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마이링커 - 인터넷 바다에 나만의 닻을 내리다.

앞으로는 마이링커를 통해 찾아가는 서비스를 하고자 합니다. 아래를 클릭하시거나, 복사하여 인터넷 주소창에 붙여넣으시면 됩니다. 그리고 반드시 동의를 부탁드립니다.


http://mylinkernet.contents.mylinker.co.kr/mylinkernet/finance/DTSF_mylinker_NET10118_399_install_home.html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Peace Letter - 평화와 교육을 생각하는 세계 최초의 인터넷 편지 신문
World Peace, Human Happiness

제102호 2005.9.11.


6,000여 피스레터 구독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이제 다음 주면 추석이 됩니다. 서로가 정을 나눌 수 있는 한가위가 되었으면 합니다. 참고로 다음 주는 추석연휴 관계로 피스레터를 휴간코자 하오니 양지바랍니다. 인류에게 자연의 재난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참으로 안타까움을 금할 수 없습니다. 이런 때일수록 자연을 소중히 하는 마음을 가져야 하겠습니다. 우리의 마음 속에 자연을 소홀히 하는 마음은 없었는지 돌아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자연과 인간은 하나입니다.

이번에 포항고동창회보를 받아 보았는데 칼럼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어 소개합니다.
일찌기 노자는 '인생을 살아가는데 최상의 방법은 물과 같이 살아가는 것이다(上善若水)'라고 말한 바 있다. 네모진 그릇에 담으면 네모진 모양이 되고 둥근 그릇에 담으면 둥근모양이 된다. 그릇에 따라 모양을 바꾸어 나가며 거역함이 없는 유연함이 그것이고 낮은 곳에 몸을 두는 것은 누구도 싫어 하지만 물은 사람들이 싫어하는 곳 즉 낮은 곳을 향해 흘러간다. 그것은 곧 자기를 낮추는 겸손이다. 더불어 물은 무서운 에너지를 비장하고 있어 급류가 되면 거침없이 거대한 바위까지도 쓸어버리는 물이다. 이처럼 물은 유연함, 겸허, 비장한 에너지 등과 같이 심오한 교훈적 의미를 우리에게 가르쳐 주고 있다. ~ 정말이지 한치 앞을 내다보기가 어려울 만큼 캄캄함 속에서 내일을 걱정하는 목소리가 높아만 가는 요즘이야말로 무엇보다 물의 진리와 교훈이 필요한 것 같다. 

세계평화와 인류행복을 위한 세계 최고의 베스트셀러를 꿈꾸며:기회의 법칙 원고 마감 D-111일


手中慧(내 손안의 지식 은장도):일관성의 원칙

사람들은 어떤 선택을 하게 되면 그때부터 그것과 일치된 행동을 보여야 한다는 부담감을 갖게 된다. 그리고 자신의 선택을 정당화 하는 방향으로 행동한다.

사례:캐나다 심리학자들이 경마장을 찾은 사람들에게 “당신이 우승 배당금을 받을 확률은 얼마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을 했다. 그들의 대답은 베팅할 말을 선택하기 전과 후가 확연히 달랐다. 일단 돈을 걸고 나면 자신이 선택한 말의 우승확률이 그 보다 훨씬 더 높다고 생각하고 있었던 것이다.

활용Tip:상대방이 잘 설득되지 않는다구요? 일관성의 법칙을 적용해 보려고 시도해 보세요. 일단 ‘미끼’를 써서 상대방의 선택을 유도한 후 ‘칼을 한번 뺐으면 무라도 베어야 한다’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센스’. 꼭 필요한 전략일 겁니다.

- SERICEO 내용 中에서(한양대 이 현우 교수의 [설득심리] 中) -


금주의 명언:끝

끝날 때까지는 끝난 게 아니다 (It ain't over till it,s over)

- 요기 베라Yogi Berra -


빌 게이츠와 워렌 버핏 성공을 말하다:핵심 내용

습관이 인생을 좌우한다.
확고한 비전과 목표가 미래를 바꾼다.
좋아하는 일을 택하라. 그러면 성공은 자연히 따라온다.
매일 하는 일을 즐겨라.

리더십이 혁신을 가능하게 한다.
매일 아침 눈뜨는 순간 혁신을 생각하라.

다양한 관심 분야 중에서 정말로 하고 싶은 것을 선택했다.
아이가 스스로 정보를 선별하는 능력을 가지도록 독려한다.

기술은 자기무력화 현상을 내포하고 있다.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되 10년후를 준비해야 한다.

비즈니스의 다국화는 필연적인 과정이며 앞으로 더 늘어날 것이다.
중국은 어마어마한 미래 가치를 지닌 나라다.
오랫동안 변치 않는 비즈니스가 가치 있는 것이다.

기회를 잡으면 놓치지 않는다.
내가 내리는 최선의 결정은 사람들을 선택하는 것이다.
과거는 돌아보지 않는다. 평소에 감사하며 살아가는 것이 중요하다.
최고의 자원은 바로 시간이다. 그 시간을 어떻게 사용하느냐가 가장 중요하다.
사람이 재산이다.


■ 발행인·편집인·발송인:李 基準

 

한 사람의 인간에 있어서의 위대한 인간혁명은 이윽고 한 나라의 숙명전환마저도 가능케 한다.
- 세계계관시인, UN 평화상 수상, 민주음악협회, 도쿄 후지미술관, 소카대학교 등 설립, SGI(190개 회원국) 회장, 420여 개에 이르는 명예시민증, 23개의 훈장, 세계 69개대학 100회 방문, 30여 회 강연(하버드대학교 등), 세계의 지도자 및 석학과 1600여회의 대화(토인비 박사 등), 세계의 대학 학술 기관으로부터 200여(확정 포함) 개에 이르는 명예박사/명예교수 칭호 池田大作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Peace Letter - 평화와 교육을 생각하는 세계 최초의 인터넷 편지 신문
World Peace, Human Happiness

제100호 + 제1호 2005.9.4.


6,000여 피스레터 구독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지난 한 주는 너무 빠르게 지나갔습니다. 그리고 여러가지로 초심의 마음을 찾기 위해 사색한 주간이었습니다. 그래서 이번호는 제100호 + 제1호로 하였습니다. 더불어 이제는 더욱 성숙한 자세로 매사에 임해 가고자 합니다. 앞으로 많은 좋은 일들이 펼쳐질 것입니다. 어려움이 있더라도 그 것은 우리가 극복할 수 있는 난관입니다. 모두가 승리 하였으면 합니다. 더불어 사실 무근의 거짓은 결코 용납할 수 없음을 천명하는 바입니다.

오늘은 '빌게이츠와 워렌버핏 성공을 말하다' 비디오를 보았습니다. 또한 이 책의 추천의 글에서 공병호 경영연구소 소장은 "워렌 버핏과 빌 게이츠는 남들이 꿈꿀 수 없었던 세상을 상상하였다. 그리고 행동을 통해 엄청난 부를 쌓는데 성공하였다. 또한 인류를 새로운 세계로 인도하였다"라고 적고 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앞으로도 피스레터는 세계평화와 인류행복을 위해 더욱 도전해 가겠습니다.

세계평화와 인류행복을 위한 세계 최고의 베스트셀러를 꿈꾸며:기회의 법칙 원고 마감 D-118일


手中慧(내 손안의 지식 은장도):다수의 증거원칙(모난 돌 전성시대)

대부분의 사람들은 실수할 확률을 줄이기 위해 다수의 행동을 그대로 따라 하는 경향을 보인다.

사례:무리 지어 생활하는 버팔로(들소)는 놀랐을때 고개를 아래로 숙인 채 무조건 앞으로 달려 나가는 습성이 있다고 한다. 이를 이용해 인디언들은 앞서가는 몇몇 버팔로를 놀라게 해 절벽 방향으로 유인한다. 그러면 그들은 앞서가는 동료의 뒤꽁무니만 바라보며 내달리다 스스로 절벽에서 떨어져 죽게 된다고 한다.

활용Tip:‘모난 돌이 정 맞는다’는 속담이 있죠. 다수에서 벗어난 행동은 별로 환영 받지 못한다는 뜻인데요. 하지만 요즘은 모난 돌이 뜨는 시대입니다. 다수의 행동만 좇다가는 버팔로처럼 벼랑 끝으로 내몰릴 수 있기 때문이죠. 잭 웰치의 “너 자신이 되라”는 말도 같이 기억해 두면 좋겠죠.

- 자료제공:삼성경제연구소 지식경영실장 강 신장 상무(SERICEO 내용 中에서, 한양대 이 현우 교수의 [설득심리] 中) -


세미나 소개:제1회 세계전략경영포럼 & 제7회 Cyber SERI 전략경영연구소 정기세미나 안내

1.일시:2005년 9월 7일(수) 19:00 ~ 21:00

2.장소:삼성경제연구소 소재한 국제센터빌딩 2층 대강당

3.주최:세계전략경영포럼, Cyber SERI 전략경영연구소
(http://www.seri.org/forum/smlab)

4.후원:Dynamic Management Society, (사)한국기업평가원, (사)한국게임마케팅포럼, Cyber SERI M&A파워포럼(M&A타임즈), Cyber SERI 커리어포럼(커리어뉴스), 크레벤 그룹

5.김 인호 교수 특강(내용:새로운 전략경영의 패러다임 - Dynamic Management)


금주의 명언:성공

여러분이 좋아하는 일을 택하세요. 그러면 성공은 자연히 따라오게 됩니다. 아니, 여러분은 결코 성공을 비켜갈 수 없을 겁니다.

- 워렌 버핏 -


Marketing Science & Creation - 윤 태식(Yoon & Associates 대표)

우리 브랜드를 승리로 이끌 길은 어디에 있는가?
마케팅은 승리의 길을 찾아내는 혜안의 문제

해답은 제품속이 아니라 소비자의 인식 속에 있다.
마케팅은 제품의 싸움이 아니라 인식의 싸움이다.

실패하는 마케터들의 4가지 습관
1.마케팅 책을 성경책 읽듯이 한다.
2.소비자 조사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3.소비자 조사를 잘못 설계하고 잘못 해석한다.
4.소비자의 인식을 표면적으로 분석 · 반영한다.

그렇다면 마케팅 - 어떻게 할 것인가?
목표는 소비자의 마음을 우리가 원하는 대로 움직이는 것

필요한것은 소비자의 마음을 우리가 원하는 대로 움직일 수 있는 통찰력

통찰력을 갖기 위해선 명확한 문제의 규명이 필요하며 = Marketing Science
문제의 규명을 위해선 소비자의 마음과 끝없이 대화할 수 있어야 한다 = Marketing Creation

그러한 대화를 통해서 결국 획득해야 하는 것은 ---------- 說得

※ 대한상공회의소와 윤 태식 대표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발행인·편집인·발송인:李 基準



한 사람의 인간에 있어서의 위대한 인간혁명은 이윽고 한 나라의 숙명전환마저도 가능케 한다.
- 세계계관시인, UN 평화상 수상, 민주음악협회, 도쿄 후지미술관, 소카대학교 등 설립, SGI(190개 회원국) 회장, 420여 개에 이르는 명예시민증, 23개의 훈장, 세계 69개대학 100회 방문, 30여 회 강연(하버드대학교 등), 세계의 지도자 및 석학과 1600여회의 대화(토인비 박사 등), 세계의 대학 학술 기관으로부터 200여(확정 포함) 개에 이르는 명예박사/명예교수 칭호 池田大作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세계전략경영포럼(WSMF) 임원단 및 위원 임기제 시행

 
꿈과 희망과 행복을 전해드리는 '행복의 대사' '평화의 외교관'인 행복박사 李 基準입니다.

세계전략경영포럼(WSMF)에서는 임원단 및 위원의 임기제를 아래와 같이 시행코자 합니다. 더불어 지금까지 공지사항 및 E-mail을 통해 여러차례 임원단 및 위원 선임에 대한 공지를 하였으나 한번 더 명확하게 하는 차원에서 명단도 함께 보내드립니다.

- 아 래 -

포럼:세계전략경영포럼(WSMF)
목적:포럼에 대한 소속감 고취 및 교류 활성화
임기:1년(2005.8.24 ~ 2006.8.23) - 무보수 명예직
비고:임원단 및 위원을 원하지 않을 경우에는 smlab@naver.com으로 2005.8.27일까지 회신을 당부드립니다.


♣♣♣♣♣ 세계전략경영포럼(WSMF) 임원단/고문위원/자문교수(급)위원/홍보위원/자문위원/대표시삽단/본부장단 명단 ♣♣♣♣♣

● 세계전략경영포럼 임원단:25명
의장 李基準 Cyber SERI 전략경영연구소(세계전략경영포럼 WSMF) 대표/기업가치평가사
수석부의장 윤문노 FX코리아 경영고문/前 대우경제연구소장
수석부의장 김현수 국민대학교 경상대학 교수/비즈니스IT전문대학원 원장/(사)한국SI학회 회장
수석부의장 조중명 크리스탈지노믹스(주) 사장/前 LG화학 생명과학연구소장
부의장 권순진 한국정보문화진흥원 지식관리단 팀장
부의장 김석근 sk consulting 대표
부의장 이영선 노무법인 한길 대표공인노무사
부의장 이주은 무하디지털(주) 이사
부의장 임용배 심테크시스템 부사장
부의장 장수용 전략기업컨설팅 원장
부의장 한혜정 Bizturn M&A(주) 전문위원
감사 이장식 삼덕회계법인 상무
감사 서형복 금융감독원 기획조정국 팀장
감사 김균영 (주)파크로드 차장
총무(이사) 황만수 (주)노랑풍선(여행사) 팀장
부총무 가일현 삼성CS아카데미 e-learning 팀장
부총무 윤상흠 이랜드(이천일 아울렛)
운영위원(이사) 최인식 유통경제신문 국장
운영위원(이사) 권승호 컨포먼스 리더스 코칭연구소 소장
운영위원(이사) 이해호 이연제약(주) 이사
운영위원(이사) 문성근 케이티 책임연구원
운영위원(이사) 안희철 (주)신라명과 부장
운영위원 최진영 삼성인력개발원 글로벌팀
운영위원 정병현 디넷뜨(주) 대표이사
운영위원 이라미 삼성CS아카데미 선임연구원

● 고문위원(가나다순):14명
위원 고수복 한국품질재단 한국품질인증센터 본부장
위원 김승환 포항공대 물리학과 교수/아시아 태평양 이론물리센터 사무총장
위원 김현수 국민대학교 경상대학 교수/비즈니스IT전문대학원 원장/(사)한국SI학회 회장
위원 박창우 (주)벤처타이거 대표이사/미국 프로젝트관리 기술사(PMP)
위원 백경호 LG투자신탁운용 대표이사사장/前 국민투자신탁운용 대표이사
위원 백성호 무형자산 연구소 대표/법학 박사/경영지도사
위원 변명식 (사)중소기업 혁신 전략연구원 원장/경영학 박사, (사)한국유통학회 부회장
위원 위남호 서울반도체 고문
위원 윤문노 FX코리아 경영고문/前 대우경제연구소장
위원 이경일 에듀컨전략경영개발원 원장
위원 이준식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교수/前 서울대학교 창업지원센터 소장
위원 임득수 한국원가원 대표/공인회계사/정보처리기술사, (사)디지털기업가치평가협회 회장
위원 조중명 크리스탈지노믹스(주) 사장/前 LG화학 생명과학연구소장
위원 홍진학 AMS 경영 컨설팅 대표컨설턴트/국제 선임 심사원(품질 및 환경 경영시스템)

● 자문교수(급)위원(가나다순):30명
위원 강 성 전주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위원 고봉찬 서울대학교 교수
위원 권이현 공군대학 교수
위원 김계섭 동아대학교 교수
위원 김상훈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위원 김중인 홍익대학교 상경대학 교수
위원 박남규 KAIST 테크노경영대학원 교수
위원 배동웅 농협중앙교육원 조교수
위원 백기락 크레벤 회장,자기계발/성공 및 마케팅/세일즈 강사
위원 서문성 중앙대학교 교수
위원 성근현 계명대학교 겸임교수
위원 손태영 前 숙명여자대학교 겸임교수/문헌정보(주) 대표이사
위원 송재윤 정보통신공무원교육원 교수
위원 신석호 영진전문대학 교수
위원 오세근 SBS 비즈니스개발 대표/칼럼니스트/메일로 읽는 경영필자/강사
위원 우성진 대구과학대학 경영학과 교수
위원 윤영돈 커리어코칭연구소 대표
위원 이명호 한국외국어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위원 이상승 서울대학교 경제대학 교수
위원 이운락 동부산대학 겸임교수
위원 이의현 대림대학 겸임교수/대일특수강(주) 대표이사/경영지도사
위원 이준형 경찰대학 경찰학과 교수
위원 이창우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위원 이후연 Open Tide CEO/대표이사/이학박사
위원 임붕영 안산공과대학 교수
위원 장수용 세종사이버대학교,조선대학교,선문대학교 겸임교수/전략기업컨설팅 원장
위원 장영희 문경대학 건축디자인과 교수
위원 장태옥 영남대학교 교수
위원 한만호 동덕여자대학교 경영경제학부 교수
위원 황용규 샌프란시스코대학 박사원 초빙교수

● 홍보위원(가나다순):53명(세계전략경영포럼 세미나 홍보위원 겸임)
위원 곽상규 한국방송광고공사 과장
위원 김경주 미디어 방송작가
위원 김귀수 광주방송 기술국
위원 김기한 국무조정실 정책관리심의관실
위원 김기정 21세기북스
위원 김덕일 (주)콜롬버스시네마 이사
위원 김도광 디지털 조선일보 과장
위원 김명남 KBS 한국방송
위원 김상민 前 균형발전위원회 기획/홍보팀
위원 김석호 인크루트 경력개발연구소 편집국장/前 매일경제신문사 팀장
위원 김성훈 이에스오미디어(주) 부사장
위원 김영남 광주문화방송 기술국장
위원 김용탁 前 국회의원 보좌관
위원 김재홍 제주그랜드호텔
위원 김재혁 미디어 플러스 차장
위원 김종호 (주)아이북랜드 과장
위원 김희태 선우엔터테인먼트 이사
위원 남영욱 (주)서경방송 기술팀장
위원 남철희 한빛낙동방송 대표이사
위원 노점환 정부혁신세계포럼기획단 홍보/前 국정홍보처 기획예산
위원 민 철 한국일보 차장
위원 박진형 스포츠서울 차장
위원 배용민 한국경제
위원 변상수 호텔신라
위원 서정호 해양수산부 혁신담당관실
위원 성백인 춘천MBC 송출기술부장
위원 오창엽 코리아리서치 팀장
위원 유동완 인천국제공항공사 경영관리팀원
위원 유세일 한국과학문화재단 영상사업실 PD
위원 유창열 헤럴드미디어 기획조정실 과장
위원 이건우 前 스포츠투데이 편집국장
위원 이관표 세경대학 교수/前 르네상스서울호텔 판촉부 차장
위원 이성기 KBS 한국방송
위원 이성우 국무총리산하 기초기술연구회 정책팀
위원 이재형 한국관광공사 BRAVO팀
위원 이완호 한경리서치 본부장
위원 장선희 대통령비서실 국정상황실
위원 장수영 (주)SBS방송아카데미/(주)비전홀딩스 학과장/전략기획 이사
위원 정성민 휴맥스 기획
위원 전제희 MBC애드컴
위원 전종석 넥스비즈 대표이사
위원 정상섭 KBS SKY 차장
위원 정 선 코리아헤럴드
위원 정윤영 hankyung report
위원 정현직 국무조정실
위원 조두형 경기관광공사 기획연구팀
위원 최인식 유통경제신문 사업국 국장
위원 최중철 서울문화재단 manager
위원 최창범 국민일보주식회사 전략기획실
위원 함재국 (주)CBSi 모바일사업팀장
위원 한통정 (재)정동극장 팀장
위원 홍형일 前 국세신문 과장
위원 황영식 MBC 구성작가

● 자문위원(가나다순):144명
위원 가범현 산은캐피탈 실장
위원 강동한 한국은행 차장
위원 김승균 부천시 원미구청 건설과 팀장/정책분석평가사
위원 강승철 현대모비스 구매본부 구매기획팀장
위원 강우현 (주)하나로텔레콤 시스템플러스대표
위원 강원혁 KMAR(한국능률협회 경영인증원) 심사원
위원 강윤구 강윤구세무회계사무소 공인회계사
위원 강철호 삼성생명 라이프테크 부지점장
위원 강상목 한국원가전략연구소 수석컨설턴트
위원 고정학 삼성전자 반도체 차장
위원 권재진 삼성전자(주) 글로벌마케팅실 차장
위원 김경희 삼성경제연구소 RA
위원 김국현 IBM 과장
위원 김기환 한국 IBM - Consulting Group 실장
위원 김길진 세무사 김길진 사무소 세무사
위원 김도형 (주)한국경영법인 상무이사
위원 김동일 삼일회계법인 REITs팀 공인회계사
위원 김두한 한국HP 부장
위원 김명문 현대정보기술 부장
위원 김범석 삼정회계법인 일본사업본부 HR팀장
위원 김복중 세무사 김복중 사무소 세무사
위원 김상현 삼성전자 DA총괄 담당과장
위원 김선경 전남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기획실장
위원 김성진 안진회계법인 이사/공인회계사
위원 김성혁 KOTRA 전시사업팀
위원 김연학 정보통신연구진흥원 혁신전략실
위원 김영수 KT 경영연구소 전임연구원
위원 김영철 삼일회계법인 회계사
위원 김영호 KT 수도권서부본부 팀장
위원 김원준 타임국제특허법률사무소 소장
위원 김점수 미래에셋증권 전산기획팀
위원 김정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위원
위원 김종서 국방부 검열관
위원 김종수 한국전력공사 본사 재무처 과장
위원 김지욱 조달청 정보기획과 전산사무관
위원 김진국 KT 부장
위원 김진석 KIDC 상무
위원 김진수 한국항공우주산업(주) 차장
위원 김한수 한국외국어평가원 기획실장
위원 김항규 삼일회계법인 Manager
위원 김형수 한국신용평가 주식회사 특수평가 사업부문 선임연구원
위원 노종수 공무원연금관리공단 과장
위원 문동규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행정원
위원 문만덕 대구신용보증재단 팀장
위원 박노선 한국항공우주산업(주) 공장장
위원 박동찬 삼성전자 SOC연구소
위원 박병주 안보문제 연구소 선임연구원
위원 박수열 한국전력거래소 설계
위원 박순욱 라이터스 freelancer
위원 박응호 LNC 컨설팅 소장
위원 박재구 한국소비자보호원 기획관리실
위원 박정규 서울지방 중소기업청 벤처기업과 과장
위원 박종태 한국통신 연수원 기획지원팀 과장
위원 박지홍 KMAC 전문위원
위원 박해봉 한국경제연구소 소장
위원 방기원 삼일회계법인 회계사
위원 배만식 동성제약(주) 기획이사
위원 서승철 KT IT본부 정보기획팀 과장
위원 서오영 우리은행 PB사업단 차장
위원 서임춘 GE Thermometrics Technologies Ltd 책임연구원
위원 서형복 금융감독원 기획조정국 팀장
위원 손경현 신한경영컨설팅 전문위원
위원 시춘근 한국표준협회 팀장
위원 신동진 법무법인 세종 지적재산권부
위원 신민경 프라임관세사무소 관세사
위원 신민수 한양대학교 조교수
위원 심 환 선진회계법인 회계사
위원 안광남 한국품질재단 한국품질인증센터 선임심사원
위원 양동우 기술신용보증기금 기업컨설팅센터 차장/경영학 박사
위원 양희천 동부아남반도체 임원
위원 엄만성 한신경영컨설팅사무소 대표
위원 오고탁 성균관대학교 대외협력처 팀장
위원 오영승 부천시청 기획예산과 디지털재정팀장
위원 왕재군 한국능률협회 전문위원(컨설턴트)
위원 우영운 한국능률협회컨설팅 CS경영본부 컨설턴트
위원 원은태 삼성전자 연구원
위원 유동영 한국정보보호진흥원 선임연구원
위원 유미경 Hanyang Hospital Facilitator
위원 유재용 한국산업은행 정보시스템부 과장
위원 유종국 한국경영컨설팅 수석 컨설턴트
위원 유종주 신용보증기금 과장
위원 윤철표 금융결제원 기획조정실 과장
위원 이강충 전주지방노동사무소 동부고용안정센터 취업지원팀장
위원 이교찬 KT 전남전산국장
위원 이기승 한국철도기술공사 부설연구소장
위원 이민석 하나은행 차장
위원 이병호 삼성전기 대전사업장
위원 이봉상 LBS창업컨설팅 대표/경영지도사
위원 이상영 KT 위성통신담당
위원 이상인 한국전산감리원 책임감리인(USCPA)
위원 이성수 한국SMC공압(주) 기획관리팀/공인노무사
위원 이세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연구원
위원 이승현 한국생산성본부 연구원
위원 이 열 대전국세청 조사과장
위원 이영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연구위원
위원 이윤형 한국은행 과장
위원 이윤희 한국철도시설공단 자금총괄부장
위원 이장식 삼덕회계법인 상무
위원 이재완 신한은행 기업컨설팅팀 컨설턴트
위원 이재일 (재)전남테크노파크 팀장/연구원
위원 이종건 KOTRA 차장
위원 이종권 대우조선해양 PI추진1팀 부장
위원 이종근 우리은행 차장
위원 이종운 현대전자(주) 경영혁신팀 IT-기획(ERP추진팀장)
위원 이창민 지식발전소 e-Biz기획팀
위원 임경희 한국뇌과학연구원 사무국장
위원 임관열 녹십자백신(주) 부장
위원 임두상 Nemo partners / Nemo Sigma Group 수석 컨설턴트
위원 임춘호 중소기업중앙회 과장
위원 임충현 영화회계법인 매니저
위원 장순익 수협중앙회 팀장
위원 장승규 한국경영컨설팅협동조합 이사장
위원 장영희 문경대학 건축디자인과 교수
위원 전상민 한국감정원 감정평가사
위원 정규진 새빛회계법인 상무
위원 정성훈 LG-EDS 시스템 eBiz컨설턴트
위원 정안정 나노집적센터 세무사
위원 정의준 딜로이트 컨설팅 Sr. Consultant
위원 정종옥 LG투자증권 상무
위원 조병규 알리안츠생명 지점장
위원 조용국 삼양사 기획실 부장
위원 조차현 현대정보기술 수석
위원 조치훈 신한특허법률사무소 변리사
위원 정재영 LG인화원 과장
위원 정윤식 한국IBM 과장
위원 주혜옥 고려대 안암병원 의료정보팀 팀장
위원 조용탁 (사)기업정보화지원센터 선임연구원
위원 진유기 한국 ECN증권주식회사 팀장
위원 차유신 국방부 정보화기획관실 정책기획팀장
위원 최귀선 ICU 한국정보통신교육원 전문교육사업단
위원 최난경 삼성서울가정의학과의원 의사
위원 최병윤 3c경영컨설팅 대표
위원 최용훈 한국M&IT컨설팅그룹 대표 컨설턴트
위원 최은경 경기도 군포시 기획감사실 혁신분권담당
위원 최정희 한국가스안전공사 부장
위원 최진영 삼성인력개발원 글로벌팀
위원 최진우 중소기업청소상공인지원센터 경영컨설턴트
위원 최훈환 마인드경영컨설팅 대표전문위원
위원 하종영 KT 신사업기획본부 기술전략부장
위원 한용수 한용수세무회계사무소 경영지도사,세무사
위원 홍건석 삼성전자 과장
위원 홍선표 에너지관리공단 경영기획실
위원 황의동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부장
위원 황철호 LG.Philips.Displays. 책임연구원

● 대표시삽단(다이아몬드 VIP):11명
대표시삽 李基準 Cyber SERI 전략경영연구소(세계전략경영포럼 WSMF) 의장/기업가치평가사
대표부시삽(이사) 김경무 우신광학 실장
대표부시삽(이사) 김균영 (주)파크로드 차장
대표부시삽 김용탁 前 국회 보좌관
대표부시삽 박종수 (주)수산중공업 생산팀장/부장
대표부시삽 손태영 문헌정보(주) 대표이사
대표부시삽 장석주 일동제약 대리
대표부시삽 장승규 한국경영컨설팅협동조합 이사장
대표부시삽 오성훈 전산실
대표부시삽 한기선 오알켐 공장장
대표부시삽 황만수 (주)노랑풍선(여행사) 팀장

● 전사모 본부장단:23명
서울대학교 본부장 李基準 Cyber SERI 전략경영연구소(세계전략경영포럼 WSMF) 대표시삽/의장
국민대학교 본부장 김재한 비알코리아(주) 감사실
연세대학교 본부장 남광조 인해엔지니어링(주) 이사
고려대학교 본부장 신호철 한솔CSN
부산대학교 본부장 정원집 삼성전자(주)
강원대학교 본부장 김영록 (주)코스모파워텍
경기대학교 본부장 양은영 경기대대학원 대학원생
경북대학교 본부장 오성훈 전산실
대전대학교 본부장 윤현태 고베대학교 경영학연구과
전북대학교 본부장 최인태 (유)ANT 연구원
전남대학교 본부장 박수영 전남대학교 정치학과
충북대학교 본부장 박재현 중소기업연수원 연수생
한남대학교 본부장 윤석권 한남대학교 경영학과
서울 본부장 李基準 Cyber SERI 전략경영연구소(세계전략경영포럼 WSMF) 대표시삽/의장
부산 본부장 박찬호 부산외국어대학교 경영학과
인천 본부장 김경선 승봉비치텔 대표
대구 본부장 조상민 상아 바이오넷 대구지사 지사장
강원 본부장 유종석 산림조합중앙회목재유통센터동해사업소
경기 본부장 김명호 제일컨설팅
충남 본부장 김찬규 SNP컨설팅 대표
충북 본부장 김태정 현대자동차
경남 본부장 박순덕 나드리화장품 처장
해외 본부장 김호남 나고야시립대학 경영학과


2005.8.24.

세계전략경영포럼 의장/대표시삽/기업가치평가사/행복박사/전략컨설턴트/피스레터 발행인/대한상공회의소 ECIF 특별회원 李 基準 拜上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Peace Letter - 평화와 교육을 생각하는 세계 최초의 인터넷 편지 신문
World Peace, Human Happiness

제100호 2005.8.24.


6,000여 피스레터 구독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꿈과 희망과 행복을 전해드리는 '행복의 대사' '평화의 외교관'인 행복박사 李 基準입니다.
드디어 피스레터가 2003년 9월1일 제1호를 시작한 이후 오늘에 이르러 제100호를 발행하게 되었습니다. 그동안 여러 어려움이 있었지만 꿋꿋하게 매주 쉬지 않고 달려올 수 있었던 것은 피스레터를 사랑해주시고 열독해 주신 여러분들의 힘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피스레터를 보내기 위해 어떤 경우는 밤 2시 또는 3시까지 원고 마감을 위해서 노고의 시간을 보냈고, 어떤 때는 그 주를 넘기지 않기 위해 일요일에서야 원고를 마감하여 발행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오늘도 벌써 밤 2시를 지나고 있습니다.
처음 발행할 때의 초심은 대한민국의 힘들고 어려운 경제상황을 극복하고 모두에게 희망과 평화의 메시지를 전해드리기 위해 '대한민국의 경제를 점진적으로 혁신합시다!'라는 슬로건으로 도전하였습니다. 이 것은 회계와 경영을 전공한 사람으로서 눈앞의 위기를 무관심이 아닌, 어떤 난관이 있더라도 함께 극복해 가겠다는 의지의 표현이었습니다. 앞으로도 피스레터는 모두를 위해 희망과 평화의 메시지를 전해드릴 것을 약속드립니다.

또한 이제는 사회의 공인으로서의 역할도 충실히 해 가고자 합니다. 사회비평으로 유명한 영국의 역사가 토인비 박사는 "매스미디어는 중립적으로 채택해야 합니다. 그러나 선악 · 정사가 명백한 문제를 한 개인이나 한 사회의 판단으로 중립을 지키는 것은 불가능하며 설령 가능하다 해도 그것은 올바르지 않습니다. 자신이 올바르다고 간주하는 것과 그르다고 간주하는 것 사이에서 중립의 입장을 취하는 것은 결국 그르다고 간주하는 편에 가세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마이니치신문사의 기타무라 사장은 "예를 들어 활자로 '빨강 사과'라고 읽으면 머리에 더오르는 영상은 하나뿐입니다. 영상미디어만 접하면 상상력, 주체성을 빼앗겨 자신만의 견해, 사고를 구성할 기회를 잃고 맙니다. 이야기대로 인간이 바뀌고 맙니다. '소극적'이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을지 모르지만 활자문화를 지켜야 합니다."라고 말하였습니다.

지금의 시대는 무력에서 언론의 시대로 상당부분 권력의 흐림이 바뀌었습니다. 저도 고등학교 때까지는 판사 내지 육군사관학교에 들어가는 것이 희망사항이자 꿈이었습니다. 그것은 아마도 군인이 정치하는 시대에서 느껴야 했던 우리 모두의 자화상이 아니었던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그러기에 지금의 시대에 있어서의 언론은 더욱 정의로와야 합니다. 저 또한 정의의 언론으로서 향후 10만의 평화세력 구축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더불어 왜곡된 보도와 기사에 대해서는 철저히 그 잘못을 지적하고 사죄를 받아 내겠습니다. 단호하게 싸우겠습니다. 특히 편파적 보도와 표적 보도는 더욱 근절되어야만 합니다. 이제는 국민 스스로가 무엇이 진실이고 거짓인지를 구별 할 수 있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단순한 시청률 높이기나 판매부수의 증가를 노리고 진실을 외면한 보도를 한다면 그 자체가 언론으로써의 사명을 망각한 행동이라고 봅니다. 희망찬 대한민국, 정의로은 대한민국의 언론을 염원하며.......

세계평화와 인류행복을 위한 세계 최고의 베스트셀러를 꿈꾸며:기회의 법칙 원고 마감 D-128일


手中慧(내 손안의 지식 은장도):대조 원칙(올가미집 만들기)

동일한 사물이라도 이전에 어떤 사건이 발생 했느냐에 따라 그 사물에 대한 인식이 천양지차로 달라질 수 있다.

사례:미국의 부동산 영업사원들은 시설은 최악인데도 가격은 높은 ‘올가미집’을 갖고 있다고 한다. 이들은 고객들에게 다 쓰러져가는 듯한 올가미집을 먼저 보여준 후 팔고자 하는 집으로 안내하는데, 그러면 고객들은 눈이 휘둥그레지면서 그 집을 훨씬 좋게 평가해 살 마음을 갖게 된다고 한다.

활용Tip:기업을 경영하다 보면 협상을 해야 할 일 많으시죠? 그 때, 올가미집의 경우처럼 좋지 않은 상황부터 미리 이야기 한 후 본론으로 들어가 보세요. 훨씬 수월하게 원하는 것을 얻어낼 수 있을 겁니다. 협상 테이블에 앉기 전 대조원칙을 꼭 기억하세요.

- 자료제공:삼성경제연구소 지식경영실장 강 신장 상무(SERICEO 내용 中에서, 한양대 이 현우 교수의 [설득심리] 中) -


전시회 소개:자연과의 대화 - 이케다 다이사쿠 사진전

전시 일자:2005.8.20(토) ~ 8.31(수)
전시 시간:10:00 ~ 18:00
전시 장소: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 대전시실
주최:한국SGI·연합뉴스
후원:문화관광부·환경부·인천광역시·유네스코한국위원회·한국예총·경인일보

※ 자연과의 대화를 국내에서 처음 개최한 것은 3년 전인 예술의 전당에서입니다. 당시 이수성 前총리를 비롯해 조문부 국립제주대학교 前총장, 이수오 국립창원대학교 前총장, 김삼열 대한독립유공자유족회 회장 등이 참석하여 축하하였으며, 이후 부산, 광주, 제주에서 총 25만명이 관람하는 진기록을 남겼습니다. 특히 이번 전시는 전세계적으로는 1988년 프랑스 파리 개최를 시작으로 1백회(1천6백만명 관람)를 맞아 더욱 의미가 크다고 합니다. 자연의 아름다움을 만끽하는 하루 어떠십니까?


금주의 명언:용기

정신성의 제일조건은 용기다. 겁쟁이는 도덕적이지 않다.

- 마하트마 간디 -


글로벌 경제와 CEO의 자세 - 허 범도 산업자원부 차관보

Ⅰ. 글로벌 경제의 도래
1.1995.1 국제무역기구(WTO) 발족
2.FTA 시대의 개막
3.무역구제제도의 활성화 필요

Ⅱ. 글로벌 환경에서 기업이 넘어야 할 3山
1.기술의 山
-. 무한경쟁에서 생존의 요체:기술
-. 기술 혁신의 3요소(정보, 인력, 자금)

2.생산의 山
-. 개발된 기술의 활용과 응용으로 신제품의 생산
-.생산의 6요소
(입지, 공장 건축, 기계 ·장비, 인력, 원자재, 디자인)

3.마케팅의 山
-.기업의 목표는? ==> 이윤 창출
-.마케팅의 3요소
(기존 거래관계의 보수성 타파, 인지도 향상, 신뢰도 제고)

Ⅲ. CEO의 자세
1.정보화
2.인터넷의 생활화
3.지식경영 노하우의 습득
4.수요자 ·고객과의 직접 만남
5.시간관리
6솔선수범

※ 대한상공회의소와 허 범도 산업자원부 차관보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발행인·편집인·발송인:李 基準

 

한 사람의 인간에 있어서의 위대한 인간혁명은 이윽고 한 나라의 숙명전환마저도 가능케 한다.
- 세계계관시인, UN 평화상 수상, 민주음악협회, 도쿄 후지미술관, 소카대학교 등 설립, SGI(190개 회원국) 회장, 420여 개에 이르는 명예시민증, 23개의 훈장, 세계 69개대학 100회 방문, 30여 회 강연(하버드대학교 등), 세계의 지도자 및 석학과 1600여회의 대화(토인비 박사 등), 세계의 대학 학술 기관으로부터 200여(확정 포함) 개에 이르는 명예박사/명예교수 칭호 池田大作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