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로 - 내 기억이 찾아가는 시간
하창수 지음 / 연금술사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로’는 시간과 죽음에 관한 이야기를 담은 SF 소설이다.

소설은 미로를 중심으로 한 2041년을 배경으로 한 이야기를 중심으로, 과거에 있었던 일에 대한 회상이나, 그의 아버지인 닥터 클린워스가 쓴 소설 등을 오가면서 때로는 현실에 대해서도 의심하게 만들며 이야기를 전개한다.

그 과정에서 작가는 소설 자체와 ‘인터벤션’이라는 게 오가는 구성을 사용해 이야기를 진행해 나가는데, 이 마치 영화 코멘터리같은 서술은 마치 소설 속 소설 같기도 하고 설정집 같기도해서, 이게 지금 소설을 보고 있는 것인지 뭔지 더 묘하게 느끼게 하기도 했다.

소설을 더욱 독특하게 만드는 이 ‘인터벤션’은 장점 뿐 아니라 단점도 확실하다. 이야기 진행만으로는 쉽게 알 수 없는 과거나 속사정 등을 알 수 있어 이해를 돕기도 하지만, 중간에 시시때때로 끼어드는 이 구성이 이야기의 흐름을 끊을때도 있기 때문이다. 그게 뒤돌아보면 ‘별 진행은 없었네’ 싶게 해서, 조금 장황스럽지 않나 싶은 생각도 하게 한다.

이야기는 가까운 미래를 배경으로 한 SF 소설인 만큼 여러 발전된 장치나 개념들이 등장하기도 하지만 그렇다고 썩 미래과학적이라는 느낌이 들지는 않았는데, 그건 소설속에 등장하는 여러 개념이 조금은 판타지 적이고 기억이나 인간, 신, 운명 등에 대한 이야기도 철학적이고 종교적인 느낌이 강했기 때문이다. 그게 때때로 이 소설을 난해하게 느끼게도 했다.

그래도 소재나 그걸 이야기로 이끌어가는 방식은 그렇게 나쁘지 않아서, 과연 뒤에는 무엇이 숨겨져 있는지, 사실과 진실은 무엇일지 계속해서 궁금해하고 상상하게 만들었다. 그게 중간중간 ‘이러면 어떨까’ 싶은 생각의 가지를 펼치게도 만들기도 했고, 그와는 다른 작가의 이야기를 보는 것도 나쁘지 않았다. 꽤 흥미로운 소설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중력 - 권기태 장편소설
권기태 지음 / 다산책방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력’은 우주인을 꿈꾸던 샐러리맨이 우연히 발견한 우주인 선발 공고에 지원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담은 소설이다.

우주는 많은 인간들의 꿈이다. 그건 배, 비행기 등을 통해 지구를 자유롭게 오가게 된 인간이 거의 가보지 못한 곳이기 때문이기도 하고, 그곳에서만 할 수 있는 다양한 경험과 새로운 일들이 거기에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조금 다르게 생각하면, 우주는 일종의 해방감을 주는 것이지 않나 싶기도 하다. 직장, 사회, 국가, 지구, 그리고 모든것을 끌어당겨 답답하게 얽어매는 중력으로부터 말이다. 전에는 가보지 못했던 곳에서 새로운 사람과 만나 알지 못했던 것들을 배우고 또 행해보는 것은 그런 일상에서의 벗어남을 주는 일종의 일탈을 제공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게 정말로 꿈꾸는 것처럼 멋지고 아름답기만 할까. 지구를 벗어난다지만 우주인도 결국엔 인간이며, 우주인 학교와 우주센터도 모두 알고보면 바깥과 별로 다를 것 없는 관계와 경쟁, 정치에 둘러 쌓여있다. 그것들이 꿈꾸던 그곳에서도 그저 꿈을 향해 나아갈 수 만은 없게 만든다.

소설은 생각보다 그런 점들을 꽤 주요하게 다루었다. 소년만화처럼 꿈만을 그리지 않은 이야기는 그래서 조금은 답답하고 무겁게 다가오기도 한다. 한국인이라서 마주하게 되고 겪어야 하는 일들을 담았기에 더욱 그렇다. 이게 우주인을 꿈이 아닌 현실에서 다시 생각해 보게 하기도 했다.

이야기 중간에 긴장감을 더하려고 했던 것인지 인물들간에 오가는 감정이나 오해 같은 것을 부각시키기도 했는데, 이건 그리 좋지만은 않았다. 전체 이야기와 주제에 크게 중요한건 아니라서 그런지 묘한 오해가 생기게 하면서 몰아가다 해소하는 식으로 꼼꼼하게 처리한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그런 걸 굳이 몇번 반복해서 보여서 더 그렇다. 그저 그 정도에서 그칠 것이면 차라리 조금 심심해 보이더라도 잔잔한 드라마를 죽 유지하는게 어땠을까 싶기도 하다.

책을 처음 접했을 때는 만화 ‘우주 형제’를 많이 떠올렸었다. 오랫동안 다른 일을 하다가 우주인이 된다는 꿈을 품고 모집에 지원한다는 것이나, 우주인이 되기 위해 겪는 일들을 다뤘다는 점 등 초반 전개가 많이 비슷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보면서 자연히 비교해보게 되기도 했다. 하지만, 근미래를 배경으로 비교적 유쾌하고 희망적인 이야기를 담은 ‘우주 형제’에 비해 이 소설은 현재(또는 과거)를 배경으로 좀 더 현실적인 이야기들을 담아냈다. 그게 우주인 이야기가 생각보다 적고, 몇몇 이야기나 전개에선 아쉬움도 남기지만 나름의 매력도 느끼게 해주었던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습관을 조금 바꾸기로 했다 - 죽어야 고치는 습관, 살아서 바꾸자!
사사키 후미오 지음, 드로잉메리 그림, 정지영 옮김 / 쌤앤파커스 / 2019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사사키 후미오(佐々木 典士)’의 ‘나는 습관을 조금 바꾸기로 했다(ぼくたちは習慣で、できている。)’는 습관에 관해 살펴보고 좋은 습관을 들이는 법을 얘기하는 책이다.

우리는 때로 우리 자신을 너무 과하게 평가하는 면이 있다. 원래 그런 사람이라느니, 그래서 결코 바뀌지 않을 거라느니 하는 얘기들이 그렇다. 이미 완성된, 완전한 존재로 보는 거다.

하지만, 실제로는 매일 살아가며 겪는 사소한 일 하나 하나에도 흔들리고, 그렇게 알게 모르게 모든 것에 영향을 받으면서 우리는 조금씩 바뀌어간다.

습관이란 그런 나 자신의 현재를 나타내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제까지 해왔던 것들은 물론 앞으로 할 것들 역시 습관을 통해 드러나기 때문이다. 조금 과장하자면, 습관으로 살아가는 우리는 습관으로 이뤄져 있다고도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늦잠자는 습관, 내일로 미루는 습관, 나 자신을 부정하는 습관 등은 어떻게도 안좋은 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다.

다행인 점은 그러한 습관은 단지 현재 상태에 있는 일시적인 것일 뿐이며, 얼핏 사소해 보이는 노력으로도 충분히 바꿀 수 있다는 것이다.

책에는 저자가 실제로 자기에게 습관을 들여가며 배웠던 50가지 교훈들이 담겨있다. 각각은 따로 떼어놓고 보면 별 것 아닌 것처럼 보이는데, 이미 다른 사람이나 글, 말 등을 통해서 봤던 것들도 있어서 더 그렇다. 의외로 누구나 알거나 생각해본 내용들도 많다는 얘기다. 미묘하게 다르긴 하지만, 보다보면 비슷한 얘기도 꽤 있다.

저자는 그것들을 자신의 생각이나 경험과 함께 잘 풀어냈다. 그래서 읽기도 좋고, 공감가는 점도 많이 찾을 수 있었다. 개중에는 당장 적용해 볼직한 지침도 얻을 수 있었는데, 예를 들면 ‘진범 찾기’나 ‘관찰 일기’, ‘기록’, ‘일단 시작하기’ 같은 것등이 그렇다. 이것들은 나 자신의 경험을 떠올리게 하는 것도 있어 더 그랬다.

물론, 저자가 얘기하는 50가지는 절대적인 것도 아니고, 그렇기에 모든 사람에게 통하는 것도 아니다. 그래도 책을 죽 읽어보면 전체적인 방향이 무엇인지를 충분히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걸 실행하기 위해 자신에게 맞는 지침을 몇가지 얻을 수만 있다면, 충분히 습관 바꾸기를 시작해볼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얼핏 뻔한 것 같지만, 그래도 충분히 괜찮은 책이다. 이런 문제로 고민해본 적이 있다면, 한번 쯤 읽어보면 좋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멘사 추리 퍼즐 2 - IQ 148을 위한 IQ 148을 위한 멘사 퍼즐
폴 슬론.데스 맥헤일 지음, 조형석 그림, 멘사코리아 감수 / 보누스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폴 슬론(Paul Sloane)’, ‘데스 맥헤일(Des MacHale)’의 ‘멘사 추리 퍼즐 2(Brain-Busting Lateral Thinking Puzzles)’는, ‘멘사 추리퍼즐 프리미어’의 개정판으로, 막혀있는 생각의 벽을 허물고 새로운 관점으로 살펴봐야 알 수 있는 문제들을 담은 논리 퍼즐책이다.

비슷한 퍼즐들을 똑같이 ‘추리 퍼즐’이란 이름의 시리즈로 내었지만, 이 책은 엄밀히 말하자면 ‘추리 퍼즐’은 아니다. 그보다는 그럴듯한 가설을 생각해 내는 것에 가깝다. 마찬가지로 책에서 제시하는 ‘단서’들도 실제로는 단서라기보단 거의 ‘조건’에 가깝다.

그러니까, 주어진 상황을 설명할만한 그럴듯한 ‘가설’을 세우고, 그게 추가로 제시된 ‘조건’에 어긋나지 않는 답을 생각해보는 일종의 ‘사고 퍼즐’이란 얘기다. 그래서 이 퍼즐을 접할때는 사전 정보가 없으면 없을 수록 좋다. 그 편이 더 자유롭게 생각하기 좋기 때문이다.

실제로 수록된 문제 중에는 지리나 역사 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도 있어서 해당 내용을 알면 즉답이 나올법한 것도 있었다. 이건 반대로 그런 지식을 알지 못한다면 아무래도 답을 떠올릴 수 없거나, 혹은 책에서 제시한 정답과는 전혀 엉뚱한 답을 떠올릴 가능성이 크다는 거다.

하지만, 설사 그렇더라도 그런 답을 생각해보는 그 자체가 재미있다. 내가 떠올린 해답이 얼마나 그럴듯한지 따져보고 책에 수록된 답과 비교해 보는것도 한 재미다.

문제도 그렇게 할 수 있도록 가능한 정보를 제한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졌는데, 그게 때로는 좀 작위적이라는 느낌을 주기도 한다. 하지만 대체로는 흥미롭고, 정답 역시 관념에서 한발 벗어나야 보이는 것들이라 유쾌하고 재미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약탈자의 소중한 친구 꿀벌 - 꿀벌에 관한 소소한 이야기
이상열 지음, 박다솜 그림 / 너와나의농촌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약탈자의 소중한 친구 꿀벌’은 꿀벌에 관한 여러 이야기들을 가볍게 읽을 수 있도록 담은 책이다.

먼저 인간을 ‘약탈자’라고 칭하면서도 ‘친구’라고 상반되게 일컫는 제목이 눈에 들어온다. 좀 독특하게도 느껴지고 왜 그렇게 표현했을지 궁금하기도 한데, 인간과 꿀벌의 관계를 잘 생각해보면 의외로 그 양면을 잘 담아낸 것이라는 걸 알 수 있다. 인간은 꿀벌이 애써모은 꿀을 훔쳐가는 약탈자이자, 그런 꿀을 얻기 위해 도움을 주는 친구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그런 꿀벌에 대한 이모저모를 담은 이 책은, 기본적으로는 가볍고 흥미위주로 쓰여진 것으로 보인다. 즉, 이 책으로 꿀벌이나 양봉에 대해 자세히 알려고 하는 건 조금 안맞다는 얘기다.

대신 꿀벌의 역사에서부터 꿀벌의 종류와 생태, 벌통의 구조나 꿀에 대한 정보, 그리고 인간과의 관계까지 다양한 정보들을 조금씩 두루 다뤘다. 심지어 초와 방향제 만들기, 그리고 꿀을 활용한 요리까지 담았는데, 이 정도면 가히 꿀벌에 관한 넓고 얕은 지식의 잡학사전이라고 할만 하다.

다만, 얕게 다루기 때문에 개중엔 이미 아는 내용들도 있고, 개중에는 ‘이런 것도 있다’ 정도로 소개만 하고 넘어가기도 하는 등 좀 더 다루었으면 싶을때 끝나버리는 것도 있었다. 개인적으로는 양봉이 어떻게 이뤄지는지도 더 보고 싶었고, 소위 설탕꿀은 왜 나온 것이며 어떤 차이가 있는지 등도 궁금했지만 책에서는 다루지 않아 조금 아쉬웠다. 책 전체 분량도 적은 편인데, 조금만 더 내용을 늘렸으면 어땠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