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과 서정시
리훙웨이 지음, 한수희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18년 12월
평점 :
절판


‘리훙웨이(李宏偉)’의 ‘왕과 서정시(国王与抒情诗)’는 문자를 소재로 한 SF 소설이다.

처음 이 소설을 펼쳤을 때는 기대와 함께 우려도 있었다. ‘문자’를 소재로 했기에, 과연 얼마나 공감할 수 있을까 걱정이 됐기 때문이다. 이는 이미 영어나 라틴어를 소재로 한 여러 인문학이나 소설 등에서 그 공감할 수 없는 언어적 또 문화적 간극에 아쉬움을 많이 느꼈기 때문이다. 그래서 중국어 문자인 한자를 소재로 했다면, 이 소설 역시 끝에 가서는 도저히 함께하지 못할 어떤 간극이 있지 않을까 걱정이 됐던거다.

그러나 다행히도 그런 요소는 그렇게 크지 않았다. 물론 중국인이 나오고, 중국을 배경으로 하며, 중국 문자와 중국 문화가 여럿 나오기는 한다. 그러나 그것들을 깊게 파헤치고, 그 사소한 것 하나로 이어지는 큰 차이를 이야기의 주요 내용으로 사용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걱정했던 것 보다는 답답해 하거나 소외감을 느끼지는 않았다.

이야기는 꽤 묘한 느낌을 주는데, 그건 소설의 배경이 그리 멀지 않은 미래라는 것과 관련이 있을 것 같다. 겨우 몇십년 후의 미래를 그린 것이어서 그런지 인물들의 이야기는 지금과 크게 다를 것 없어 보이는 한편 소설 속에 등장하는 기술이나 그로인해 바뀐 사회상은 꽤나 먼 미래를 상상케 하기도 하기 때문이다. 이는 소설의 주요 소재로 문학이나 전통 문화가 등장하기 때문에 더 그렇다. 그래서 미래를 그린 SF이면서도 묘하게 과거나 현재가 함께 혼잡하게 섞여있는 느낌을 준다.

자살한 작가의 사유를 찾는다는 것에서 조금은 미스터리적인 성격도 띄는데 이것도 소설을 계속해서 흥미롭게 보게 만들었다. 가설을 세우고, 그 가설이 맞는지 조사하고,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고 하는 것들이 묘하게 탐정소설을 연상케도 했기 때문이다.

소설에서 다루는 내용이 꽤나 철학적인 면도 있어서 그것을 두고 곰곰히 따져보는 것도 꽤 재미있었다.

책의 챕터 구성이나 문장은 꽤 재미있는 시도처럼 보였는데, 이 점에서는 처음 걱정했던 언어와 문화적인 차이가 좀 드러났던 것 같다. 원작의 특징을 제대로 살릴 수는 없었던 것 같달까.

이는 일부 번역에서도 아쉬움을 남겼는데, 중국어는 한국어와 달리 언어 자체에 존댓말과 반말이 없어서 그런지 일부 문장이 어색한게 눈에 띄었다. 언어 차이로 인해 어쩔 수 없다면 어쩔 수 없다고도 할 수 있곘지만, 그래도 아쉬움이 남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사들 예언의 시작 편 1 : 야생으로 전사들 1부 예언의 시작 1
에린 헌터 지음, 서나연 옮김 / 가람어린이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에린 헌터(Erin Hunter)’의 ‘전사들 1부 예언의 시작 1 야생으로(Warriors: The Prophecies Begin #1 Into the Wild)’는 야생 고양이들의 이야기를 시리즈의 시작을 그린 소설이다.

장대한 시리즈의 첫 시작인 이 책은 집고양이인 러스티가 우연히 야생 고양이들인 ‘전사들’에 대해 알게되고 그들과 함께 생활하면서 진정한 전사로 거듭나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인간과 함께 생활하던 동물이 야생으로 복귀하는 이야기를 그린 것들은 대게 인간의 시점으로 쓰여진 것이나 야생으로 돌아가면서 끝나는 것들이 많은데, 이 시리즈는 야생으로 들어가면서 본격적인 이야기가 시작된다는 게 흥미롭다.

그러면서 한편으로는 조금 걱정이 되기도 했다. 과연 야생 고양이의 생활이나 문화를 얼마나 흥미롭게 그려낼 수 있을까 싶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런 걱정은 말 그대로 ‘우려’에 지나지 않았다. 인간적인 판타지가 진하게 녹아있기는 하지만, 흥미와 재미 면에서는 기대 이상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인간이 사는 곳 바로 옆에 인간들은 미처 상상하지도 못했던 강맹한 고양이들이 부족을 이루고 산다는 것도 그렇고, 그들끼리 규율을 정하고 따른다거나, 사냥과 전투를 넘어 정치를 하기도 하는 등 야생 고양이의 세계를 정말 생생하고 매력적으로 그려냈다. 종족 이름이나 각자의 이름도 그렇고, 문화적인 면도 여러 면에서 아메리카 원주민을 떠올리게 했는데 그런 것도 매력적으로 다가왔다.

그들의 세계 못지않게 이야기도 매력적이어서 점차 성장해가는 어린 고양이들의 모습을 보는 것도 좋고, 뒷 이야기를 위해 떡밥을 뿌리는 것도 어떻게 해소될지 궁금증을 자아내게 했다. 이 의문들은 1권에서 모두 해소되지 않는데, 이게 아쉬움도 남기는 한편 2권에 대한 기대감도 들게 했다.

번역도 나쁘지는 않은데, 다만 일부 의아한 문장이 눈에 띄긴 했다. 영어와 한국어의 언어 차이로 인한 정확히 번역할 수가 없어서 그랬던 것 같은데, 그렇다고 어색하게 직역해 버리기보다는 조금 의역을 하더라도 매끄럽게 다듬는게 좋지 않았을까 싶었다.

이름 번역은 조금 다른 의미로 아쉬웠다. 전사들의 이름은 아메리카 원주민의 그것처럼 그 자체가 의미도 담고 있는데, 그걸 그냥 소리나는대로 읽어 표기했기 때문에 그런 느낌이 좀 사라진 것 같아서다. 종족 이름은 별족, 바람족처럼 번역을 했는데, 기왕에 이름도 ‘늑대와 춤을’이나 ‘주먹 쥐고 일어서’처럼 번역했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도 살짝 들었다.

‘전사들’은 이미 엄청 유명하고 그만큼 사랑도 많이 받은 시리즈다. 본편만해도 무려 7부까지 써졌고, 그 외에 특별판이나 만화로도 만들어진바 있으니 웬만하면 전사들에 대해서는 모르는 사람이 없을 것이다. 그게 이번에 가람어린이에서 새롭게 출간한 것이다. 안그래도 보고싶은 작품 중 하나였는데, 마침 좋은 기회에 접하게 된 셈이다.

전사들은 이번 출간으로 1부만 벌써 3번째 나오는 것이라고 하는데, 부디 이번에 가람어린이에서 7부까지는 물론 특별판이나 가이드까지 계속해서 만나볼 수 있기를 기대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만화편) 2억 빚을 진 내게 우주님이 가르쳐준 운이 풀리는 말버릇 2억 우주님 시리즈
고이케 히로시 지음, 아베 나오미 그림, 이정환 옮김 / 나무생각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이케 히로시(小池 浩)’가 쓰고 ‘아베 나오미(アベナオミ)’가 만화를 그린 ‘2억 빚을 진 내게 우주님이 가르쳐준 운이 풀리는 말버릇 : 만화편(マンガでわかる! 借金2000万円を抱えた僕にドSの宇宙さんが教えてくれた超うまくいく口ぐせ)’은 저자의 동명의 저서에 독자들의 의견을 받고 만화를 덧붙여 다시 써낸 책이다.

‘만화편’이라고해서 마치 책 전체가 만화로 구성된 것 같지만, 실제로는 그보다 글이 훨씬 많다. 만화는 각 챕터의 시작을 여는 역할을 하며 또한 실제 한 사람의 인생이 바뀌어가는 모습을 보여주는 일종의 예시나 체험기 같은 모양새를 띄기도 한다. 그런만큼 각 챕터의 주제를 잘 보여주기도 한다.

짧은 만화 후에는 저자의 본격적인 강의가 나오는데, 현실과 종교적인 면모 사이에 있는 ‘우주님’ 이야기는 꽤 볼만했다.

우주님은 기본적으로 ‘자기 긍정’을 통해 나아짐을 추구하는 것이다. 이런 유사한 이야기는 그 동안에도 많았기에 낯익은 느낌이 많이 든다.

이런 류의 이야기가 갖는 위험성 역시 마찬가지로 갖고 있다. 저자가 하는 이야기 자체만 보거나, 그것에 편협하게 취할 경우 상식에서 벗어나 부작용을 일으킬 수도 있다는 말이다. 예를 들어, ‘선불의 법칙’이 그렇다. 이야기를 곡해하면 자칫 과소비를 옹호하는 논리로 악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저자의 주장 자체는 그리 낯설지 않은 것인데도 불구하고, 보는내내 꽤 유쾌하고 어느정도 고개를 끄덕이면서 볼 수 있었던 것은 저자가 우선 ‘우주님’을 내세운 종교같은 얘기를 하는게 아니라 단지 비유라는 것을 확실히 하고있기 때문이다. 이 점이 먼저 현실을 초월한 맹목적인 믿음을 요구하는 ‘긍정의 힘’ 류의 이야기들과 조금 달라 보였다. 실제로 저자가 말하는 ‘우주의 법칙’에는 현실적인 면모가 반영된 게 꽤 많기도 했다. 그래서 ‘막연한 믿음’이 아니라 실천적인 방법의 하나처럼 보이기도 했다.

거만하고 무서워 보이기도 하는 ‘우주님’이라는 캐릭터를 통해 이야기를 재미있게 풀어낸 것도 좋았다. 모두가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 밖에도 여러 캐릭터들이 등장하는데 그들이 나와 티격태격하면서 주인공을 훈계하고 나은길로 이끌어주는 전개도 나름 볼만했다.

책에서 말하는 것 같은 극적인 변화까지는 아니더라도 멘탈 케어를 위해서도 도움될 내용이 많으니 한번쯤 읽어보면 좋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슈퍼히어로 아카데미아 : 아는 히어로, 모르는 이야기 - A♭시리즈 003 - 아는 히어로, 모르는 이야기 - A♭시리즈 003 A♭시리즈 3
김닛코 / 에이플랫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슈퍼히어로 아카데미아’는 마블 유니버스로 이제는 모두에게 익숙해진 슈퍼히어로에 관한 이야기들을 담은 책이다.

이 책의 내용은 처음부터 책으로 쓰여진 것이 아니다. 그보다는 인터넷 등에 기사로 싣기 위해 쓴 것이다. 책은 그것들을 갈무리한 것이다보니, 책 전체적으로 일관된 주제가 있거나 이어지는 내용의 흐름이 있는 것은 아니며, 그렇다고 각각의 각각의 분량이 많은 것도 아니다보니 각 내용을 깊게 다루는 것 또한 하지 못한다.

대신 여러 히어로들의 특징이라던가 뒷 이야기, 영화가 아닌 코믹스에서의 모습이라던가, 실제 사회와의 관계로 인해 영향을 받는 점 등 누구든 쉽게 읽고 빠져들만한 흥미로운 주제들을 풀어내서 히어로물에 깊이 빠져있는 사람이 아니더라도 가볍고 재미있게 읽어볼 수 있다.

문제는, 그것들 중 상당수는 인터넷을 통해서도 충분히 접할 수도 있는 것이라서 그것들을 모았다는 것 만으로는 책으로서의 가치가 썩 크지 않다는 점이다. 저작권 문제 때문인지 이미지를 하나도 사용하지 못했다는 것도 거기에 한 몫 한다.

그래도 훨씬 더 자유롭고 가볍게 써낸 인터넷 정보에 비해 책은 정보나 문장도 더 다듬었고 편집도 읽기 쉽게 깔끔히 잘 한 편이다.

아쉬운 점은 내용 중 상당수가 마블 위주로만 다루어 졌다는 거다. DC나 다른 히어로들도 좀 더 다뤘으면 어땠을까 싶은데, 아무래도 영화의 성공으로 가장 유명한 시리즈기도 하고 이 책 자체가 가볍게 읽을 거리로서 만들어진 것이라 그런 것 같다. 저자 스스로도 그렇게 생각하고 이 책을 엮었다면, 진지하고 깊은 내용을 다룬다면 어떻 책이 될지 보고 싶기도 하다.

책에는 다수의 스포일러도 포함되어 있는데, 글의 성격 상 어쩔 수 없기도 하지만 아직 해당 작품들을 모두 본게 아닌 입장에서는 좀 껄끄럽게 느껴지기도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 가닥의 머리카락 일본 추리소설 시리즈 1
구로이와 루이코 외 지음, 김계자 옮김 / 이상미디어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 가닥의 머리카락’은 ‘구로이와 루이코(黑岩 淚香)’, ‘아에바 고손(饗庭篁村)’, ‘모리타 시켄(森田 思軒)’ 세 작가의 일본 고전 단편 추리소설 6편을 담은 소설집이다.

일본 추리물은 나름 알아주는 편이다. 이제는 다른 작품에서도 거론될 정도로 유명하고 또 사랑받는 시리즈도 여럿 있고, 작품 자체로도 외국의 유명한 작가들 못지않은 작품도 여럿 있다.

이 책은 그런 일본 추리 소설의 흐름과 경향을 파악해볼 수 있도록, 1880년대부터 1945년까지의 주요 추리소설을 엄선해 연대순으로 담아내는 걸 목표로 시작한 ‘일본 추리소설 시리즈’의 1편이다.

일본 추리소설의 시작점을 담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는 얘기다. 그래서 이제는 눈이 높아진 요즘 독자들이 보기엔 그렇게 만족스럽지 않을 수도 있다. 현재 일본 추리물의 강점이라고 할 수 있는 기발하고 잘 짜여진 트릭을 기반으로 한 이야기와는 다르기 때문이다. 그보다는 당시 서양에서 들여오던 추리물과 유사해 보이는데, 이는 아마도 초기에 번역을 통해서 추리소설이라는 장르가 전해지다보니 자연스럽게 그를 닮은 이야기가 쓰여졌던 게 아닐까 싶다.

그래서 그런지 책에 수록된 작품도 6개 중 무려 4개가 외국 원작이다. 사실상 번역 작품이라는 말이다. 이게 조금은 ‘일본 추리소설 시리즈’라는 것에 물음표가 떠오르게 하기도 하는데, 그만큼 초기 일본 추리소설은 외국에서 들어온 추리소설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는 걸 보여주는 게 아닌가 싶다. 하지만, 의미가 있는 것은 그렇다 하더라도, 일본 추리소설을 기대하며 펼쳤었던 만큼 역시 아쉬움이 남는 구성이기도 하다.

옛 소설들은 담은 것이니 만큼 세련된 맛도 좀 떨어지나, 문장에서부터 풍겨오는 옛스런 냄새가 의외로 나쁘진 않다. 사건이나 추리도 좀 우연성에 기대거나 가능성을 크게 부풀리는 점 등이 보이나, 이야기 자체는 꽤 흥미로워서 나름 재미있게 볼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