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ce Letter - 평화와 교육을 생각하는 세계 최초의 인터넷 편지 신문

World Peace, Human Happiness


제78호 2005.3.20.

 

꿈과 희망과 행복을 전해드리는 '행복의 대사' '평화의 외교관'인 행복박사 李 基準입니다.
편협한 일본의 국가주의를 보면서 많은 것을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땅과 하늘도 심하게 흔들렸습니다. 국가의 지도자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생각하게 해주는 대목입니다. 지도자가 덕을 잃으면 국민이 불쌍합니다. 저 또한 이번을 계기로 크게 반성을 하였습니다. 일본의 후쿠오카에서 일어난 지진이 우리 대한민국에게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제는 세계평화와 인류의 행복을 염원해 가야 합니다. 참된 교육의 교류가 국가간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번 지진으로 인한 피해자가 최소화 되기를 기원합니다. 그리고 세계평화와 인류의 행복을 위해 4권의 책을 집필하고자 합니다. 다소 경제, 경영적인 내용의 글이 되겠지만 ....... 먼저 올해 내에 1권의 완성을 목표로 도전하겠습니다. 많은 도움과 성원을 부탁드립니다.      


금주의 명언

일본인의 편협한 섬나라 근성을 증장시켜 온 큰 요인은 확고한 '철학'이 부재한 데 있으며, 또 '국가주의'라는 왜곡된 교육에 있습니다. 따라서 저는 '인간주의'의 철학과 교육의 연대를 세계에 펼쳐 왔습니다. ~ 중략 ~
긴박한 시대 상황을 정시하면서 "새로운 생명의 철학을 구축하고, 흔들리지 않는 인류의 '지헤의 기둥'을 확립시키지 않으면 안 된다." 그리고 교육의 교류에 의해 낡은 국가의 틀을 벗어나 상호 협력하는 지역공동체를 형성하고 더불어 살아가고 더불어 번영하지 않으면 안 된다."라고

- 세계계관시인, UN 평화상 수상, 380여 개에 이르는 명예시민증, 23개의 훈장, 세계 69개대학 100회 방문, 30여 회 강연(하버드대학교 등), 세계의 지도자 및 석학과 1600여회의 대화(토인비 박사 등), 세계의 대학 학술 기관으로부터 180여 개가 넘는 명예박사/명예교수 칭호 池田大作(1998년 5월 15일 경희대 명예철학박사 학위 수여식 답사 중에서) -


행복을 가져다주는 12가지 요소 - 조 영탁님

출처 : 행복한 경영이야기

인간은 과연 어느 정도의 돈을 가지고 있을 때
가장 행복할까?
영국 워릭대 연구팀에 의하면
‘가장 행복감을 느끼게 하는 액수는
100만 파운드 (약 18억원)’이다.

연구팀은 돈이 있다고 해서 다 행복한 것은 아니고
일에서의 성취감, 만족스런 결혼 생활,
건강등이 행복을 결정하는 데
중요하다고 결론지었다.

인간이 살아가는데 진정한 행복을
창출하는 요소는 다음과 같다.

1. 희망 비전 : 기대감과 성취욕
2. 심리적, 경제적 여유 : 일상생활의 풍요와 평화로운 행복감
3. 배려, 친절 : 좋은 인상과 친밀한 행복감

4. 사랑, 좋아함 : 좋은 관계와 지속적인 인연을 바라는 행복감
5. 용서, 포용력 : 상대방을 이해하고 동정하는 행복감
6. 상호 커뮤니케이션, 이해 :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려는 행복감

7. 감사, 친밀감 : 보답하기 위한 기회와 접촉을 유발하는 행복감
8. 건전한 사고방식 : 신뢰, 믿음, 확신하고픈 행복감
9. 격려, 칭찬 : 인간관계의 발전과 이를 유지하려는 행복감

10. 열정 : 집중과 도전에 대한 행복감
11. 나눔, 협조 : 상호관계, 동참, 참여를 통한 행복감
12. 동정, 인지상정 : 어려움, 슬픔등을 동감, 동조하는 행복감

- ‘고객 행복 경영’에서 -

※ 조 영탁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Pace Letter - 평화와 교육을 생각하는 세계 최초의 인터넷 편지 신문

World Peace, Human Happiness


제78호 2005.3.20.

 

꿈과 희망과 행복을 전해드리는 '행복의 대사' '평화의 외교관'인 행복박사 李 基準입니다.
편협한 일본의 국가주의를 보면서 많은 것을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땅과 하늘도 심하게 흔들렸습니다. 국가의 지도자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생각하게 해주는 대목입니다. 지도자가 덕을 잃으면 국민이 불쌍합니다. 저 또한 이번을 계기로 크게 반성을 하였습니다. 일본의 후쿠오카에서 일어난 지진이 우리 대한민국에게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제는 세계평화와 인류의 행복을 염원해 가야 합니다. 참된 교육의 교류가 국가간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번 지진으로 인한 피해자가 최소화 되기를 기원합니다. 그리고 세계평화와 인류의 행복을 위해 4권의 책을 집필하고자 합니다. 다소 경제, 경영적인 내용의 글이 되겠지만 ....... 먼저 올해 내에 1권의 완성을 목표로 도전하겠습니다. 많은 도움과 성원을 부탁드립니다.      


금주의 명언

일본인의 편협한 섬나라 근성을 증장시켜 온 큰 요인은 확고한 '철학'이 부재한 데 있으며, 또 '국가주의'라는 왜곡된 교육에 있습니다. 따라서 저는 '인간주의'의 철학과 교육의 연대를 세계에 펼쳐 왔습니다. ~ 중략 ~
긴박한 시대 상황을 정시하면서 "새로운 생명의 철학을 구축하고, 흔들리지 않는 인류의 '지헤의 기둥'을 확립시키지 않으면 안 된다." 그리고 교육의 교류에 의해 낡은 국가의 틀을 벗어나 상호 협력하는 지역공동체를 형성하고 더불어 살아가고 더불어 번영하지 않으면 안 된다."라고

- 세계계관시인, UN 평화상 수상, 380여 개에 이르는 명예시민증, 23개의 훈장, 세계 69개대학 100회 방문, 30여 회 강연(하버드대학교 등), 세계의 지도자 및 석학과 1600여회의 대화(토인비 박사 등), 세계의 대학 학술 기관으로부터 180여 개가 넘는 명예박사/명예교수 칭호 池田大作(1998년 5월 15일 경희대 명예철학박사 학위 수여식 답사 중에서) -


행복을 가져다주는 12가지 요소 - 조 영탁님

출처 : 행복한 경영이야기

인간은 과연 어느 정도의 돈을 가지고 있을 때
가장 행복할까?
영국 워릭대 연구팀에 의하면
‘가장 행복감을 느끼게 하는 액수는
100만 파운드 (약 18억원)’이다.

연구팀은 돈이 있다고 해서 다 행복한 것은 아니고
일에서의 성취감, 만족스런 결혼 생활,
건강등이 행복을 결정하는 데
중요하다고 결론지었다.

인간이 살아가는데 진정한 행복을
창출하는 요소는 다음과 같다.

1. 희망 비전 : 기대감과 성취욕
2. 심리적, 경제적 여유 : 일상생활의 풍요와 평화로운 행복감
3. 배려, 친절 : 좋은 인상과 친밀한 행복감

4. 사랑, 좋아함 : 좋은 관계와 지속적인 인연을 바라는 행복감
5. 용서, 포용력 : 상대방을 이해하고 동정하는 행복감
6. 상호 커뮤니케이션, 이해 :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려는 행복감

7. 감사, 친밀감 : 보답하기 위한 기회와 접촉을 유발하는 행복감
8. 건전한 사고방식 : 신뢰, 믿음, 확신하고픈 행복감
9. 격려, 칭찬 : 인간관계의 발전과 이를 유지하려는 행복감

10. 열정 : 집중과 도전에 대한 행복감
11. 나눔, 협조 : 상호관계, 동참, 참여를 통한 행복감
12. 동정, 인지상정 : 어려움, 슬픔등을 동감, 동조하는 행복감

- ‘고객 행복 경영’에서 -

※ 조 영탁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Pace Letter - 평화와 교육을 생각하는 세계 최초의 인터넷 편지 신문

World Peace, Human Happiness


제78호 2005.3.20.

 

꿈과 희망과 행복을 전해드리는 '행복의 대사' '평화의 외교관'인 행복박사 李 基準입니다.
편협한 일본의 국가주의를 보면서 많은 것을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땅과 하늘도 심하게 흔들렸습니다. 국가의 지도자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생각하게 해주는 대목입니다. 지도자가 덕을 잃으면 국민이 불쌍합니다. 저 또한 이번을 계기로 크게 반성을 하였습니다. 일본의 후쿠오카에서 일어난 지진이 우리 대한민국에게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제는 세계평화와 인류의 행복을 염원해 가야 합니다. 참된 교육의 교류가 국가간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번 지진으로 인한 피해자가 최소화 되기를 기원합니다. 그리고 세계평화와 인류의 행복을 위해 4권의 책을 집필하고자 합니다. 다소 경제, 경영적인 내용의 글이 되겠지만 ....... 먼저 올해 내에 1권의 완성을 목표로 도전하겠습니다. 많은 도움과 성원을 부탁드립니다.      


금주의 명언

일본인의 편협한 섬나라 근성을 증장시켜 온 큰 요인은 확고한 '철학'이 부재한 데 있으며, 또 '국가주의'라는 왜곡된 교육에 있습니다. 따라서 저는 '인간주의'의 철학과 교육의 연대를 세계에 펼쳐 왔습니다. ~ 중략 ~
긴박한 시대 상황을 정시하면서 "새로운 생명의 철학을 구축하고, 흔들리지 않는 인류의 '지헤의 기둥'을 확립시키지 않으면 안 된다." 그리고 교육의 교류에 의해 낡은 국가의 틀을 벗어나 상호 협력하는 지역공동체를 형성하고 더불어 살아가고 더불어 번영하지 않으면 안 된다."라고

- 세계계관시인, UN 평화상 수상, 380여 개에 이르는 명예시민증, 23개의 훈장, 세계 69개대학 100회 방문, 30여 회 강연(하버드대학교 등), 세계의 지도자 및 석학과 1600여회의 대화(토인비 박사 등), 세계의 대학 학술 기관으로부터 180여 개가 넘는 명예박사/명예교수 칭호 池田大作(1998년 5월 15일 경희대 명예철학박사 학위 수여식 답사 중에서) -


행복을 가져다주는 12가지 요소 - 조 영탁님

출처 : 행복한 경영이야기

인간은 과연 어느 정도의 돈을 가지고 있을 때
가장 행복할까?
영국 워릭대 연구팀에 의하면
‘가장 행복감을 느끼게 하는 액수는
100만 파운드 (약 18억원)’이다.

연구팀은 돈이 있다고 해서 다 행복한 것은 아니고
일에서의 성취감, 만족스런 결혼 생활,
건강등이 행복을 결정하는 데
중요하다고 결론지었다.

인간이 살아가는데 진정한 행복을
창출하는 요소는 다음과 같다.

1. 희망 비전 : 기대감과 성취욕
2. 심리적, 경제적 여유 : 일상생활의 풍요와 평화로운 행복감
3. 배려, 친절 : 좋은 인상과 친밀한 행복감

4. 사랑, 좋아함 : 좋은 관계와 지속적인 인연을 바라는 행복감
5. 용서, 포용력 : 상대방을 이해하고 동정하는 행복감
6. 상호 커뮤니케이션, 이해 :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려는 행복감

7. 감사, 친밀감 : 보답하기 위한 기회와 접촉을 유발하는 행복감
8. 건전한 사고방식 : 신뢰, 믿음, 확신하고픈 행복감
9. 격려, 칭찬 : 인간관계의 발전과 이를 유지하려는 행복감

10. 열정 : 집중과 도전에 대한 행복감
11. 나눔, 협조 : 상호관계, 동참, 참여를 통한 행복감
12. 동정, 인지상정 : 어려움, 슬픔등을 동감, 동조하는 행복감

- ‘고객 행복 경영’에서 -

※ 조 영탁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Pace Letter - 평화와 교육을 생각하는 세계 최초의 인터넷 편지 신문

World Peace, Human Happiness


제78호 2005.3.20.

 

꿈과 희망과 행복을 전해드리는 '행복의 대사' '평화의 외교관'인 행복박사 李 基準입니다.
편협한 일본의 국가주의를 보면서 많은 것을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땅과 하늘도 심하게 흔들렸습니다. 국가의 지도자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생각하게 해주는 대목입니다. 지도자가 덕을 잃으면 국민이 불쌍합니다. 저 또한 이번을 계기로 크게 반성을 하였습니다. 일본의 후쿠오카에서 일어난 지진이 우리 대한민국에게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제는 세계평화와 인류의 행복을 염원해 가야 합니다. 참된 교육의 교류가 국가간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번 지진으로 인한 피해자가 최소화 되기를 기원합니다. 그리고 세계평화와 인류의 행복을 위해 4권의 책을 집필하고자 합니다. 다소 경제, 경영적인 내용의 글이 되겠지만 ....... 먼저 올해 내에 1권의 완성을 목표로 도전하겠습니다. 많은 도움과 성원을 부탁드립니다.      


금주의 명언

일본인의 편협한 섬나라 근성을 증장시켜 온 큰 요인은 확고한 '철학'이 부재한 데 있으며, 또 '국가주의'라는 왜곡된 교육에 있습니다. 따라서 저는 '인간주의'의 철학과 교육의 연대를 세계에 펼쳐 왔습니다. ~ 중략 ~
긴박한 시대 상황을 정시하면서 "새로운 생명의 철학을 구축하고, 흔들리지 않는 인류의 '지헤의 기둥'을 확립시키지 않으면 안 된다." 그리고 교육의 교류에 의해 낡은 국가의 틀을 벗어나 상호 협력하는 지역공동체를 형성하고 더불어 살아가고 더불어 번영하지 않으면 안 된다."라고

- 세계계관시인, UN 평화상 수상, 380여 개에 이르는 명예시민증, 23개의 훈장, 세계 69개대학 100회 방문, 30여 회 강연(하버드대학교 등), 세계의 지도자 및 석학과 1600여회의 대화(토인비 박사 등), 세계의 대학 학술 기관으로부터 180여 개가 넘는 명예박사/명예교수 칭호 池田大作(1998년 5월 15일 경희대 명예철학박사 학위 수여식 답사 중에서) -


행복을 가져다주는 12가지 요소 - 조 영탁님

출처 : 행복한 경영이야기

인간은 과연 어느 정도의 돈을 가지고 있을 때
가장 행복할까?
영국 워릭대 연구팀에 의하면
‘가장 행복감을 느끼게 하는 액수는
100만 파운드 (약 18억원)’이다.

연구팀은 돈이 있다고 해서 다 행복한 것은 아니고
일에서의 성취감, 만족스런 결혼 생활,
건강등이 행복을 결정하는 데
중요하다고 결론지었다.

인간이 살아가는데 진정한 행복을
창출하는 요소는 다음과 같다.

1. 희망 비전 : 기대감과 성취욕
2. 심리적, 경제적 여유 : 일상생활의 풍요와 평화로운 행복감
3. 배려, 친절 : 좋은 인상과 친밀한 행복감

4. 사랑, 좋아함 : 좋은 관계와 지속적인 인연을 바라는 행복감
5. 용서, 포용력 : 상대방을 이해하고 동정하는 행복감
6. 상호 커뮤니케이션, 이해 :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려는 행복감

7. 감사, 친밀감 : 보답하기 위한 기회와 접촉을 유발하는 행복감
8. 건전한 사고방식 : 신뢰, 믿음, 확신하고픈 행복감
9. 격려, 칭찬 : 인간관계의 발전과 이를 유지하려는 행복감

10. 열정 : 집중과 도전에 대한 행복감
11. 나눔, 협조 : 상호관계, 동참, 참여를 통한 행복감
12. 동정, 인지상정 : 어려움, 슬픔등을 동감, 동조하는 행복감

- ‘고객 행복 경영’에서 -

※ 조 영탁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Pace Letter - 평화와 교육을 생각하는 세계 최초의 인터넷 편지 신문

World Peace, Human Happiness


제77호 2005.3.13.

 

꿈과 희망과 행복을 전해드리는 '행복의 대사' '평화의 외교관'인 행복박사 李 基準입니다.
'살아 있는 동안 꼭 해야 할 49가지'를 천천히 음미하면서 읽었습니다. 그러면서 어떤 것은 실천해 보기도 하였습니다. 아내에게 사랑한다고 문자도 보내고, 그동안 연락을 못했던 친구에게 전화도 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문득  신혼생활을 했던 집도 가보았습니다. 집앞에서 놀라움을 금치 못했습니다. 예전에 이사하면서 버려졌었다고 생각했던 나무가 집앞 공원에 세그루 나란히 심어져 있었습니다. 그 나무는 결혼후 맞이한 식목일에 아내와 같이 예쁜꽃 이쁜나무에서 샀던 벚꽃나무(나의 나무), 목련(아내의 나무), 보리수나무(애기 나무)로 수레에 실어와서 집에 심었던 나무입니다. 그래서 이사후에 와보니 없길래 버려졌다고 생각을 하였는데 이것이 왠일인가 꿈만 같았습니다. 아주 멋지고 크게 자란 나무를 보니 벅찬 감동이 생겼습니다. 우리는 때로는 소중한 것 하나 정도 가지는 것은 어떨까요?


금주의 명언

누구보다도 불타야 리더입니다.
누구보다도 挑戰해야 리더입니다.
누구보다도 誠實해야 리더입니다
누구보다도 勞苦해야 리더입니다
누구보다도 勇敢해야 리더입니다
누구보다도 思索해야 리더입니다
누구보다도 眞摯해야 리더입니다
누구보다도 奉仕해야 리더입니다

리더가 자신의 人間革命에 진지하게 도전해 간다면 그 조직은 몇 십 배의 발전도 해 갈 수 있습니다.

- 세계계관시인, UN 평화상 수상, 380여 개에 이르는 명예시민증, 23개의 훈장, 세계 69개대학 100회 방문, 30여 회 강연(하버드대학교 등), 세계의 지도자 및 석학과 1600여회의 대화(토인비 박사 등), 세계의 대학 학술 기관으로부터 180여 개가 넘는 명예박사/명예교수 칭호 池田大作 -


북리뷰:살아 있는 동안 꼭 해야 할 49가지

최근에 지하철을 타고 가면서 행복에 대한 기사를 읽은 적이 있다. 그때도 느낀 것이지만 결론은 자신이라고 생각한다. 자신이 행복하다고 생각하면 행복한 것이고 자신이 불행하다고 느끼는 순간 불행한 것이다. 인생도 또한 마찬가지이다. 결국 마지막에 어떻게 되느냐가 관건이다. 아무리 힘들고 어려워도 마지막이 행복하면 해피엔딩이다. 반면 아무리 화려하고 멋진 삶을 살더라도 마지막이 불행하면 비극이 됩니다. 그러기에 우리는 우리의 인생을 비극보다는 희극으로 만들어 갔으면 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살아 있는 동안 꼭 해야 할 49가지' 중에 행복에 대한 내용의 한구절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또 다른 수 많은 아름다운 날들도 기억합니다. 분명히 그런 날들도 무척 행복했어요. 하지만 오늘처럼 좋았던 날은 없지요. 그날들 중 어떤 날도 단지 두 번째일 뿐이에요. 그 하루하루가 지금의 생활을 만들어 주었습니다. 행복했던 날들이 모여서 오늘을 만들어 준 것이니, 바로 오늘이야말로 가장 행복한 날이라고 생각합니다."

행복의 기준은 사람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만은 다를 수 없습니다.
행복했던 나날이 모두 모여,
바로 오늘을 만든다는 것입니다.
새털처럼 많은 행복했던 순간이 모여,
당신의 오늘을 만든 것입니다.
그것이 바로 오늘  하루를 감사하며
살아야 할 뚜렷한 이유입니다.

- 본문 '지금, 가장 행복하다고 외쳐보기' 中에서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