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집에 냥이가 들어왔어요 서울대학교동물병원 Health+ 시리즈 3
신남식.신윤주 지음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집에 냥이가 들어왔어요’는 고양이를 반려동물로 입양하고 죽은 후 장례하는 것까지 꼭 알아야 할 것들을 담은 안내서다.

반려동물에 대한 책이라고 하면 보통 그들의 사랑스러움과 가족으로 살면서 느낀 경험들을 담은 것들이 많다. 깨물어주고 싶을만큼 예쁜 사진과 함께 말이다. 그래서 보면서 부러움도 느끼고, 또 힐링도 얻는다.

그러나 이 책은 꼭 그렇지만은 않다. 왜냐하면 기타 에세이에 비해 보다 현실적이기 때문이다. 정말로 정보가 필요한 사람들을 위한 일종의 매뉴얼, 즉 실용서란 얘기다.

분량 자체는 그리 많지 않다. 그래서 훈련을 시키려고 한다던가 하는 등의 자세한 정보가 필요할 경우에는 별도의 책을 봐야한다. 대신 고양이를 반려동물로 입양하는 과정과 방법부터, 예방접종과 사료에 대한 얘기, 그리고 사별 후 장례까지 꼭 필요한 얘기를 전체적으로 집어준다. 그래서 고양이 입양을 고려하고 있는 사람들이 봐두면 전체 그림을 그리는데 꽤 도움이 된다.

과연 고양이와 제대로 생활해 나갈 수 있을까 하는것은, 나도 개인적으로 가장 궁금해 하던 것이었다. 보기엔 그저 귀엽고 사랑스럽지만, 한 생명인 이상 그 외에도 다양한 일들이 벌어질 수밖에 없다. 그런데 과연 그것을 제대로 감당할 수 있을까. 심지어 고양이와의 생활이 어떤 것인지 제대로 모른다면 더 불확실할 수 밖에 없다. 그걸 이 책에선 어느정도 짚어줌으로써, 정말로 자기 생활속에 고양이가 함께 할 수 있는지, 그럴 여건은 되는지를 미리 생각해 볼 수 있게 해준다.

내용도 어렵지 않아서 기본적인 정보를 얻는데 좋다. 의학 정보도 서울대학교동물병원 교수진이 검증된 정보만 골라서 실었다고 하니 유용한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다.




* 이 리뷰는 리뷰어스 클럽을 통해 출판사로부터 책을 받고 작성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또 누굴까? 꼬마숲 그림책 2
김주경 지음 / 도토리숲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또 누굴까?’는 ‘누구게?’를 잇는, 누군지 알아보는 스무고개같은 그림책이다.

이 사람은 마치 일벌처럼 아침 일찍 나가서 깜깜해질 때까지 일을 한다. 가까이 가면 고슴도치처럼 따갑고, 말썽을 부렸을 때는 사자처럼 무섭게 소리를 지르지만, 언제나 얼룩말처럼 태우고 놀아주며, 마치 슈퍼 고릴라처럼 항상 가족을 지켜준다.


‘누구게?’와 쌍을 이루는 이 책은, ‘누구게?’를 봤다면 손쉽게 떠올릴 수 있는 사람을 소개한다. 그렇지 않더라도 쉽게 떠올릴 수 있도록 만들기도 했지만 말이다. 다만 몇몇은 ‘꼭 그렇진 않지 않나?’하는 것도 있었는데, 그만큼 특징이라고 꼽을게 없어서 그런것 같기도 해 묘한 기분도 든다.


눈 구멍은 이번엔 하나만 뚫었는데, 덕분에 좌우 페이지 모두 구멍과 그림이 어긋나는 일은 없게 됐다. 두번째 책이라 보다 신경쓴 듯하다. 다만, 구멍이 하나로 줄어드니 조금은 비교적 심심해진 느낌도 들어 아쉽기도 하다. 그래도 ‘누구게?’를 재미있게 봤다면 이 책 역시 재미있게 볼 수 있을 것이다. 예쁘고 멋진 그림도 여전하다.

두 책에서 말하는 사람도 의미가 있으므로 ‘누구게?’와 함께 보면 더 좋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누구게? 꼬마숲 그림책 1
김주경 지음 / 도토리숲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구게?’는 어떤 사람인지를 동물로 비유해 풀어낸 마치 스무고개같은 그림책이다.

이 사람은 마치 문어처럼 한꺼번에 여러 일들도 뚝딱 해낸다. 또 부엉이처럼 모르는게 없고, 앵무새처럼 할일을 끊이없이 얘기하는가 하면, 힘들고 지쳤을 때는 코끼리처럼 번쩍 들어주기도 한다. 그리고 하루가 끝나면 곰처럼 포근하게 안아주는 사람.


이 사람은 누구인지는 보다보면 누구나 손쉽게 떠올릴 수 있다. 마치 스무고개같은 비유 하나하나가 점점 그 사람 하나만을 떠오르게 해주기 때문이다.


한 사람이 가진 여러 면모를 단지 설명만 하는게 아니라 그걸 적절한 동물들로 비유해서 보여주는게 꽤 볼만하고, 실제 동물과는 딱 들어맞지 않는다고 해도 어떤 느낌인지 쉽게 연상되도록 그려서 그리 어색하지도 않다.

따뜻하고 밝은 색감과 예쁜 그림만으로도 좋지만, 동물의 눈 부분에 구멍을 뚫어 재미를 느낄 수 있게 한 것도 좋다. 다만, 오른쪽 페이지의 눈 부분은 잘 들어맞는데 비해 왼쪽 페이지의 구멍은 그 아래 그림으로 제대로 매꿔지지 않는것은 조금 아쉽다. 조금만 조정했으면 됐을 것 같아 더 그렇다.

그래도 그림도 좋고, 의미도 있어, 보면 미소짓게 만든다. 답을 알려주지 말고 아이 스스로 누군지 맞춰보게 하는것도 재미있겠고, 답을 안 후에는 또 다른 특징은 무엇이 있고 그건 어떤 동물과 비슷한지 생각해 보는것도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민감한 나로 사는 법 - 내 안의 숨은 긍정 기질을 깨우는 43가지 인생 기술
다케다 소운 지음, 김지윤 옮김 / 글담출판 / 2018년 3월
평점 :
절판


‘다케다 소운(武田 双雲)’의 ‘민감한 나로 사는 법(敏感すぎて傷つきやすいあなたへ)’은 민감하고 예민해서 다른 사람을 지나치게 신경쓰고 쉽게 상처받는 사람들을 위한 자기계발서다.

‘긍정적이고 작은 일에 연연하지 않는 사람같다’는 평을 듣는다는 저자도 어렸을 때는 민감하고 예민해서 어려움이 많았다고 한다. 그랬던 그가 지금처럼 바뀐것은 그 민감함을 부정적인 것보다 긍정적인 쪽으로 살려서라고 한다. 그러면서 부정적인 면은 ‘괜찮아’라면서 달래는거다. 이 책에는 그런 저자가 제안하는 방법 43가지가 담겨있다.

이 방법이라는 것들은 제목만 보면 그저 그래 보인다. 특별한 얘기를 하는게 아니기 때문이다. 상당수는 많이 들어본 것이기도 하고. 이게 ‘민감한 것’과는 또 무슨 관계가 있나 싶기도 하다. 그래서 처음엔 크게 기대하지 않았다. 그런데, 막상 하는 얘기를 보니 예를 드는 것도 적절하고 왜 이런 얘기를 꺼냈으며 민감한 사람들은 어떻다는 건지도 잘 들어온다.

저자가 남을 가르치는 직업(서예교실을 한다)을 해서인지, 얘기도 쉽고 편하게 잘한다. 그래서 자기계발서 치고는 꽤 가볍게 읽을 수 있다. 여기에는 삽화도 한 몫 한다. 드문 드문 들어있는 삽화는 저자가 얘기하는 주제를 담고 있으면서도 코믹하게 그려져 있어서 잔잔하게 읽다가 보면 순간 웃음이 터지기도 했다. 자기계발서는 딱딱하거나 훈계하는 것들도 많아서 거부감이 들기도 하는게 편하게 읽을 수 있는게 좋았다.

저자가 얘기하는 내용들은 일반적이라 민감한 사람들 뿐 아니라 그렇지 않은 사람들도 알아두면 좋다. 계속 신경 쓰이거나 부정적인 감정이 들 수 있는 상황을 보다 빡빡하지 않게 넘길 수 있게 해주기 때문이다. 무겁지도 않으니 한번쯤 읽어보면 좋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답게 살다 나답게 죽고 싶다 - 품위 있는 죽음을 위한 종활 일기
하시다 스가코 지음, 김정환 옮김 / 21세기북스 / 2018년 3월
평점 :
품절


‘하시다 스가코(橋田 壽賀子)’의 ‘나답게 살다 나답게 죽고 싶다(安楽死で死なせて下さい)’는 고령화시대에 결코 눈을 돌려서는 안될 문제인 안락사에 관한 개인적인 의견과 이야기들을 담은 책이다.

책은 먼저 저자이자 일본 TV 드라마에서 여러 작품들을 썼던 하시다 스가코가 자신의 어렸을 때 이야기를 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한국 사람에게도 뼈 아픈 일제강점기와 제2차 세계대전 때의 일이다.

당시는 일본인들이 제국주의에 물들어 있던 때이기도 했고, 전쟁으로 정신이 없기도 했기 때문에 살아 있다는게 그렇게 좋은 일이라고만은 할 수 없었다. 오죽하면 ‘차라리 잘 돌아가셨다’는 생각까지 했으랴. 하지만, 이런 죽음과 가까운 삶을 살았었기 때문에 작가는 더욱 죽음이나 어떻게 죽을 것인가를 생각하는게 자연스러웠던 것 같다. 물론, 그녀가 벌써 아흔이 넘겨 언제 죽어도 이상하지 않을 나이가 됐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래서 원하는게 ‘안락사’다. 견디기 힘든 고통을 계속해서 받거나, 자신이라고 할 수 없을만한 인지상실(그러니까 치매)로 그저 연명만을 하는 삶은 살고 싶지 않아서다.

의학이 발달하면서 사람들은 잘 죽지 않게 됐다. 점적 주사, 위루술, 그리고 장기마저 기계로 대체할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만약 거기에 인간이라 할만한 정신과 삶, 그리고 행복이 없다면 과연 그걸 ‘인간의 삶’이라고 할 수 있을까. 게다가 그가 이미 언제 죽어도 이상하지 않을 고령이거나 불치의 병으로 남은 삶이 얼마 남아있지 않다면? 그런데도 고통만을 안겨준다면? 그런 육체의 짧은 연명에 대체 어떤 의미가 있을까.

차라리 본인의 뜻에 따라 안락사를 허용해주는게 낫지 않을까. 이미 몇몇 나라에서 시행하고 있다는 조력자살도 좋다. 악용될 것을 우려하는 사람도 있지만, 그래서 더욱 빨리 또 깊게 생각해봐야 한다.

작가는 책을 통해 왜 안락사를 원하는지, 또 어떻게 하면 좋을 것 같은지를 다양하게 얘기하는데 모두 상당히 공감이 갔다. 나 역시 비슷한 생각을 해본적이 있어서 더 그렇다.

이제는 정말로 진지하게, 안락사 문제를 생각해봐야 할 때다.



* 이 리뷰는 리뷰어스 클럽을 통해 출판사로부터 책을 받고 작성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