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난 한의사 손영기의 먹지마 건강법 - 개정증보판 마이너스 건강 1
손영기 지음 / 북라인 / 200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손영기씨의 후속작인 '나는 풀먹는 한의사다'라는 책을 읽고나서 큰 감명을 받은 뒤에 부랴부랴 구해 읽은 책이다. 전체적인 내용도 후속작과 비슷하다고 들었고 저자가 스스로 인정했듯이 너무나도 조잡한 제목때문에 망설이긴 했지만, 결과적으로는 상당히 유익한 독서였다. 책의 내용은 '나는 풀먹는 한의사다'와 겹치는 부분이 많이 있다. 하지만 '나는 풀먹는 한의사다'가 주로 요리법이나 음식선택같은 마이너스 건강법의 실천에 관해서 다루고 있다면, '별난 한의사 손영기의 먹지마 건강법'은 생소한 마이너스 건강법에 대한 소개와 먹지않는다는 것에 관해서 차분하게 설명하고 있다.

'잘먹고 잘사는 법', '차라리 아이를 굶겨라'같은 비슷한 부류의 책들을 하도 많이 읽어봤기 때문에 충격의 강도는 그리 크지 않았지만 전체적으로 중요한 사항들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던, 커다란 도움이 되었던 책이었다. 특히 개인적으로 지금까지는 칼로리를 계산해서 음식을 섭취하는 행동을 세련되고 영악한 다이어트법이라고 생각했는데, 저자가 그것을 자동차의 연비계산에 비유하는 내용이 상당히 충격적이었다. 수많은 건강식품을 구입할 돈의 반의 반으로도 더욱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책이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야기꾼 - 재미있는소설 4
이기원 / 동쪽나라(=한민사) / 1993년 7월
평점 :
품절


한때 유행하던 스타일의, 유명추리작가들의 단편 모음집이다. 이 책을 편역한 이기원씨는 대학시절에 우연히 읽게 된 프레드릭 포사이트의 작품에 재미를 느낀 뒤로 스릴러물의 팬이 되었다고 하는데 그 드라마틱한 감정의 묘사가 참으로 인상적이다. 그 뒤로 유명한 작품들을 섭렵하고 원서까지 모으게 되는 과정 말이다.(하지만 저자가 격찬하는 프레드릭 포사이드는 실제로 한물간 작가로 취급받고 있다. 최근작 중의 한편인 '신의 주먹'도 그리 큰 인기와 호평을 받지 못한 작품이다.)

이 책에 수록된 작품들의 질과 재미도 그리 뛰어나다고 할 수 없는 편이다. 프레드릭 포사이드의 '사랑 때문에'는 막판의 반전이 기가 막히긴 하지만 이미 여러 모음집에서 수도없이 소개되었던 작품이다. '묵비권'은 지루하게 장황하기만 하다. 스티븐 킹의 작품들은 더더욱 실망스럽다. '젊은 날의 사랑'은 스티븐 킹의 팬이라면 누구나 짐작할 수 있을 정도로 뻔한 캐릭터가 등장한다. '초고층의 공포'는 마이클 더글라스주연의 영화로 보았던 게 더 재미있었다. 나머지 두 작품도 범작수준이다.

로렌스 샌더스의 주인공은 왜 그리 불필요한 섹스를 많이 하는지 모르겠다. 본인이야 즐겁겠지만 등장하는 작품들마다 여자(용의자)들과 꼭 질펀한 관계를 갖고야 만다. 이야기의 흐름에 그리 중요한 것도 아닌데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크리스마스 건너뛰기
존 그리샴 지음, 최수민 옮김 / 북앳북스 / 2002년 11월
평점 :
절판


평범한 주제의 상투적인 이야기전개의 <크리스마스 건너뛰기>는 존 그리셤이 썼다는 사실만으로 매우 특이한 소설이 되었다. 그의 작품들은 늘 거대한 정부기관의 음모와 법률세계의 암투가 주된 소재였는데 이번에는 조그만 마을에서 벌어지는 따뜻한 성탄절의 소동이니까 말이다. 하지만 존 그리셤의 다른 작품들과 마찬가지로 매우 재미있게 읽었으며 마지막의 반전까지 빠지지 않았던 멋진 통속소설이다고 생각한다. 다른 작가가 썼더라면 지루하고 상투적이었을 이야기도 존 그리셤 특유의 간결하고 평이한 문체로 쉽게 읽힌다.

<크리스마스 건너뛰기>를 읽다보면 필요 이상으로 밉살맞고 심술궂게 묘사된 등장인물들이 짜증나기도 하고, 서양의 성탄문화에 대한 이해부족때문인지 억지스러운 행동들이라고 생각되어 다소 어이가 없기도 하다. 하지만 능수능란하게 주인공의 고뇌(?)와 주변과의 갈등(?)을 풀어나가다가 마지막에 멋지게 마무리하는 존 그리셤의 글솜씨를 보노라면 감탄이 절로 나올 정도로 재미있다. 마치 잘 짜여진 성탄특집 단막극을 본 느낌이다. 흰눈이 내리는 날 가족들과 TV 앞에 둘러앉아서 즐겁게 볼 수 있는 특집드라마 말이다.

원작의 페이퍼백도 잠깐 훑어보았는데 워낙 쉽고 간결한 영어로 씌어져있어서 영어공부를 하는 독자들이 재미있게 읽을 수 있을 것 같다. 분량도 짤막한 편이라서 부담없이 말이다. 그런데 등장인물 중의 한 명이 마티가 도대체 누구인지, 그의 정체가 무엇인지 정말 궁금하다. 묘한 여운을 남기는 것도 아니고, 작가가 실수했나 싶을 정도로 황당한 등장인물이었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3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박예진 2004-06-07 19: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아~저도 이 책 정말 읽고 싶었거든요!
그런데 시끌벅적한 도서관에서 붙잡고 읽자니 영...
그리고 그나마 좀 이 책을 읽으려고 노력했던 도서관도 곧 문을 닫고...ㅠ_ㅠ

11days 2004-12-09 10: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곧 영화로 개봉한다지요!? 존 그리셤의 소설은 성공적으로 영화화된 경우가 별루 없던데.. ㅎㅎ

즐거운랄랄라 2004-12-19 19: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참 책 표지가 이쁘네요 -_-* 아 또 표지만보고 사면안되는데...

sayonara 2004-12-25 20: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내용도 발랄하니 꽤 재미있답니다. 표지는 종이한꺼풀이고, 원래는 제목만 적혀있는 하드커버라.. ^_^
 
스타일즈 저택의 죽음 애거서 크리스티 미스터리 Agatha Christie Mystery 7
애거서 크리스티 지음, 이가형 옮김 / 해문출판사 / 199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애거서 크리스티의 수많은 걸작들을 재미있게 읽었는데 지금에서야 데뷔작을 접하게 되었다. 이미 포와로의 활약과 실패, 죽음까지 전부 보아왔기 때문에 처음 등장하는 주인공의 설레임과 신선함은 느끼질 못했지만, 스타일즈저택에서도 여전히 빛을 발하는 포와로만의 명추리는 여전히 인상적이었다. 다른 유명작가들의 데뷔작에서와 마찬가지로, 애거서 크리스티의 <스타일즈 저택의 죽음> 또한 수많은 냉대와 찬밥신세를 진 뒤에야 출간하게 된 작품이다.

딱히 흠잡을데 없는 재미있는 작품인데 당시에는 작가의 지명도가 떨어졌기 때문이었나 보다. 여러 면에서 아직은 포와로와 헤이스팅스의 관계가 어설프고, '범인에게 그물을 쳐놓는다'는 식의 케케묵은 비유가 등장하기도 하지만, 나름대로의 사연과 동기를 가진 용의자들의 등장과 결말에 밝혀지는 의외의 범인, 범죄방식의 기상천외함이 '역시 크리스티'라는 감탄을 자아내게 한다. 쓸데없는 로맨스와 액션, 장황한 배경묘사같은 군더더기가 등장하지 않는 <스타일즈 저택의 죽음>은 미스터리물의 팬이라면 마땅히 읽어보아야 할 정통추리소설이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림 읽어주는 여자 명진 읽어주는 시리즈 1
한젬마 지음 / 명진출판사 / 1999년 9월
평점 :
절판


끝까지 읽고나서 마지막 책장을 덮은 지금 도대체 한젬마씨가 어떤 식으로 그림을 읽어주었는지 도무지 감을 잡지 못하겠다. 개인적으로 미술에 대한 소양이 부족하기 때문일까!?(학창시절 받은 그림관련 상장을 책으로 제본하면 애거서 크리스티의 장편소설 한 권 분량은 되지만, 그것과 미술적 감각은 전혀 별개의 문제일 것이다.) 아니면 그림을 읽어준다는 책에 대한 기대가 너무 컸기 때문일까!? 어쨌든 개인적으로는 그리 흥미있는 내용을 발견하지 못한 독서였다.

그림을 읽어준다는 거창한 제목과는 다르게 정작 저자가 하고있는 말은 자신의 에피소드이거나 어떤 것에 대한 단상, 그 그림을 그린 화가에 얽힌 이야기들 뿐이다. 정말 그러한 것들이 그림을 읽어주는 것일까!? '청포도가 익을 때'라는 그림과 작가 자신의 쏘세지에 얽힌 추억담과는 도대체 무슨 관계가 있는 것인지 모르겠다. 이미 '좋은생각'같은 잡지들을 통해서 수도없이 읽어왔던 화가 이중섭의 비극적인 인생을 소개하는데, 그의 '달과 까마귀'라는 작품과 애써 연결시켜서 풀어놓는 줄거리가 애처롭기까지 하다. 쓸쓸함과 그리움이라는 단어를 매개삼아서 말이다.

다른 독자들은 자신의 취향에 따라서 재미있게 읽었을지도 모르겠지만 개인적으로는 '기도'나 '거인의 잠'같은 눈이 번쩍 띄이는 멋진 그림을 볼 수 있었다는 것만으로 위로삼기에 너무나 비싼 책값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