 새 리더로 자리를 잡는 방법 -. 변화에 관한 프로젝트를 설정하고 리드하는 방법 -. 변화에 저항할 가능성이 있는 직원들과 커뮤니케이션 하는 방법 -. 굳어 있는 조직을 흔들어 새로운 일에 착수하는 방법 -. 실수를 성공으로 전환하는 방법 -. 직원들이 모두 같은 방향으로 향하도록 조정하는 방법 따라서 IT 벤처기업의 경우에 있어서는 CEO의 리더십이 더욱 절실하다고 판단 된다. 또한 기업의 역량 극대화를 통한 경쟁에서의 승리를 위해 리더는 적절한 전략의 수립과 부단한 인재 육성, 각종 정보의 수집과 활용으로 적절한 의사 결정을 통해 강한 기업문화를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Peace Letter

 - 평화와 교육을 생각하는 인터넷 편지 신문 -

 World Peace Human Happiness

제13호 2003.11.26.

안녕하십니까? 최근에는 조직의 변화와 혁신이라는 부분에 고민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리더십(HBR)을 읽고 있습니다. 읽으면서 리더십과 관리에 대해서 한번 더 명쾌하게 확인코자 합니다. 아마 좋은 결과가 있으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리면 남은 11월을 승리하는 한 주가 되었으면 합니다.

 

금주의 명언

헛되고 영예롭지 못한 생을 마치는 우리가 아니라, 뛰어난 위업을 완수하여 미래에 우리 이름을 남기지 않겠는가?

- 그리스 시인 호메로스 -

 

오늘의 유머:가장행렬

제가 중학생때 저희 학교에서는 체육대회때 가장행렬을 했었죠- 각반 각반이 모두 준비해서 거지 행렬 화투 행렬등등... 재미잇었죠. 계속 지켜보던중. 갑자기 아무 분장도 안하고 그냥 교복차림의 3학년형들이 나오더군요. 우리는 모두어리둥절. 왜 나온건가......... 그때 사회자 왈. 이번 가장행렬의 컨셉은 "우리나라 중학교3학년..ㅡㅡ;" - 인포메일 내용 中에서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가장행렬 도중.......ㅋ 제가 중학생때 저희 학교에서는 체육대회때 가장행렬을 했었죠- 각반 각반이 모두 준비해서 거지 행렬 화투 행렬등등... 재미잇었죠. 계속 지켜보던중. 갑자기 아무 분장도 안하고 그냥 교복차림의 3학년형들이 나오더군요. 우리는 모두어리둥절. 왜 나온건가......... 그때 사회자 왈. 이번 가장행렬의 컨셉은 "우리나라 중학교3학년..ㅡㅡ;" - 인포메일 내용 中에서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