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차 달인 교과서 : 자동차 구조 편 - 자동차 구조 원리 알아보기 내 차 달인 교과서
탈것 R&D 발전소 지음, (사)한국자동차기술인협회 감수 / 골든벨 / 201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 차 달인 교과서 - 자동차 구조 편’은 자동차의 구조와 동작 원리를 담은 책이다.

내 차 달인 교과서 시리즈 중 하나인 이 책은, 기본적인 자동차의 형태와 구조, 그리고 동작 원리를 담고 있다. 첫 인상은 마치 중고등학교 시절의 기술 과목 교과서를 보는 듯하다는 거다. ‘교과서’라는 제목이 새삼 적절하다 싶다.

이 책은 풍부한 삽화를 통해 눈으로 보면서 이해할 수 있게 정리한 게 장점으로, 일부 복잡한 구조를 제외하고는 무리없이 따라갈 수 있는 정도다. 그림도 사실적이고 세밀해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설명은 대체로 잘 한편이다. 흡입-압축-폭발-배기로 대변되는 엔진의 구동 원리도 잘 담았다. 다만 용어 설명은 조금 아쉽다. 당연히 알거라고 생각했는지 과감히 생략하거나 또는 뒤에 나오는 것을 앞에서 별 다른 설명없이 사용하기도 했는데, 이게 책을 매끄럽게 보는데 방해가 되기도 한다. 물론, 용어 정도야 인터넷에서 손쉽게 찾을 수 있기야 하지만, 기본적인 내용을 다루는 책이니만큼 별도의 참고자료 없이 볼 수 있도록 구성했다면 더 좋았겠다 싶어 조금 아쉽기도 했다.

자동차의 전형적인 기계구조 외에도 책 뒤쪽에서는 전기 자동차와 연료전지 자동차의 구조나 네비게이션, 크루즈 등의 자동차 시스템을 설명하기도 하고, 나아가 미래 자동차에 대한 이야기를 하기도 한다. 이 부분은 앞에서와 달리 자세한 구조 등을 설명하지는 않는데, 자동차에 관심이 있다면 한번쯤 읽어보면 좋을 것들이라 나름 의미는 있었다.

자동차는 현대인들에게 필수라 할만큼 흔한 물건이다. 하지만, 어떻게 움지이는지까지는 모르는 사람이 대다수다. 굳이 모르더라도 자동차를 이용하는데는 별 문제가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문제가 생겼을 때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는 것도 사실이다.

자동차의 구동 원리는 얼핏 공학자들만의 영역인 것만 같다. 하지만, 자동차의 구성과 구조, 그리고 동작 원리를 아는 것은 고장시 원인을 유추할 수 있게 해주며, 자연히 자동차를 정비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자동차를 이용하는 사람들도 알아두면 좋은 유익한 정보라는 말이다.

자동차 자체에 대해서만 다루는 이 책은 그 자체로는 크게 와닿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동 시리즈로 정비나 운전에 관한 책도 있으므로 그러한 책의 보조 역할로 함께 보면 나름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정희의 기담 - 이상야릇하고 재미있는 옛이야기
오정희 지음, 이보름 그림 / 책읽는섬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정희의 기담’은 옛이야기를 표방한 8편의 이야기를 담은 단편 소설집이다.

옛날 이야기는 참 신기하다. 막상 보면 뭐 별 대단한 건 없지만, 언제 어느때 들어도 항상 흥미롭고 재미있기 때문이다. 묘하게 동화같은 측면이 있어서일까. 또는 어쩌면 어렸을 때 들으며 좋았던 기억이 남아서일지도 모른다.

옛날 이야기는 주로 구전되어와서 그런지 함축적인 경우가 많다. 완전하리만큼 세밀히 잘 짜여진 구성을 보이기보다는 주로 큰 얼개를 풀어내는데 중점을 두는 경우가 많다는 얘기다. 거기에 더불어 이야기 전개에 조금은 비현실적인 판타지 요소가 가미되어 있고, 대체로 감성적인 울림과 교휸적인 여운을 남긴다는 공통점도 있다. 이런 점은 동화와도 유사한 측면이 많다.

오정희의 기담도 모두 그런 이야기들로 구성되어있다. 현대인이 봐도 재미있게 쓰였으면서도 전형적인 옛이야기의 맛과 멋이 제대로 살아있어서, 보다보면 이게 작가가 직접 만들어낸 이야기인지 아니면 여러 곳에서 수집해 모은 이야기를 갈무리 한 것이지 헛갈리기도 한다.

살펴보면 실제로 강원도 설화를 바탕으로 재구성 한 것이라고 하니, 이런 감상이 결코 과장된 것은 아닐 듯하다.

반대로, 그렇다보니 옛날 이야기의 단점도 거의 그대로 답습하고 있다. 온전히 설명되지 않는게 있다거나, 여차할 땐 판타지적인 장치로 대충 얼버무린다던가 하는 것 등이 그렇다. 그렇다고 그게 이야기에 대한 흥미나 재미를 크게 떨어뜨린다던가 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 것들도 어디까지나 장르적인 특징처럼 느껴질 뿐, 이야기가 주는 매력은 여전하다.

수묵화로 그린 삽화들도 좋았다. 이야기와도 어울리고, 옛이야기라는 것과도 사뭇 잘 어울렸기 때문이다. 다만, 양이 많지 않은 것은 조금 아쉬웠다.

생각해보면 나는 늘 이런 이야기를 즐겼다. 예를 들면, ‘신화’같은 것 들 말이다. 하지만, 워낙에 드물다보니 볼 기회 자체가 적었는데, 그래서 더욱 미소지으며 볼 수 있지 않았나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最高の離婚1 (河出文庫 さ 31-1) (文庫)
坂元 裕二 / 河出書房新社 / 201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정식 한국어판 발매 전에라 부득이 원서를 리뷰 상품으로 등록했다.



‘최고의 이혼(最高の離婚)’은 ‘사카모토 유지(坂元 裕二)’ 각본의 일본드라마를 ‘모모세 시노부(百瀬 しのぶ)’가 소설로 다시 써낸 책이다.

2013-01-10 ~ 2013-03-21 동안 후지TV에서 11회로 방영됐던 원작 드라마는 사랑과 결혼, 그리고 이혼을 주제로 꽤 인기리에 끝마친 작품이다. 그래서 그 1년 후를 그린 스페셜 드라마 ‘최고의 이혼 Special 2014’를 2014-02-08에 방영하기도 했으며, 한국 KBS2에서 월화드라마로 리메이크하여 2018-10-08 부터 방송을 준비중이기도 하다.

이 소설은 그런 원작을 소설로 다시 써낸 것이다. 그렇다보니 군데군데 소설로는 썩 마뜩잖은, 영상물에나 어울릴법한 연출들도 좀 눈에 띈다. 예를 들면, 등장인물들이 속내를 비추는 방법으로 가게에서 주절주절 떠드는 것 같은 것 말이다. 몇몇은 그게 다른 인연으로 이어지기도 하기 때문에 이야기로서도 의미가있지만, 대다수는 그저 그들의 속내를 관객에게 보여주기 위한 것이라서 어색한 느낌을 주기도 하다.

시청률에 민감한 드라마를 원작으로 해서인지 조금은 복잡하게 얽힌 막장스러운 면도 보인다. 몇몇은 문화적 감성이 달라서인지 도저히 공감할 수 없는 것도 있다. 주인공 중 하나인 미쓰오의 행동이 그렇다. 그래서 납득하거나 이해할 수 없기도 했다.

그래도, 비록 어긋나는 감성이 있다고는 하나, 일본과 한국은 문화가 비슷한만큼 공감할 수 있는 점도 많았다. 막장스러운 면도 단순히 말초적인 자극을 위한 장치로만 사용된 것이 아니라 각 인물의 성격이나 상황등을 설명하고 서로를 돌아보게 하는 역할도 하므로 썩 나쁘지만은 않으며, 그로부터 결혼과 가족에 대한 진지한 얘기를 생각해보게도 하기에 긍정적이기도 했다.

무엇보다 이 작품은 가족드라마이자 로맨틱 코미디이기도 해서 가볍게 웃으며 볼 수 있다. 소설화(Novelize)도 꽤 잘 된 편이고, 번역도 나쁘지 않다. 굳이 장단을 따지자면 장점이 더 크다는 얘기다.

소설은 원서처럼 두권(1, 2 또는 상, 하)으로 나뉘어 나올 듯한데, 분권의 위치도 참 절묘하다. 뭔가 결정적인 순간에 잘라버려서 2권이 어떻게 될지 사뭇 궁금하게 만든다. 하지만, 분량이 많지 않기 때문에 단권으로 통합해 나와도 좋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7일 만에 완성하는 나 혼자 콩테 (스프링)
최종식 지음 / 깊은나무 / 2018년 9월
평점 :
절판


‘7일 만에 완성하는 나 혼자 콩테’는 초보를 위한 초상화 그리기의 기본을 담은 책이다.

‘콩테(Conté)’는 흑연 또는 목탄을 가루로 갈아서 밀랍 또는 점토와 섞어 압축해 만든 그림도구로, 발명자인 ‘니콜라자크 콩테(Nicolas-Jacques Conté)’의 이름을 딴 것이다. 나폴레옹 전쟁 때 흑연이 모자라 점토를 섞어 사용한 것에서 유래한만큼 제작 단가가 싼게 장점이며, 스케치에 많이 사용한다.

흑연 또는 목탄을 써서 만들었다는 것에서 알겠지만 콩테도 기본적으로는 연필처럼 어두운 것이 많은데, 이 책에서는 특별히 흰색 콩테를 이용해 검은 종이에 그리는 것을 다루고 있다. 이는 ‘빛을 그린다’는 서양화의 기본을 이해하고, 그것을 실제로 실습해보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미술을 제대로 배워본 적 없는 나로서는 ‘빛을 그린다’는 개념이 꽤나 신기했으며, 그걸 그대로 실습으로 옮겨와 검은 종이에 흰색 콩테로 그림을 그리는 것도 재미있어 보였다.

컴퓨터 사진편집 프로그램을 이용해 명암을 단계별로 분석하고 그에 따라 그림을 그려나가는 과정을 보이는 것도 좋았다. 7일 과정으로 만들어서 강습 내용은 길지 않지만 기본적인 내용도 꽤 잘 담은 듯하다.

부족한 내용은 작품 제작과정의 예시 5개를 실어 추가로 담았는데, 점차 완성되어가는 그림을 보면서 어디를 어떻게 만져가는지, 그것이 어떤 변화를 만들어내는지 보여주는 것도 좋았다.

아쉬운 것은 일부 사진의 질이 크게 떨어진다는 거다. 그 중에는 충분히 다시 그릴 수 있었던 것도 있는데, 그런 것마저 그냥 저질로 실은 건 어째서인지 잘 이해가 안간다. 작품 사진의 경우 일부러 문질러 부드럽게 표현한 건지, 초점에 제대로 안맞아 뿌옇게 찍힌건지 알 수 없기도 했다.

초보자가 실천하는 7일 과정을 제대로 담지 않은 것도 아쉽다. 초반의 일부만을 담고 바로 완성된 모습으로 넘어갔는데, 그 간극이 너무나 컸기 때문에 정말로 경험없던 초보자가 그렇게 그려낸 것이라는 설명이 전혀 와닿지 않았다. 그 뒤의 ‘작품 제작과정’은 조금씩 완성되어 가는 모습을 잘 담았는데, 완성 과정을 그렇게 담아내지 않은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 이런 점이 ‘초보자도 할 수 있다’는 것에 의문을 갖게했다. 아쉬운 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밥상 위에 차려진 역사 한 숟갈 - 역사 속 한 끼 식사로 만나는 음식문화사의 모든 것
박현진 지음, 오현숙 그림 / 책들의정원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밥상 위에 차려진 역사 한 숟갈’은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음식들에 담겨있는 지역적, 역사적, 영양학적인 이야기들 풀어낸 책이다.

보면 정말 다양한 종류의 음식들을 되게 많이도 담아냈다. 그래서 음식 각각에 대한 얘기는 길지 않고, 몇몇은 스쳐지나간다 싶을만큼 짧은 것도 있다. 그래서 ‘벌써 끝인가’하고 아쉽기도 하지만, 그 덕에 계속해서 가볍게 읽어 나갈 수 있기도 했다.

책에서 다루는 음식들은 모두 우리가 흔하게 접하거나 접할 수 있는 것들인데, 그래서 그만큼 더 거기에 얽힌 이야기들이 흥미롭고 맛과 감성에 대한 표현들도 잘 와닿았다. 그러다보니 읽다보면 저절로 머릿속에 회로가 돌고 군침이 돌며 먹고싶게 만든다. 음식 생각이 절로 들게 만드는 점에서는 가히 푸드 포르노라고 해도 손색이 없을 정도다.

그러면서도 각 음식에 얽힌 이야기들도 꽤 잘 풀어냈다. 음식 그 자체의 소재나 요리, 영양적인 이야기는 물론, 지역에 따른 특색과 역사적인 유례나 전례 등도 다룬다. 그래서 다방면으로 흥미롭게 볼 수 있다.

부가 설명이나 원어를 본문에 함께 표시한 것도 꽤 괜찮았다. 개인적으로 부가 설명은 본문을 흘러가듯 읽어가는 데 막힘을 만든다고 생각해 본문에 함께 표기하는 것을 그리 좋아하지 않는데, 소설처럼 호흡을 이어가는게 중요한 부류의 글이 아니라 그런지 딱히 그런 느낌도 아니었고, 오히려 생소한 용어 등도 있는 분야라 오히려 막힘없이 읽을 수 있게 해주기도 해 좋았다.

아쉬운 점은 그림 작가가 따로 있는데도 불구하고 막상 삽화가 별로 없다는 거다. 어떤 삽화는 한쪽에 표시해야 될 것은 둘로 쪼개 두쪽에 나눠 싣기도 했다. 삽화가 너무 단순화한 형태라 지식적인 측면은 거의 담지 못했다는 것도 아쉬운 점이다.

일부 저자의 자신의 생각을 너무 반복해서 강조하는 것도 좀 그랬다. 그만큼 강한 마음을 담은 것이기도 하겠다만, 한번만 해도 충분했을 것이라 과해 보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