퀴즈! 과학상식 : 황당 방송 과학 퀴즈! 과학상식 79
신혜영 글.그림, 손영운 감수 / 글송이 / 201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퀴즈! 과학상식: 황당 방송 과학’은 방송관 관련된 재미있는 과학 상식들을 만화와 퀴즈로 재미있게 살펴볼 수 있게 담은 책이다.

‘바보상자’라고 할 정도로 부정적인 인식도 많았지만, 방송은 엔터테인먼트면 엔터테인먼트, 교육이면 교육 등 많은 곳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 현대의 필수 문화 중 하나다.

그렇게 여러가질 하다보니 관련된 기술같은 것도 많은데, 이 책은 그런 것들 중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할만한 흥미로운 것들을 담고있다. 예를들면, 광고는 왜 대부분 15초인가 하는 것 같은게 그렇다. 이런 것들은 어떻게 보면 사소한 질문이라고 할 수 있지만 그 안에 과학적인 원리나 의학적인 이유가 있는 것이라서 단순히 흥미를 충족시켜 주는 것 뿐 아니라 자연히 관련 지식까지 살펴볼 수 있도록 했다.

책에는 총 3가지 주제를 가지고 총 40개의 의문과 답이 실려있다. 그걸 우선 코미디를 연상케하는 만화로 얘기한 다음, 끝에 짧막한 문장으로 정리하는 식으로 구성했다. 그래서 만화로 가볍게 시작해, 그에 이어서 자연스럽게 해당 지식을 알아볼 수 있다. 저연령층을 위한 책인 걸 생각하면 이런 구성은 꽤 긍정적이다.

다만 아쉬운 것은 만화에서 사용하는 이야기 구성이 너무 원패턴이라는 거다. 대다수가 단어를 이용한 단순 말장난에만 의존하고 있는데, 이게 처음에는 ‘웃기네’하며 보던 것도 점점 지루해져 ‘뭐야’하는 생각을 하게 만든다. 좀 더 재미있게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코미디로 이야기를 꾸민 것까지는 좋으나, 그게 웃기지 않다는 것은 오히려 책을 조금 재미없게 만들기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토피아 실험 - 문명이 붕괴된 이후의 세상을 실험한 어느 괴짜 과학자의 이야기
딜런 에번스 지음, 나현영 옮김 / 쌤앤파커스 / 2019년 4월
평점 :
절판


‘딜런 에번스(Dylan Evans)’의 ‘유토피아 실험(The Utopia Experiment)’은 문명 붕괴후를 가정한 자급자족 생활에 대한 시험 경과와 그로부터 얻은 것들을 담은 책이다.

나름 그럴듯해 보이는 시나리오를 배경으로 시작한, 한정된 기간동안 하기로 한 이 실험은 그 자체만으로도 상당히 흥미를 끄는 것이었다. 왜냐하면 나 역시 그게 정말로 가능할지, 만약 가능하다면 어떤 모습으로 정착할 수 있을 것이며, 불가능하다면 어떤 문제가 있을지 궁금했기 때문이다.

현대사회의 지독하게 물리고 물려있는 사회 구조에서는 구성원들에게 때론 부속품같은 느낌마저 들게 하기에 의외로 많은 사람들이 이전의 좀 더 ‘자연스러운 삶’이 어쩌면 더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품게 한다. 하지만, 대부분은 그것이 가져다주는 긍정적인 척면만을 볼 뿐, 왜 지금과 같은 사회가 만들어졌으며 이전의 형태는 사라졌는지를 잊어버리고 있다.

작가 본인이 스스로 자신의 전 재산을 털어 기존에 쌓아뒀던 사회적 지위와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까지 희생해가며 행한 이 실험은 결론적으로 그것을 다시한번 상기하게 해준다.

이 무난한 결론은 어떻게보면 쉽게 예상할만한 것이기도 했는데, 그건 저자의 이 실험이 처음부터 어딘가 어긋난 부분이 있었기 때문이다. 실험 방법은 물론이거니와, 구성원들도 그렇다. 애초에 실험을 이끌어야 할 저자 자신부터가 정신적인 문제를 겪고 있지 않았나. 그렇다보니 (작가가 그런 것 위주로 회상하고 정리해서 그런 것이기도 하지만) 사소한 것 하나에서부터 잘못되어가는 게 너무 많아 보였다.

그렇지만 않았다면, 이 실험은 어쩌면 성공적으로 끝났을 지도 모른다. 이 실험은 애초부터 끝을 정해둔 단기간의 활동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 기간동안에는 충분히 지속 가능한 모임을 유지할 수 있었고, 그랬다면 실험의 결과 역시 완전히 다르게 결론났을지도 모른다. 실제로 그들 주변에는 수십년간 유지된 모임도 있지 않았던가. 이 실험 만으로 자급자족이나 좀 더 자연적인 삶을 사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나쁘다고 하기는 어렵다는 얘기다.

그래서 실험 그 자체도 그렇게까지 의의있어 보이지는 않았다. 다만, 그렇게 망가져가던 저자가 현대사회의 도움을 받고, 무사히 사회에 복귀한 후에 예전을 복기하고 정리하면서 얻은 것들은 가치가 있었다. 불만족스러워보이는 현대 사회의 가치를 다시금 깨닫게 해주기 때문이다. 또한 실패한 실험을 통해 어떻게 사회가 그릇된 방향으로 나아가고 그 과정에 어떤 개인적인 문제와 사회적 심리가 작용하는지 살펴본 것도 흥미로웠다.

비록 실험 과정을 서사적 연결한 것은 아니지만, 주요 사건들을 꼼꼼하게 풀어내는 한편 그것들을 적절히 배치해 흥미롭게 전개한 것도 좋았다. 이상한 사람, 황당한 얘기들이 많아서 논픽션인데도 비현실적이고, 사건과 관련된 여러 이론들도 함께 다루기에 자칫 뜬금없고 따분하게 느껴질 수도 있었는데, 덕분에 나름 끝까지 재미있게 볼 수 있었던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마일 - 아이스너 상 수상 Wow 그래픽노블
레이나 텔게마이어 지음, 원지인 옮김 / 보물창고 / 2019년 5월
평점 :
절판


‘레이나 텔게마이어(Raina Telgemeier)‘의 ‘스마일(Smile)’은 긴 시간동안 치아교정을 받으면서 겪은 일들을 담은 만화다.

주인공인 레이나는 윗니가 더 많이 튀어나와서 치아교정을 하려고 한다. 그런데, 막상 하려니 안되는 것도 너무 많고 불편할 것도 뻔히 보인다. 심지어 그러던 중 사고로 다치면서 앞니에 큰 손상이 가게 된다. 힘들고 어려운 치아교정이 기다리고 있다는 얘기다.

치아가 올바로 자리잡고 있지 않으면 단지 씹거나 하는 기능적인 면에만 영향이 있는게 아니다. 겉 보기에도 안좋아 보일 수 있으며, 그건 자신감을 떨어뜨리는 심리적인 악영향을 주고 그게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까지 퍼진다.

심지어 그녀는 사춘기 소녀가 아닌가. 남들이 보기엔 별 거 아닐 수 있는것도 더 신경쓰이고, 작은 꼬투리라도 재미거리로 승화해버리는 동생과 친구들에게는 결국 놀림거리가 되버리고 만 것 같다. 이건 그렇게 위축된 그녀가 다시금 자신감을 찾아가는 이야기이도 하다.

치아교정을 단지 소재로만 이용하지 않고 교정 과정이나 그 사이에 하는 치료 등도 꽤나 자세히 다뤘다. 그래서 어느정도는 치아교정에 대한 소개와 간접 체험이 되기도 한다. 특히 아이들에게는 여러 장비들을 달고 불편과 고통도 수반하는 치아교정이 무섭게 느껴질 수도 있는데 이 만화의 내용에 공감할 경험도 많고 해서 도움이 될 것 같기도 하다.

거기에 사춘기 소녀가 겪는 육체나 마음의 변화나 친구들과의 이야기도 잘 담았다. 특히 친구와의 관계와 그 안에서 레이나가 보이는 모습이 그렇다. 치아교정이 인상이 강해 크게 두드러져보이지 않지만 묘하게 걸리는 모습을 많이 보이는데 그게 우정과 자신감, 그리고 용기에 대해서도 생각해보게 만든다.

교육적일 뿐 아니라, 일상을 통해 풀어나간 이야기도 좋고, 그것들이 어느하나 튀지않고 잘 어우러져있다는 것 역시 맘에 든다. 다 보고 나서는 이야기의 제목처럼 긍정적인 미소를 짓게 만드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너는 어디까지 행복해봤니? - 네 마음이 반짝반짝 빛나는 곳으로 너를 데려다줄게
곽세라 지음 / 쌤앤파커스 / 201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너는 어디까지 행복해봤니?’는 꿈과 행복, 삶에 대한 혜안을 전해주는 에세이다.

모든 사람들은 행복을 추구한다. 그건 당연하고 마땅히 해야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오죽하면 ‘행복추구권’이라는 것도 있을까. 하지만, 행복이란 대체 무엇인지, 또 어떻게 하면 또는 어떠한 것이 행복한 것인지는 모르는 사람이 많다. 이 책은 그처럼 모두가 알지만 알지 못하는 것에 대해 한 혜안을 제시한다.

기본적으로 행복에 대한 여러 이야기들을 자신의 경험과 함께 얘기하는 이 책은 작가의 경험과 생각을 담은 에세이로 분류된다. 하지만, 여행하면서 만난 사람들과의 일화나 그들과 문답을 하고 그를 통해 얻게되는 것들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은 조금은 소설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그 안에 어떤 이야기의 흐름이 있기 때문이다.

개인적으로는 이게 꽤 좋았는데, 갑작스런 정의로 억지로 자신의 생각을 주입하려고 하지도 않는데다가 왜 그런 이야기가 나온 것이며 그 뜻은 무엇인지 조금은 느리지만 좀 더 확실하게 느낄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책에서 얘기하는 지혜들은 사실 어떻게 보면 식상한 것이라고 할지도 모른다. 딱히 큰 깨달음을 필요로 하지도 않고, 그만큼 꼭 새롭다고 할만한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어떻게 보면 할아버지 할머니들이 자신의 아이나 손자에게 건네는 따뜻한 말 한마디, 경험에서 우러나온 작은 지혜 같기도 하다.

이는 다르게 말하면 그만큼 공감도 되고 그렇기에 쉽게 받아들여지기도 한다는 얘기다. 그 이야기를 현대 문명과는 조금 떨어진 사람들의 입을 통해 듣는다는 것은 조금 새로웠는데, 전혀 다른 땅, 문화에서 자란 사람들이 던지는 이야기들이 이토록 깊게 와닿는 걸 보면 인간은 근본적으론 모두 같은 존재들이라는 생각도 들었다.

행복에 대한 얘기들은 개인적인 경험을 떠올리게 하기도 해서 특히 많이 와닿았다. 행복은 ‘하는’ 것이라느니, 행복한 사람만이 거기까지 다른 사람도 이끌어 갈 수 있다는 얘기들은 마음에 작은 아림을 주기도 했다.

이런 얘기들은 현대인에게 조금은 동떨어진 이야기 처럼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그렇기에 더욱 소중한, 정말로 기억해야 할 이야기라고 생각한다. 행복을 쫓는 사람이라면, 특히 행복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사람이라면, 한번 읽어보고 자신을 돌아보면 좋을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꼬리박각시
줄리 에스테브 지음, 이해연 옮김 / 잔(도서출판) / 201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줄리 에스테브(Julie Estève)’의 ‘꼬리박각시(Moro-sphinx)’는 한 여인의 고독하고 암울한 삶의 일면을 그린 소설이다.

이 소설을 뭐라고 표현하면 좋을까. 새삼 표현력이 떨어짐을 느낀다. 그만큼 이 소설은 기묘하고, 여러가지가 뒤엉킨듯 복잡하며, 그 안에 담긴 의미가 쉽게 다가오지 않을 만큼 난해하다.

주인공인 롤라부터가 그렇다. 사람과 사랑으로부터 상처입은 그녀는 그 때문에 절망하고 자신을 함부로 하며 또한 그로부터 야기된 행동을 통해 다른 사람을 해치고 상처입힌다.

그녀는 그를 위한 방법으로 가장 원시적인 것, 오로지 자기 자신만으로 할 수 있는 행위를 이용한다. 그녀의 상처 때문에 얼핏 방환하는 것 같아 보이면서도, 그를 통해 자신의 감정을 분출하고 상대로부터 대가를 치르게 한다는 점에서 그녀는 일종의 창녀처럼 보이기도 한다. 그렇게 되도록 하기 위해 그녀가 노골적인 유혹을 풍긴다는 점 때문에 더 그렇다.

하지만, 그런 행위나 묘사들이 이 소설을 마냥 관능적으로만 보이게 하지는 않는다. 그 사이사이에 드러나는 암울함들이 그보다 더욱 짙기 때문이다. 그게 그녀에게 동정어린 시선을 던지게 하기도 한다.

하지만, 그보다는 더 이해할 수 없음이 더 짙다. 그녀의 과거나, 버림받은 경험 등을 생각하더라도 그렇게까지 자신을 학대하는 것은 선뜩 공감이 가지 않기 때문이다. 심지어 마음의 안정을 찾을만한 기회가 있었는데도 마치 그런것에 알레르기라도 있는 것처럼 히스테리를 부리고 망가뜨리는 것에는 절로 의아함이 피어날 수 밖에 없었다.

마치 돌고 도는듯한 이야기는 그녀가 빠져버린, 빠져나올 수 없는 상태를 더욱 강화해서 보여주기는 하나 왜 그래야만 하는지는 알 수 없기에 소설은 현실적인 일상을 담았다기보다 정신질환을 가진 특수한 사람의 기행을 담은 것 같아보이기도 한다. 그게 그녀의 행위—특히 산도쿠를 이요해 심장을 찌른 살인 행위–를 진짜 현실인지 아니면 불안정한 그녀가 꾸는 망상이나 꿈인지 헷갈리게 만든다.

문장도 내용도 생각보다 난해한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