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ce Letter - 평화와 교육을 생각하는 세계 최초의 인터넷 편지 신문
World Peace, Human Happiness

제94호 2005.7.7.

 

꿈과 희망과 행복을 전해드리는 '행복의 대사' '평화의 외교관'인 행복박사 李 基準입니다.
한국생산성 본부에서 리더십 개발 교육을 받았습니다. 리더로서 새롭게 도전을 시작하겠습니다.
[어두운 동굴에서 벗어나 바같의 대명천지를 보고 온 사람만이 진정한 리더가 될 수 있다.
"리더란"
동굴밖 새로운 삶을 경험하고, 나오려 하지 않는 사람들에게 바깥 세계에는 무궁무진한 기회가 있음을 알려주고 광명의 세계로 이끌고 나와야 한다.]라고
항상 희망을 가지고 도전하는 자신이 되었으면 합니다. 그리고 타인의 생각은 자신과 언제나 다를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한다면 더욱 좋은 리더십을 발휘할 것입니다.

세계평화와 인류행복을 위한 세계 최고의 베스트셀러를 꿈꾸며:기회의 법칙 원고 마감 D-177일


手中慧(내 손안의 지식 은장도):무인도의 법칙

무인도에 표류한 사람들이 ‘생존’이란 목표를 향해 서로 협조하듯이 아무리 이질적인 집단이라도 공동 목표가 있으면 집단간 갈등이 줄어든다.

사례:미국의 심리학자 셰리프(Sherif)는 여름캠프 참가자들을 두 반으로 나눠 각각 ‘방울뱀’과 ‘독수리’란 반 이름을 지어줬다. 그러자 두 반간에 경쟁심리가 발동하면서 크고 작은 마찰이 발생했다. 하지만 인근으로 음식을 사러 가던 트럭이 구덩이에 빠지자 두 반은 순식간에 힘을 합쳐 트럭을 끌어 냈다고 한다.

활용Tip:부서간 갈등, 자주 목격하시죠?  일일이 중재에 나설 수도 없고 참 신경쓰일 겁니다. 이때 무인도의 법칙을 적용해 보세요. 힘을 합해야만 달성할 수 있는 공동의 목표를 부여한다면 부서간의 고질적인 갈등을 잠재울 수 있을 것입니다.

- 자료제공:삼성경제연구소 지식경영실장 강 신장 상무(SERICEO 내용 中에서) -


금주의 명언:I HAVE A DREAM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언젠가 이 나라가 모두 일어나, 이 나라가 믿고 있는"우리는 모든 인간은 평등하게 태어났다는 사실을 자명하다고 생각한다"는 말의 참뜻을 실행하게 될 날이 반드시 오리라는 꿈을 나는 가지고 있습니다.

- 마틴 루터 킹 -


어떻게 명품급 인재가 될 수 있는가? - 공 병호님 편

<명품급 인재를 위한 조언>
1. 현재 자리에서 새로운 각오로 시작한다.
2. 자신의 자질과 적성을 분석한다.
3. 자기 분야에서 1인자가 되겠다는 각오를 세운다.
4. 사내에서 나의 포지션을 확실히 만든다.
5. 장점을 살리고 단점을 과감하게 버린다.
6. 나의 핵심 역량을 구축하는 개인 구조조정을 단행한다.
7. 제너럴리스트가 되기보다는 스페셜리스트가 된다.
8. 직장에 대한 5년 주기 장기 계획을 세운다.
9. 1년 주기의 단기 계획을 세운다.
10. 목표를 실행하기 위한 자기계발 프로그램을 만든다.
11. 건강관리에 충실한다.
12. 유연한 사고, 긍정적인 태도, 적극적인 도전의식을 갖는다.
13. 변화를 두려워하기보다 기회로 삼는다.

<글로벌 인재를 위한 체크리스트>
1. 뛰어난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있는가?
2. 자신의 업무에 대한 전문성을 갖고 있는가?
3. 유연한 사고와 원만한 대인관계를 갖고 있는가?
4. 자신에 대한 투자를 아끼지 않는가?
5. 국제적 대인 네트워킹 구축을 게을리 하지 않는가?
6. 맡은 일을 책임지고 이행할 수 있을 정도로 성실한가?
7. 예스 혹은 노를 빠르게 결정할 수 있는가?
8. 정보를 수집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하는가?
9. 끝없이 자신을 계발하는가?
10. 스스로 회사의 주인이라고 생각하는가?
11. 생각의 속도에 따라 행동하는가?
- 유순신, <나는 희망에 스카우트 한다> -

※ 공 병호 박사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발행인·편집인·발송인:李 基準

 

한 사람의 인간에 있어서의 위대한 인간혁명은 이윽고 한 나라의 숙명전환마저도 가능케 한다.
- 세계계관시인, UN 평화상 수상, 민주음악협회, 도쿄 후지미술관, 소카대학교 등 설립, SGI(190개 회원국) 회장, 420여 개에 이르는 명예시민증, 23개의 훈장, 세계 69개대학 100회 방문, 30여 회 강연(하버드대학교 등), 세계의 지도자 및 석학과 1600여회의 대화(토인비 박사 등), 세계의 대학 학술 기관으로부터 200여(확정 포함) 개에 이르는 명예박사/명예교수 칭호 池田大作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 Cyber SERI 전략경영연구소(세계전략경영포럼 WSMF) 고문위원/자문교수위원/홍보위원/자문위원/임원단/시삽단/전사모 본부장단/플래티늄 VIP/골드 VIP 소개 ★★★★★

▶ 전략경영연구소 선정 최우수 포럼 Leader
Leader 강신장 삼성경제연구소 지식경영실장 상무

▶ 전략경영연구소 선정 최우수 포럼
포럼 전략경영연구소(http://www.seri.org/forum/smlab)
포럼 기획연구회(http://www.seri.org/forum/bizup)
포럼 영업유통경영포럼(http://www.seri.org/forum/sales)
포럼 복잡계 경제 연구회(http://www.seri.org/forum/complexity)
포럼 M&A파워포럼(http://www.seri.org/forum/mna)
포럼 마케팅전략 지식그룹(http://www.seri.org/forum/emarketing)
포럼 파사모(http://www.seri.org/forum/pasamo)
포럼 커리어포럼(http://www.seri.org/forum/career)
포럼 경영컨설팅동호회(http://www.seri.org/forum/unimcs)
포럼 게임이론(http://www.seri.org/forum/nash)
포럼 일하는 여성 성공 촉매(http://www.seri.org/forum/wwsc)
포럼 7가지 성공습관과 프랭클린 플래너(http://www.seri.org/forum/franklin)
포럼 프랜차이즈 포럼(http://www.seri.org/forum/franchise)

▶ 고문위원(가나다순):15명
위원 고수복 한국품질재단 한국품질인증센터 본부장
위원 김승환 포항공대 물리학과 교수/아시아 태평양 이론물리센터 사무총장
위원 김현수 국민대학교 경상대학 교수/비즈니스IT전문대학원 원장/(사)한국SI학회 회장
위원 박창우 (주)벤처타이거 대표이사/미국 프로젝트관리 기술사(PMP)
위원 백경호 LG투자신탁운용 대표이사사장/前 국민투자신탁운용 대표이사
위원 백성호 무형자산 연구소 대표/법학 박사/경영지도사
위원 변명식 (사)중소기업 혁신 전략연구원 원장/경영학 박사, (사)한국유통학회 부회장
위원 위남호 서울반도체 고문
위원 윤문노 FX코리아 경영고문/前 대우경제연구소장
위원 이경일 에듀컨전략경영개발원 원장
위원 이준식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교수/前 서울대학교 창업지원센터 소장
위원 임득수 한국원가원 대표/공인회계사/정보처리기술사, (사)디지털기업가치평가협회 회장
위원 조정웅 이미지 대표
위원 조중명 크리스탈지노믹스(주) 사장/前 LG화학 생명과학연구소장
위원 홍진학 AMS 경영 컨설팅 대표컨설턴트/국제 선임 심사원(품질 및 환경 경영시스템)

▶ 자문교수(급)위원(가나다순):30명
위원 강 성 전주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위원 고봉찬 서울대학교 교수
위원 권이현 공군대학 교수
위원 김계섭 동아대학교 교수
위원 김상훈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위원 김중인 홍익대학교 상경대학 교수
위원 박남규 KAIST 테크노경영대학원 교수
위원 배동웅 농협중앙교육원 조교수
위원 백기락 크레벤 회장,자기계발/성공 및 마케팅/세일즈 강사
위원 서문성 중앙대학교 교수
위원 성근현 계명대학교 겸임교수
위원 손태영 前 숙명여자대학교 겸임교수/문헌정보(주) 대표이사
위원 송재윤 정보통신공무원교육원 교수
위원 신석호 영진전문대학 교수
위원 오세근 SBS 비즈니스개발 대표/칼럼니스트/메일로 읽는 경영필자/강사
위원 우성진 대구과학대학 경영학과 교수
위원 윤영돈 커리어코칭연구소 대표
위원 이명호 한국외국어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위원 이상승 서울대학교 경제대학 교수
위원 이운락 동부산대학 겸임교수
위원 이의현 대림대학 겸임교수/대일특수강(주) 대표이사/경영지도사
위원 이준형 경찰대학 경찰학과 교수
위원 이창우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위원 이후연 Open Tide CEO/대표이사/이학박사
위원 임붕영 안산공과대학 교수
위원 장수용 세종사이버대학교,조선대학교,선문대학교 겸임교수/전략기업컨설팅 원장
위원 장영희 문경대학 건축디자인과 교수
위원 장태옥 영남대학교 교수
위원 한만호 동덕여자대학교 경영경제학부 교수
위원 황용규 샌프란시스코대학 박사원 초빙교수

▶ 홍보위원(가나다순):53명
위원 곽상규 한국방송광고공사 과장
위원 김경주 미디어 방송작가
위원 김귀수 광주방송 기술국
위원 김기한 국무조정실 정책관리심의관실
위원 김기정 21세기북스
위원 김덕일 (주)콜롬버스시네마 이사
위원 김도광 디지털 조선일보 과장
위원 김명남 KBS 한국방송
위원 김상민 균형발전위원회 기획/홍보팀
위원 김석호 매일경제신문사 팀장
위원 김성훈 이에스오미디어(주) 부사장
위원 김영남 광주문화방송 기술국장
위원 김용탁 (사)정책분석평가사협회 사무국장/前 국회의원 보좌관
위원 김재홍 제주그랜드호텔
위원 김재혁 미디어 플러스 차장
위원 김종호 (주)아이북랜드 과장
위원 김희태 선우엔터테인먼트 이사
위원 남영욱 (주)서경방송 기술팀장
위원 남철희 한빛낙동방송 대표이사
위원 노점환 정부혁신세계포럼기획단 홍보/前 국정홍보처 기획예산
위원 민 철 한국일보 차장
위원 박진형 스포츠서울 차장
위원 배용민 한국경제
위원 변상수 호텔신라
위원 서정호 해양수산부 혁신담당관실
위원 성백인 춘천MBC 송출기술부장
위원 오창엽 코리아리서치 팀장
위원 유동완 인천국제공항공사 경영관리팀원
위원 유세일 한국과학문화재단 영상사업실 PD
위원 유창열 헤럴드미디어 기획조정실 과장
위원 이건우 前 스포츠투데이 편집국장
위원 이관표 르네상스서울호텔 판촉부 차장
위원 이성기 KBS 한국방송
위원 이성우 국무총리산하 기초기술연구회 정책팀
위원 이재형 한국관광공사 BRAVO팀
위원 이완호 한경리서치 본부장
위원 장선희 대통령비서실 국정상황실
위원 장수영 (주)SBS방송아카데미/(주)비전홀딩스 학과장/전략기획 이사
위원 정성민 휴맥스 기획
위원 전제희 MBC애드컴
위원 전종석 넥스비즈 대표이사
위원 정상섭 KBS SKY 차장
위원 정 선 코리아헤럴드
위원 정윤영 hankyung report
위원 정현직 국무조정실
위원 조두형 경기관광공사 기획연구팀
위원 최인식 유통경제신문 사업국 국장
위원 최중철 서울문화재단 manager
위원 최창범 국민일보주식회사 전략기획실
위원 함재국 (주)CBSi 모바일사업팀장
위원 한통정 (재)정동극장 팀장
위원 홍형일 국세신문 과장
위원 황영식 MBC 구성작가

▶ 자문위원(가나다순):144명
위원 가범현 산은캐피탈 실장
위원 강동한 한국은행 차장
위원 김승균 부천시 원미구청 건설과 팀장/정책분석평가사
위원 강승철 현대모비스 구매본부 구매기획팀장
위원 강우현 (주)하나로텔레콤 시스템플러스대표
위원 강원혁 KMAR(한국능률협회 경영인증원) 심사원
위원 강윤구 강윤구세무회계사무소 공인회계사
위원 강철호 삼성생명 라이프테크 부지점장
위원 강상목 한국원가전략연구소 수석컨설턴트
위원 고정학 삼성전자 반도체 차장
위원 권재진 삼성전자(주) 글로벌마케팅실 차장
위원 김경희 삼성경제연구소 RA
위원 김국현 IBM 과장
위원 김기환 한국 IBM - Consulting Group 실장
위원 김길진 세무사 김길진 사무소 세무사
위원 김도형 (주)한국경영법인 상무이사
위원 김동일 삼일회계법인 REITs팀 공인회계사
위원 김두한 한국HP 부장
위원 김명문 현대정보기술 부장
위원 김범석 삼정회계법인 일본사업본부 HR팀장
위원 김복중 세무사 김복중 사무소 세무사
위원 김상현 삼성전자 DA총괄 담당과장
위원 김선경 전남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기획실장
위원 김성진 안진회계법인 이사/공인회계사
위원 김성혁 KOTRA 전시사업팀
위원 김연학 정보통신연구진흥원 혁신전략실
위원 김영수 KT 경영연구소 전임연구원
위원 김영철 삼일회계법인 회계사
위원 김영호 KT 수도권서부본부 팀장
위원 김원준 타임국제특허법률사무소 소장
위원 김점수 미래에셋증권 전산기획팀
위원 김정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위원
위원 김종서 국방부 검열관
위원 김종수 한국전력공사 본사 재무처 과장
위원 김지욱 조달청 정보기획과 전산사무관
위원 김진국 KT 부장
위원 김진석 KIDC 상무
위원 김진수 한국항공우주산업(주) 차장
위원 김한수 한국외국어평가원 기획실장
위원 김항규 삼일회계법인 Manager
위원 김형수 한국신용평가 주식회사 특수평가 사업부문 선임연구원
위원 노종수 공무원연금관리공단 과장
위원 문동규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행정원
위원 문만덕 대구신용보증재단 팀장
위원 박노선 한국항공우주산업(주) 공장장
위원 박동찬 삼성전자 SOC연구소
위원 박병주 안보문제 연구소 선임연구원
위원 박수열 한국전력거래소 설계
위원 박순욱 라이터스 freelancer
위원 박응호 LNC 컨설팅 소장
위원 박재구 한국소비자보호원 기획관리실
위원 박정규 서울지방 중소기업청 벤처기업과 과장
위원 박종태 한국통신 연수원 기획지원팀 과장
위원 박지홍 KMAC 전문위원
위원 박해봉 한국경제연구소 소장
위원 방기원 삼일회계법인 회계사
위원 배만식 동성제약(주) 기획이사
위원 서승철 KT IT본부 정보기획팀 과장
위원 서오영 우리은행 PB사업단 차장
위원 서임춘 GE Thermometrics Technologies Ltd 책임연구원
위원 서형복 금융감독원 기획조정국 팀장
위원 손경현 신한경영컨설팅 전문위원
위원 시춘근 한국표준협회 팀장
위원 신동진 법무법인 세종 지적재산권부
위원 신민경 프라임관세사무소 관세사
위원 신민수 한양대학교 조교수
위원 심 환 선진회계법인 회계사
위원 안광남 한국품질재단 한국품질인증센터 선임심사원
위원 양동우 기술신용보증기금 기업컨설팅센터 차장/경영학 박사
위원 양희천 동부아남반도체 임원
위원 엄만성 한신경영컨설팅사무소 대표
위원 오고탁 성균관대학교 대외협력처 팀장
위원 오영승 부천시청 기획예산과 디지털재정팀장
위원 왕재군 한국능률협회 전문위원(컨설턴트)
위원 우영운 한국능률협회컨설팅 CS경영본부 컨설턴트
위원 원은태 삼성전자 연구원
위원 유동영 한국정보보호진흥원 선임연구원
위원 유미경 Hanyang Hospital Facilitator
위원 유재용 한국산업은행 정보시스템부 과장
위원 유종국 한국경영컨설팅 수석 컨설턴트
위원 유종주 신용보증기금 과장
위원 윤철표 금융결제원 기획조정실 과장
위원 이강충 전주지방노동사무소 동부고용안정센터 취업지원팀장
위원 이교찬 KT 전남전산국장
위원 이기승 한국철도기술공사 부설연구소장
위원 이민석 하나은행 차장
위원 이병호 삼성전기 대전사업장
위원 이봉상 LBS창업컨설팅 대표/경영지도사
위원 이상영 KT 위성통신담당
위원 이상인 한국전산감리원 책임감리인(USCPA)
위원 이성수 한국SMC공압(주) 기획관리팀/공인노무사
위원 이세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연구원
위원 이승현 한국생산성본부 연구원
위원 이 열 대전국세청 조사과장
위원 이영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연구위원
위원 이윤형 한국은행 과장
위원 이윤희 한국철도시설공단 자금총괄부장
위원 이장식 삼덕회계법인 상무
위원 이재완 신한은행 기업컨설팅팀 컨설턴트
위원 이재일 (재)전남테크노파크 팀장/연구원
위원 이종건 KOTRA 차장
위원 이종권 대우조선해양 PI추진1팀 부장
위원 이종근 우리은행 차장
위원 이종운 현대전자(주) 경영혁신팀 IT-기획(ERP추진팀장)
위원 이창민 지식발전소 e-Biz기획팀
위원 임경희 한국뇌과학연구원 사무국장
위원 임관열 녹십자백신(주) 부장
위원 임두상 Nemo partners / Nemo Sigma Group 수석 컨설턴트
위원 임춘호 중소기업중앙회 과장
위원 임충현 영화회계법인 매니저
위원 장순익 수협중앙회 팀장
위원 장승규 한국경영컨설팅협동조합 이사장
위원 장영희 문경대학 건축디자인과 교수
위원 전상민 한국감정원 감정평가사
위원 정규진 새빛회계법인 상무
위원 정성훈 LG-EDS 시스템 eBiz컨설턴트
위원 정안정 나노집적센터 세무사
위원 정의준 딜로이트 컨설팅 Sr. Consultant
위원 정종옥 LG투자증권 상무
위원 조병규 알리안츠생명 지점장
위원 조용국 삼양사 기획실 부장
위원 조차현 현대정보기술 수석
위원 조치훈 신한특허법률사무소 변리사
위원 정재영 LG인화원 과장
위원 정윤식 한국IBM 과장
위원 주혜옥 고려대 안암병원 의료정보팀 팀장
위원 조용탁 (사)기업정보화지원센터 선임연구원
위원 진유기 한국 ECN증권주식회사 팀장
위원 차유신 국방부 정보화기획관실 정책기획팀장
위원 최귀선 ICU 한국정보통신교육원 전문교육사업단
위원 최난경 삼성서울가정의학과의원 의사
위원 최병윤 3c경영컨설팅 대표
위원 최용훈 한국M&IT컨설팅그룹 대표 컨설턴트
위원 최은경 경기도 군포시 기획감사실 혁신분권담당
위원 최정희 한국가스안전공사 부장
위원 최진영 삼성인력개발원 글로벌팀
위원 최진우 중소기업청소상공인지원센터 경영컨설턴트
위원 최훈환 마인드경영컨설팅 대표전문위원
위원 하종영 KT 신사업기획본부 기술전략부장
위원 한용수 한용수세무회계사무소 경영지도사,세무사
위원 홍건석 삼성전자 과장
위원 홍선표 에너지관리공단 경영기획실
위원 황의동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부장
위원 황철호 LG.Philips.Displays. 책임연구원

▶ 임원단:13명
의장 李基準 Cyber SERI 전략경영연구소(세계전략경영포럼 WSMF) 대표시삽/기업가치평가사
부의장 권순진 유일정보 부사장/CFO
부의장 김석근 sk consulting 대표
부의장 이영선 노무법인 한길 대표공인노무사
부의장 이주은 무하디지털(주) 이사
부의장 임용배 심테크시스템 부사장
부의장 장수용 전략기업컨설팅 원장
부의장 한혜정 Bizturn M&A(주) 전문위원
운영위원 가일현 삼성CS아카데미 주임
운영위원 김균영 (주)파크로드 차장
운영위원 안희철 (주)신라명과 부장
운영위원 윤상흠 이랜드(이천일 아울렛) 무역팀
운영위원 황만수 (주)노랑풍선(여행사) 팀장

▶ 시삽단(다이아몬드 VIP):11명
대표시삽 李基準 Cyber SERI 전략경영연구소(세계전략경영포럼 WSMF) 의장/기업가치평가사
대표부시삽 김경무 우신광학 실장
대표부시삽 김균영 (주)파크로드 차장
대표부시삽 김용탁 정책분석평가사협회 사무국장/前 국회 보좌관
대표부시삽 박종수 (주)수산중공업 생산팀장/부장
대표부시삽 손태영 문헌정보(주) 대표이사
대표부시삽 장석주 일동제약 대리
대표부시삽 장승규 한국경영컨설팅협동조합 이사장
대표부시삽 오성훈 전산실
대표부시삽 한기선 생산기술 과장
대표부시삽 황만수 (주)노랑풍선(여행사) 팀장

▶ 전사모 본부장단:23명
서울대학교 본부장 李基準 Cyber SERI 전략경영연구소(세계전략경영포럼 WSMF) 대표시삽/의장
국민대학교 본부장 김재한 비알코리아(주) 감사실
연세대학교 본부장 남광조 인해엔지니어링(주) 이사
고려대학교 본부장 신호철 한솔CSN
부산대학교 본부장 정원집 삼성전자(주)
강원대학교 본부장 김영록 (주)코스모파워텍
경기대학교 본부장 양은영 경기대대학원 대학원생
경북대학교 본부장 오성훈 전산실
대전대학교 본부장 윤현태 고베대학교 경영학연구과
전북대학교 본부장 최인태 (유)ANT 연구원
전남대학교 본부장 박수영 전남대학교 정치학과
충북대학교 본부장 박재현 중소기업연수원 연수생
한남대학교 본부장 윤석권 한남대학교 경영학과
서울 본부장 李基準 Cyber SERI 전략경영연구소(세계전략경영포럼 WSMF) 대표시삽/의장
부산 본부장 박찬호 부산외국어대학교 경영학과
인천 본부장 김경선 승봉비치텔 대표
대구 본부장 조상민 상아 바이오넷 대구지사 지사장
강원 본부장 유종석 산림조합중앙회목재유통센터동해사업소
경기 본부장 김명호 제일컨설팅
충남 본부장 김찬규 SNP컨설팅 대표
충북 본부장 김태정 현대자동차
경남 본부장 박순덕 나드리화장품 처장
해외 본부장 김호남 나고야시립대학 경영학과

▶ 플래티늄 VIP:8명
구도영 HowTo.name 시삽
권규욱 현대중공업 과장
김광철 (주)헤리트 과장
신호철 씨에스클럽코리아(주) 전략기획실장
윤철민 노동부 인사담당
이상영 창원특수강 실장
정락균 진흥전기(주) 부장
황용규 샌프란시스코대학 박사원 초빙교수

▶ 골드 VIP:9명
이윤숙 한국남부발전
이원배 posco
이관표 세경대학 교수
배용민 한국경제 사원 골드 VIP
이정현 한의원 원장
이종현 KT 부장
전종현 대림자동차 기술연구소 선임연구원
김세진 아주그룹 과장
엄종철 블루맥스 대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Pace Letter - 평화와 교육을 생각하는 세계 최초의 인터넷 편지 신문
World Peace, Human Happiness

제93호 2005.6.29.



꿈과 희망과 행복을 전해드리는 '행복의 대사' '평화의 외교관'인 행복박사 李 基準입니다.
서울대 동창회보(2005년 6월 15일)에서 서울대학교 수의학과 석좌교수인 황우석 교수는 "줄기세포는 피부와 각막, 근육, 뼈, 위장관, 호흡기 등으로 분화할 수 있다"면서 "앞으로 면역거부반응의 완전한 해결과 환자와 복제배아줄기세포의 생물학적 특성 규명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이 남아 있다"고 말했다. 함께 연구를 진행한 미국 피츠버그대 의대 제럴드 섀튼 교수는 "백신이나 항생제 발견보다 더 큰 획기적인 사건이 일어났다고 볼 수 있다"며 "산업혁명이 영국에서 일어났지만 당시에는 아무도 그것이 혁명인 줄 몰랐는데 한국의 서울에서 어쩌면 인류 역사의 흐름을 바꿔놓을 생명과학 혁명이 일어났는지도 모른다"고 격찬했다고 합니다.
저도 이번에 새로운 도전을 하고자 합니다. 그것은 세계평화와 인류행복을 향한 세계 최고의 베스트셀러 원고 작업을 하고자 합니다. 다소 어려움이 있겠지만 지금부터 도전해 가겠습니다.

세계평화와 인류행복을 위한 세계 최고의 베스트셀러를 꿈꾸며:'기회의 법칙' 원고 마감 D-184일


手中慧(내 손안의 지식 은장도):牛山之木(우산지목)

인간은 원래 착하게 태어났으나모진 풍파를 겪으면서 마음에 상처를 받아 악하게 됐다는 뜻이다.

유래:맹자가 “牛山은 원래 나무가 울창한 산이었으나 사람들이 나무를 베어가고, 소나 양이 풀마저 몽땅 뜯어먹어 민둥산이 됐다”는 고사를 인용하며 성선설을 주장한데서 나왔다.

활용Tip:惡한 파트너를 만났을 때! 牛山之木
수많은 파트너 중, 꼭 마음에 안 맞는‘악'한 사람 있으시죠?
태어날 때부터 악한 사람은 없답니다. ‘牛山之木'을 생각하고 誠心誠意껏 대하면 조만간 내 편!

- 자료제공:삼성경제연구소 지식경영실장 강 신장 상무(SERICEO 내용 中에서) -


금주의 명언

"순신아, 이것이 도대체 어찌된 일이냐. 흉악무도한 왜적(일본인)의 침략을 받고 세상 사람들이 분노에 잠을 이룰 수 없는데, 나라의 신하인 자가 어째서 싸우지 않고 그 싸움에 목숨을 아낄 수 있단 말인가!
이 늙은 내가 너에게 부탁하고 싶은 것은 해상에서의 싸움에서 목숨을 아끼지 말라고 하는 것이다. 오직 조국과 민족을 위해서 승리의 큰 북이 울려 퍼지기를 바랄 뿐이다. 비록 네가 쓰러진다 해도, 이 어미는 눈물을 흘리면서도 너의 승리를 찬양할 것이다. 이것을 더없는 기쁨으로 여기겠다"

- 이순신 장군의 어머니 -


한국의 '구국(救國)의 영웅':이순신 장군

1598년 11월 19일은 역사에 이름 높은 이순신(李舜臣) 장군이 포학한 일본의 침략과 결단코 싸워 사랑하는 조국을 끝까지 지키다가 순사한 그 날인 것이다.
만년에 ‘권력의 마성(魔性)’에 미쳐 우쭐해진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괘씸하게 ‘문화의 대은인’인 한국을 공격하고 침략하여 학살의 만행을 저질렀다.
일본은 참으로 나쁘다. 우리들은 그 나쁜 근성, 나쁜 권력과 싸우고 있는 것이다.
경산 시의 일대도 무참하게 유린된 것도 엄연한 역사적 사실이다.
그 만행을 목격한 어느 포르투갈 인은 이렇게 써 남기고 있다.
“일본인은 모든 것을 파괴하고 불태워 잿더미로 만들었다.”
그 와중에 분연(憤然)히 일어선 정의의 용자 ― 그 사람이 이순신 장군이다.

의견을 들어라, 겸허하게 들어라

이(李) 장군에 대해서는 몇 번이고 말해 왔지만 이러한 이야기가 있다.
히데요시가 침략해 왔을 때 이 장군은 어느 지방의 수군 사령관에 불과했었다.
그러나 다른 지역이 함락. 또 다른 지역도 함락.
이래서는 안 된다. 참패다 ― 장군은 더 이상 있을 수 없어 긴급 작전회의를 열었다.
조국을 어떻게 지키는가?
우리들의 지역에서 어떻게 싸우는가?
장군은 홀로 승리를 위해 숙고하여 손을 쓰는 한편, “모두 어떻게 생각하는가” 하고 의견을 구했다.
위로부터의 일방적인 명령이나 강요로는 참된 힘이 나오지 않는다. 모두가 자발적으로 일어서고 단결해야 참된 힘이 나온다. 그것을 알고 모든 사람의 힘을 끄집어 내는 것은 진짜 지도자다.

~ 중략 ~

이순신의 호소에 대해 처음에 많은 무장들은 말했다.
“우리들의 수비범위만 지키면 된다. 쓸데없는 짓을 하지 않는 게 좋다.”
그러나 그 가운데서 한 사람 또 한 사람 용감한 무장들이 반론을 개시했다.
“좁은 자기의 수비범위만 지킨다고 해서 조국을 전부 지킬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곧바로 이쪽부터 먼저 한 덩어리가 되어 공격에 나서야 한다!”
모두로부터 용기 있는 발언이 들끓기 시작했다.
이 장군은 “좋다, 알았다!”고 투지를 불태우며 단호한 출격의 호령(號令)을 발했다.
그리고 사랑하는 조국을 지키기 위해 맹렬하게 싸워 갔던 것이다.

- 池田大作 -


■ 발행인·편집인·발송인:李 基準



한 사람의 인간에 있어서의 위대한 인간혁명은 이윽고 한 나라의 숙명전환마저도 가능케 한다.
- 세계계관시인, UN 평화상 수상, 민주음악협회, 도쿄 후지미술관, 소카대학교 등 설립, SGI(190개 회원국) 회장, 420여 개에 이르는 명예시민증, 23개의 훈장, 세계 69개대학 100회 방문, 30여 회 강연(하버드대학교 등), 세계의 지도자 및 석학과 1600여회의 대화(토인비 박사 등), 세계의 대학 학술 기관으로부터 200여(확정 포함) 개에 이르는 명예박사/명예교수 칭호 池田大作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Pace Letter - 평화와 교육을 생각하는 세계 최초의 인터넷 편지 신문
World Peace, Human Happiness

제93호 2005.6.29.



꿈과 희망과 행복을 전해드리는 '행복의 대사' '평화의 외교관'인 행복박사 李 基準입니다.
서울대 동창회보(2005년 6월 15일)에서 서울대학교 수의학과 석좌교수인 황우석 교수는 "줄기세포는 피부와 각막, 근육, 뼈, 위장관, 호흡기 등으로 분화할 수 있다"면서 "앞으로 면역거부반응의 완전한 해결과 환자와 복제배아줄기세포의 생물학적 특성 규명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이 남아 있다"고 말했다. 함께 연구를 진행한 미국 피츠버그대 의대 제럴드 섀튼 교수는 "백신이나 항생제 발견보다 더 큰 획기적인 사건이 일어났다고 볼 수 있다"며 "산업혁명이 영국에서 일어났지만 당시에는 아무도 그것이 혁명인 줄 몰랐는데 한국의 서울에서 어쩌면 인류 역사의 흐름을 바꿔놓을 생명과학 혁명이 일어났는지도 모른다"고 격찬했다고 합니다.
저도 이번에 새로운 도전을 하고자 합니다. 그것은 세계평화와 인류행복을 향한 세계 최고의 베스트셀러 원고 작업을 하고자 합니다. 다소 어려움이 있겠지만 지금부터 도전해 가겠습니다.

세계평화와 인류행복을 위한 세계 최고의 베스트셀러를 꿈꾸며:'기회의 법칙' 원고 마감 D-184일


手中慧(내 손안의 지식 은장도):牛山之木(우산지목)

인간은 원래 착하게 태어났으나모진 풍파를 겪으면서 마음에 상처를 받아 악하게 됐다는 뜻이다.

유래:맹자가 “牛山은 원래 나무가 울창한 산이었으나 사람들이 나무를 베어가고, 소나 양이 풀마저 몽땅 뜯어먹어 민둥산이 됐다”는 고사를 인용하며 성선설을 주장한데서 나왔다.

활용Tip:惡한 파트너를 만났을 때! 牛山之木
수많은 파트너 중, 꼭 마음에 안 맞는‘악'한 사람 있으시죠?
태어날 때부터 악한 사람은 없답니다. ‘牛山之木'을 생각하고 誠心誠意껏 대하면 조만간 내 편!

- 자료제공:삼성경제연구소 지식경영실장 강 신장 상무(SERICEO 내용 中에서) -


금주의 명언

"순신아, 이것이 도대체 어찌된 일이냐. 흉악무도한 왜적(일본인)의 침략을 받고 세상 사람들이 분노에 잠을 이룰 수 없는데, 나라의 신하인 자가 어째서 싸우지 않고 그 싸움에 목숨을 아낄 수 있단 말인가!
이 늙은 내가 너에게 부탁하고 싶은 것은 해상에서의 싸움에서 목숨을 아끼지 말라고 하는 것이다. 오직 조국과 민족을 위해서 승리의 큰 북이 울려 퍼지기를 바랄 뿐이다. 비록 네가 쓰러진다 해도, 이 어미는 눈물을 흘리면서도 너의 승리를 찬양할 것이다. 이것을 더없는 기쁨으로 여기겠다"

- 이순신 장군의 어머니 -


한국의 '구국(救國)의 영웅':이순신 장군

1598년 11월 19일은 역사에 이름 높은 이순신(李舜臣) 장군이 포학한 일본의 침략과 결단코 싸워 사랑하는 조국을 끝까지 지키다가 순사한 그 날인 것이다.
만년에 ‘권력의 마성(魔性)’에 미쳐 우쭐해진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괘씸하게 ‘문화의 대은인’인 한국을 공격하고 침략하여 학살의 만행을 저질렀다.
일본은 참으로 나쁘다. 우리들은 그 나쁜 근성, 나쁜 권력과 싸우고 있는 것이다.
경산 시의 일대도 무참하게 유린된 것도 엄연한 역사적 사실이다.
그 만행을 목격한 어느 포르투갈 인은 이렇게 써 남기고 있다.
“일본인은 모든 것을 파괴하고 불태워 잿더미로 만들었다.”
그 와중에 분연(憤然)히 일어선 정의의 용자 ― 그 사람이 이순신 장군이다.

의견을 들어라, 겸허하게 들어라

이(李) 장군에 대해서는 몇 번이고 말해 왔지만 이러한 이야기가 있다.
히데요시가 침략해 왔을 때 이 장군은 어느 지방의 수군 사령관에 불과했었다.
그러나 다른 지역이 함락. 또 다른 지역도 함락.
이래서는 안 된다. 참패다 ― 장군은 더 이상 있을 수 없어 긴급 작전회의를 열었다.
조국을 어떻게 지키는가?
우리들의 지역에서 어떻게 싸우는가?
장군은 홀로 승리를 위해 숙고하여 손을 쓰는 한편, “모두 어떻게 생각하는가” 하고 의견을 구했다.
위로부터의 일방적인 명령이나 강요로는 참된 힘이 나오지 않는다. 모두가 자발적으로 일어서고 단결해야 참된 힘이 나온다. 그것을 알고 모든 사람의 힘을 끄집어 내는 것은 진짜 지도자다.

~ 중략 ~

이순신의 호소에 대해 처음에 많은 무장들은 말했다.
“우리들의 수비범위만 지키면 된다. 쓸데없는 짓을 하지 않는 게 좋다.”
그러나 그 가운데서 한 사람 또 한 사람 용감한 무장들이 반론을 개시했다.
“좁은 자기의 수비범위만 지킨다고 해서 조국을 전부 지킬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곧바로 이쪽부터 먼저 한 덩어리가 되어 공격에 나서야 한다!”
모두로부터 용기 있는 발언이 들끓기 시작했다.
이 장군은 “좋다, 알았다!”고 투지를 불태우며 단호한 출격의 호령(號令)을 발했다.
그리고 사랑하는 조국을 지키기 위해 맹렬하게 싸워 갔던 것이다.

- 池田大作 -


■ 발행인·편집인·발송인:李 基準



한 사람의 인간에 있어서의 위대한 인간혁명은 이윽고 한 나라의 숙명전환마저도 가능케 한다.
- 세계계관시인, UN 평화상 수상, 민주음악협회, 도쿄 후지미술관, 소카대학교 등 설립, SGI(190개 회원국) 회장, 420여 개에 이르는 명예시민증, 23개의 훈장, 세계 69개대학 100회 방문, 30여 회 강연(하버드대학교 등), 세계의 지도자 및 석학과 1600여회의 대화(토인비 박사 등), 세계의 대학 학술 기관으로부터 200여(확정 포함) 개에 이르는 명예박사/명예교수 칭호 池田大作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Pace Letter - 평화와 교육을 생각하는 세계 최초의 인터넷 편지 신문
World Peace, Human Happiness

제93호 2005.6.29.



꿈과 희망과 행복을 전해드리는 '행복의 대사' '평화의 외교관'인 행복박사 李 基準입니다.
서울대 동창회보(2005년 6월 15일)에서 서울대학교 수의학과 석좌교수인 황우석 교수는 "줄기세포는 피부와 각막, 근육, 뼈, 위장관, 호흡기 등으로 분화할 수 있다"면서 "앞으로 면역거부반응의 완전한 해결과 환자와 복제배아줄기세포의 생물학적 특성 규명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이 남아 있다"고 말했다. 함께 연구를 진행한 미국 피츠버그대 의대 제럴드 섀튼 교수는 "백신이나 항생제 발견보다 더 큰 획기적인 사건이 일어났다고 볼 수 있다"며 "산업혁명이 영국에서 일어났지만 당시에는 아무도 그것이 혁명인 줄 몰랐는데 한국의 서울에서 어쩌면 인류 역사의 흐름을 바꿔놓을 생명과학 혁명이 일어났는지도 모른다"고 격찬했다고 합니다.
저도 이번에 새로운 도전을 하고자 합니다. 그것은 세계평화와 인류행복을 향한 세계 최고의 베스트셀러 원고 작업을 하고자 합니다. 다소 어려움이 있겠지만 지금부터 도전해 가겠습니다.

세계평화와 인류행복을 위한 세계 최고의 베스트셀러를 꿈꾸며:'기회의 법칙' 원고 마감 D-184일


手中慧(내 손안의 지식 은장도):牛山之木(우산지목)

인간은 원래 착하게 태어났으나모진 풍파를 겪으면서 마음에 상처를 받아 악하게 됐다는 뜻이다.

유래:맹자가 “牛山은 원래 나무가 울창한 산이었으나 사람들이 나무를 베어가고, 소나 양이 풀마저 몽땅 뜯어먹어 민둥산이 됐다”는 고사를 인용하며 성선설을 주장한데서 나왔다.

활용Tip:惡한 파트너를 만났을 때! 牛山之木
수많은 파트너 중, 꼭 마음에 안 맞는‘악'한 사람 있으시죠?
태어날 때부터 악한 사람은 없답니다. ‘牛山之木'을 생각하고 誠心誠意껏 대하면 조만간 내 편!

- 자료제공:삼성경제연구소 지식경영실장 강 신장 상무(SERICEO 내용 中에서) -


금주의 명언

"순신아, 이것이 도대체 어찌된 일이냐. 흉악무도한 왜적(일본인)의 침략을 받고 세상 사람들이 분노에 잠을 이룰 수 없는데, 나라의 신하인 자가 어째서 싸우지 않고 그 싸움에 목숨을 아낄 수 있단 말인가!
이 늙은 내가 너에게 부탁하고 싶은 것은 해상에서의 싸움에서 목숨을 아끼지 말라고 하는 것이다. 오직 조국과 민족을 위해서 승리의 큰 북이 울려 퍼지기를 바랄 뿐이다. 비록 네가 쓰러진다 해도, 이 어미는 눈물을 흘리면서도 너의 승리를 찬양할 것이다. 이것을 더없는 기쁨으로 여기겠다"

- 이순신 장군의 어머니 -


한국의 '구국(救國)의 영웅':이순신 장군

1598년 11월 19일은 역사에 이름 높은 이순신(李舜臣) 장군이 포학한 일본의 침략과 결단코 싸워 사랑하는 조국을 끝까지 지키다가 순사한 그 날인 것이다.
만년에 ‘권력의 마성(魔性)’에 미쳐 우쭐해진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괘씸하게 ‘문화의 대은인’인 한국을 공격하고 침략하여 학살의 만행을 저질렀다.
일본은 참으로 나쁘다. 우리들은 그 나쁜 근성, 나쁜 권력과 싸우고 있는 것이다.
경산 시의 일대도 무참하게 유린된 것도 엄연한 역사적 사실이다.
그 만행을 목격한 어느 포르투갈 인은 이렇게 써 남기고 있다.
“일본인은 모든 것을 파괴하고 불태워 잿더미로 만들었다.”
그 와중에 분연(憤然)히 일어선 정의의 용자 ― 그 사람이 이순신 장군이다.

의견을 들어라, 겸허하게 들어라

이(李) 장군에 대해서는 몇 번이고 말해 왔지만 이러한 이야기가 있다.
히데요시가 침략해 왔을 때 이 장군은 어느 지방의 수군 사령관에 불과했었다.
그러나 다른 지역이 함락. 또 다른 지역도 함락.
이래서는 안 된다. 참패다 ― 장군은 더 이상 있을 수 없어 긴급 작전회의를 열었다.
조국을 어떻게 지키는가?
우리들의 지역에서 어떻게 싸우는가?
장군은 홀로 승리를 위해 숙고하여 손을 쓰는 한편, “모두 어떻게 생각하는가” 하고 의견을 구했다.
위로부터의 일방적인 명령이나 강요로는 참된 힘이 나오지 않는다. 모두가 자발적으로 일어서고 단결해야 참된 힘이 나온다. 그것을 알고 모든 사람의 힘을 끄집어 내는 것은 진짜 지도자다.

~ 중략 ~

이순신의 호소에 대해 처음에 많은 무장들은 말했다.
“우리들의 수비범위만 지키면 된다. 쓸데없는 짓을 하지 않는 게 좋다.”
그러나 그 가운데서 한 사람 또 한 사람 용감한 무장들이 반론을 개시했다.
“좁은 자기의 수비범위만 지킨다고 해서 조국을 전부 지킬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곧바로 이쪽부터 먼저 한 덩어리가 되어 공격에 나서야 한다!”
모두로부터 용기 있는 발언이 들끓기 시작했다.
이 장군은 “좋다, 알았다!”고 투지를 불태우며 단호한 출격의 호령(號令)을 발했다.
그리고 사랑하는 조국을 지키기 위해 맹렬하게 싸워 갔던 것이다.

- 池田大作 -


■ 발행인·편집인·발송인:李 基準



한 사람의 인간에 있어서의 위대한 인간혁명은 이윽고 한 나라의 숙명전환마저도 가능케 한다.
- 세계계관시인, UN 평화상 수상, 민주음악협회, 도쿄 후지미술관, 소카대학교 등 설립, SGI(190개 회원국) 회장, 420여 개에 이르는 명예시민증, 23개의 훈장, 세계 69개대학 100회 방문, 30여 회 강연(하버드대학교 등), 세계의 지도자 및 석학과 1600여회의 대화(토인비 박사 등), 세계의 대학 학술 기관으로부터 200여(확정 포함) 개에 이르는 명예박사/명예교수 칭호 池田大作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