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스트 나잇
마시 태지딘 감독, 기욤 까네 외 출연 / 미디어허브 / 201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두 남녀가 있다. 짧은 연애 후에 결혼한 지 몇 년 된 젊은 부부다.
남자는 아름다운 직장 동료에게 끌리고, 여자는 여전히 매력적인 옛애인에게 끌린다.
그리고 둘은 각각 육체적 불륜과 정신적 불륜에 빠진다.

과연 누가 더 잘못한 것일까?
한 번의 실수를 자책하는 남편이 나쁜 것일까? 다른 남자를 잊지 못하는 아내가 더 나쁜 것일까?

영화는 두 주인공의 감정을 섬세하게 따라가기만 할 뿐 누구의 잘못이 더 큰지는 평가하지 않는다.
마치 금방이라도 툭 끊어질 듯한 외줄을 타는 것 같은 장면들이 이어진다.

보는 내내 두 주인공의 감정에 충분히 몰입할 수 있음에도 영화 자체는 매우 지루한 편이었다.


(보는 내내 졸음이 쏟아질 만큼 섬세한 연기)


(선남선녀들이 등장함에도 어쩔 수 없는 지루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중배상 - [초특가판]
빌리 와일더 감독, Fred MacMurray 출연 / 씨네코리아 / 200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뜨거운 것이 좋아', '사브리나', '7년만의 외출' 등 당대의 트랜디 드라마 같은 상큼한 작품들을 찍었던 빌리 와일더 감독이 연출한 정통 범죄물이다.

지문과 DNA가 판치는 현대 수사물에서는 결코 찾아볼 수 없는 고전적인 멋이 가득하다.
팜므 파탈의 유혹, 흠잡을 데 없는 계획, 완전범죄의 시도, 한 귀퉁이부터 무너지기 시작하는 트릭, 서서히 고조되는 감정, 비극적인 결말 등.
느와르의 대가 레이먼드 챈들러가 각본에 참여한 만큼 울적한 분위기의 스릴을 마음껏 음미할 수 있다.
(유치하다 싶을 만큼 낭만적인 대사들이 난무하는데, 오히려 그 덕분에 작품의 매력에 흠뻑 빠져들 수 있다.)

'이중 배상'은 완벽한 각본에 완벽한 연출, 완벽한 연기까지 더해진 걸작이다. 참으로 흠잡을 데 없는 훌륭한 작품이다.


(고전적인 매력의 주인공들)

손가락으로 튕겨서 불을 붙이는 성냥, 저속으로 달리는 기차 등 지금 보면 신선하다 싶을 만큼 고전적인 소품들이 등장하는 것도 이색적이다.


(마지막 장면에서 주인공이 내뱉는 대사는 손발이 저절로 오그라들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국이 파산하는 날]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미국이 파산하는 날 - 서구의 몰락과 신흥국의 반격
담비사 모요 지음, 김종수 옮김 / 중앙books(중앙북스) / 2011년 6월
평점 :
품절


과거의 천년 제국 로마도 수백 년간 세계를 호령하고 1천년을 버텼는데, 이제 고작 로마 제국의 반의 반 밖에 지나지 않는 미국이 벌써 몰락할까 하는 의문이 든다.
게다가 지난 1980년대 말처럼 ‘일본이 미국을 집어 삼킨다’는 식의 호들갑이 되풀이 되는 현상이 아닌가 싶은 의심의 눈초리도 거두기가 쉽지 않다. 당시에도 정말 일본의 힘은 대단했으며 누가 보더라도 의심할 여지없이 미국의 뒤를 이을 강대국이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거의 망해가는 기업이 화려하게 부활해서 턴어라운드 주식으로 주목을 받는 것처럼 경제의 근본이 되는 미국의 제조업이 다시 부활하지 말라는 법도 없다.
실제로 지금 미국은 한창 제조업을 되살리려는 운동을 펼치고 있으며 이런 노력들이 성공하지 않을 것이라는 장담도 할 수 없다.

뭐, 어쨌든 지금 당장 미국이 쇠락하고 있는 중임은 확실하다.
지금까지 미국이 보여줬던 막무가내식 군국주의, 터무니없는 계속된 저금리 정책, 불균형을 가속화시키는 인력 정책 등은 확실히 어리석음의 연속이었다.

게다가 이 책의 저자 담비사 모요는 어디 변두리의 이름 없는 소설가 학자가 아니라 명망 있는 경제학자이고, 이 책의 논점 또한 이미 많은 사람들이 동의하는 바이기 때문에 쉽게 흘려들을 수는 없는 내용들이다.


(대폭풍이 우리의 뒤에 와 있을수도...)

게다가 우리가 진정으로 주목해야 하는 부분인 미국의 파산 그 자체가 아니라 미국의 파산이 몰고 올 엄청난 대폭풍의 시대 또는 미국의 부활이 불러올 세계적인 변화의 물결들이다.
그렇기 때문에 가능성이 크건 낮건 간에 미국의 파산에 온 정신을 집중해야 하는 것이다.
이것은 세계적인 석학들의 몫만은 아니며 극동의 작은 나라 한국의 평범한 독자들도 주목해야 할 문제다.

그리고 지금은 보다 은유적인 원제목을 과감히 ‘미국이 파산하는 날’로 바꿔버린 출판사의 저렴한 안목이 오히려 돋보이는 시점이다.
미 정부의 부채협상으로 미국을 비롯한 세계 증시가 폭락을 거듭하고 있는 와중에 미국의 파산을 언급하는 책이 나왔으니 출판사의 승부수가 완벽하게 적중한 사례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

문제는 몇몇 사람이 늘어난 연금 수급인구에 대한 비용부담이 크다는 것을 암묵적으로 인정하고는 있지만, 이 숨겨진 비용이 정말 얼마나 엄청난지에 대해서는 현실을 직시하려는 사람이 거의 없다는 것이다. 막대한 연금 부담비용은 조만간 서구 각국의 경제를 덮치게 될 것이다.
-p.138

최근 몇 년간 미국인들은 매년 자신들이 번 것보다 8,000억 달러를 더 썼다. 가계부채는 1974년 6,800억 달러에서 2008년에는 14조 달러(미국 경제 전체의 규모와 같다.)로 늘었다. 미국의 가계부채가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07년에 130퍼센트로 그 이전 10년간의 100퍼센트에 비해 대폭 증가했고, 1952년의 36퍼센트에 비해서는 거의 네 배로 늘었다.
-p.25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경제학의 배신]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경제학의 배신 - 시장은 아무것도 주지 않는다
라즈 파텔 지음, 제현주 옮김, 우석훈 해제 / 북돋움 / 2011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거품이 커지기 시작하고, 사람들이 맹목적인 탐욕과 소비에 빠져들기 시작한다. 심지어는 인간의 생명에 가격을 매기는 학자들까지 등장한다.
이렇게 우리는 끝을 알 수 없는 욕심에 물들고, 이런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정교한 학문, 경제학을 발전시켰다.
인간의 이기심을 합리적으로 설명하려는 그들의 노력은 간혹 애처로울 정도로 처절하기까지 하다.
어쨌든 그 덕분에 우리는 약정이 걸려있는 공짜 휴대폰을 마음 편하게 구입할 수 있으며, 물보다 비싼 다이아몬드의 가격을 당연하게 받아들인다.

하지만 모든 것에는 끝이 있고, 언제까지나 커질 것만 같았던 버블도 한번은 터지기 마련이다. 



(빵 터질 때가 있다.)

결국 우리에게 남은 것은 무엇일까?
인간의 탐욕을 정당화하기 위한 신자유주의의 신화가 붕괴된 뒤에 오는 것은 무엇일까?

이제 때가 된 것이다.
시장의 효율성에 대한 맹목적인 믿음을 버릴 때, 적절한 규제와 통제의 필요성을 자각할 때 말이다.

---------------------------------

인간이 본질적으로 비합리성을 보인다는 사실을 제쳐두고라도 어떤 사회에서든 호모에코노미쿠스는 같은 것을 선호한다는 베커의 가정은 결코 이치에 맞지 않는다. 예를 들어, 북미의 많은 토착 문화에서 사회와 경제가 작동하는 데 중심이 되는 덕목은 ‘관대함’이었다.
-p.62

음식으로 사람들을 유혹해서 수익성이 엄청나게 좋은 음료수를 파는 전략도 거의 변하지 않았다. 거듭 말하지만 ‘공짜’는 결국 기업이 벌이는 도박이고, 이 속에서 무언가를 공짜로 얻으려는 우리의 열망은 기업이 벌어들이는 이윤으로 둔갑하게 되어 있다.
-p.9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레드 라이딩 후드
캐서린 하드윅 감독, 게리 올드만 외 출연 / 워너브라더스 / 2011년 7월
평점 :
품절


좀 느슨하고 밍밍하고, 어정쩡한 작품이긴 하지만 그럭저럭 볼만했던 것 같다.

외딴 마을이 늑대의 습격을 받고 주인공의 언니를 비롯한 몇몇 사람들이 희생된다.
늑대 퇴치 전문가인 솔로몬 신부는 마을 사람들 중에 늑대가 숨어있다며 공포 위에 불신을 더한다.

아만다 사이프리드는 새침하고 아름다운 발레리 역에 잘 어울린다.
하지만 그럴듯하게 나와서 허무하게 가버리는 게리 올드먼은 굳이 이런 작품에 이런 역할로 나올 필요가 있었나 싶을 정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지막까지 짐작할 수 없는 늑대인간의 정체라든지, 두려움이 가득한 채 주변 사람들을 의심의 눈초리로 쳐다보는 발레리의 커다란 눈망울이 인상적인 작품이었다.

 

(그녀의 커다란 눈망울)

그렇지만 역시 빨간 망토를 모티브로 한 작품 중에서는 역시 울랄라 마법학교의 사고뭉치 '빨간망토 차차'가 최고인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