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블록스 공식 가이드북 롤플레잉 게임 편 로블록스 공식 가이드북
Roblox 지음, 추성호, Feleloua, 성진, 감나무님, 한주 옮김 / 영진.com(영진닷컴)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알렉스 콕스(Alex Cox)’와 ‘알렉스 윌트셔(Alex Wiltshire)’가 쓴 ‘로블록스 공식 가이드북 롤플레잉 게임 편(Roblox Top Role-Playing Games)’은 로블록스에서 인기있는 40여개의 롤플레잉 게임을 소개하는 두번째 공식 가이드북이다.


‘로블록스(Roblox)’는 온라인 오픈월드 샌드박스 게임이다.

‘블록’과 ‘샌드박스’라는 특징이 마인크래프트를 떠올리게도 하지만, 세세하게 따져보면 많이 다르다. 대부분이 네모난 기본 블록에서 큰 변화가 없는 마인크래프트에 비해 레고처럼 훨씬 다양한 모양의 블록이 있으며, 레고 피규어같은 캐릭터도 모양이나 모습이 다양하고 개성적이다. 다양한 블록이 있는만큼 각지고 층이 두드러져보이는 마인크래프트에 비해 그래픽도 훨씬 매끄러운데, 그러면서도 블록 장난감 특유의 모습도 남아있어 마치 장난감 세계를 돌아다니는 것 같은 느낌도 든다.

마인크래프트보다 무려 5년이나 앞선1 로블록스는 그만큼 다양한 게임이 있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이 책은 그 중에서도 특히 인기있는 롤플레잉 게임 40개를 집어 각 게임에 대한 소개와 게임을 할 때 알아두면 좋은 정보, 그리고 간략한 게임팁을 게임당 1장씩 간략하게 정리했다.

게임당 1장으로 정리했기 때문에 각 게임에 대한 정보는 많지 않다. 그래서 조금은 게임 소개 정도에 그치는 느낌도 드는데, 로블록스가 어린이와 청소년을 주 대상으로 하는만큼 게임 자체가 그렇게 어려운 것도 아니고 게임 안에는 새로운 경험들도 많이 있기 때문에 적당한 정보만으로 게임에 도전해보는 것도 괜찮을 듯하다.

게임 가이드지만 게임 자체에 대한 얘기만 하는게 아니라 개발자와의 인터뷰를 실은 것도 나쁘지 않았는데, 게임 정보는 다른 곳에서도 얻을 수 있지만 인터뷰는 그렇지 않은데다, 인터뷰 때문에 가이드가 부실해지는 것도 아니라서 더 그렇다.


한국어를 제대로 지원하지 않아 게임 제목부터 용어까지 모두 영어인 것은 좀 아쉬웠는데, 로블록스 자체도 올해에 와서야 한국어를 지원하기 시작했고, 이 책에서 소개하는 게임들이 모두 로블록스에서 만든 공식 게임인 것도 아니라는 걸 생각하면 어쩔 수 없어 보이기도 한다. 그래도 한국어를 지원하는 게임이 늘고있는 추세라니 향후에는 기대를 해 보아도 될 듯하다.

책에 수록된 게임들은 모두 각자만의 매력점이 있어, 왜 많은 사람들이 즐기는지 알만하다. 이것들을 하나씩 해보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좋은 시간을 보낼 수 있을 듯하다. 그런 점에서 로블록스를 좀 더 즐기고 싶은 사람들에게 나름 괜찮은 가이드가 아닌가 싶다.



* 이 리뷰는 리뷰어스 클럽을 통해 출판사로부터 책을 받고 작성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완벽한 부모 찾기 비룡소 걸작선 6
데이비드 바디엘 지음, 노은정 옮김 / 비룡소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데이비드 바디엘(David Baddiel)’의 ‘완벽한 부모 찾기(The Parent Agency)’는 재미있는 상상으로 가족을 되돌아보는 이야기를 그린 소설이다.

아이들은 부모에게 불만이 많다. 그럴 수 밖에. 애초에 원해서 부모 자식 사이가 된게 아니지 않나. 그러다보니 원하는대로 되지 않으면 손쉽게 다른 부모와 비교를 하기도 하고, 때론 다른 부모를 부러워 하기도 한다.

그렇다면, 만약 아이가 부모를 직접 선택할 수 있다면 어떨까. 이 소설은 그 작은 상상으로부터 시작한 책이다.

배리는 어느 날 마법처럼 ‘어린던’이라는 곳으로 가게 된다. 그곳에는 부모가 아이들을 갖는다는 개념이 없고, 반대로 아이들이 10살 생일 전까지 평생을 함께 할 부모를 선택할 수 있다. 그를 위한 ‘엄빠소(엄마 아빠 소개소)’에서는 배리에게도 생일이 까지 총 5일동안 다섯쌍의 부모를 소개해주며 배리는 그토록 바랬던 특징의 부모들을 하나씩 체험해보게 된다. 과연 배리는 어린던에서 새로운 부모를 만나 훨씬 만족스러운 가족을 이룰 수 있을까?

재미있는 상상으로 시작했지만, 이 소설은 꽤 진지한 물음을 담고있다. 과연 가족이란 무엇인가 하는 것 말이다. 배리는 다양한 환경과 조건을 갖춘 부모를 만나 가족이 되어 보지만 그토록 바라던 요소들을 갖고있던 부모들에게서도 만족을 얻지는 못한다. 그건 그들이 조금 과장되게 치우쳐져 있어서 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게 결여되어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배리가 정말로 바라는 것은 무엇이었을까. 많은 돈? 유명하거나 활기찬 것? 원하는걸 다 들어주거나, 다른 형제자매보다 자신을 더 위해주는 것?

사실 그것들 자체가 그렇게 중요한 건 아니었을 것이다. 배리는 마지막에 그걸 새삼 깨닫는데, 단지 미처 실감하지 못했던 것일 뿐 이전부터도 계속 있었던 것이라는 것도 알게된다. 그건 또한 앞으로도 결코 변치 않을 것이기에 더 가치가 있다.

함께 산다고 해서 당연히 모든것이 마음에 들 수는 없다. 특히 가족처럼 원해서 이뤄진 게 아니라면 더 그렇다. 그래서 불만스러운 점들이 많을 수도 있지만, 가족을 진짜 가족이게 만드는 한가지는 그런 모든 것들을 그저 사소한 것으로 바꿔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음에 심는 꽃
황선미 지음, 이보름 그림 / 시공사 / 2019년 10월
평점 :
절판


‘마음에 심는 꽃’은 한 시골마을에서의 일을 그린, 한편의 동화같은 소설이다.

이야기는 시골 마을에 한 가족이 이사 오면서 시작한다. 안그래도 일을 찾아, 또는 다른 삶을 찾아 사람들이 떠나가는 곳이 시골이다. 그런데 그런곳에 굳이 찾아오는 것은 물론 농사일까지 시작하는 가족은 아무래도 눈에 띌 수밖에 없다.

그 가족들이 들어와 살게되는 빈 집에서 꽃밭을 가꾸고 있던 수현이는 이 새로운 이웃, 특히 여리여리해 보이는 그집 아들과 부닥치고 서로 감정을 드러내기도 하면서 서로를 조금씩 알고 친해지게 된다.

시골을 배경으로 한 동화같은 이야기는 마치 예전의 그리운 추억을 그려낸 것 같다. 사람은 적지만 오히려 그래서 마을 모두가 서로 알고 지내던 그 때, 굳이 따지자면 딱히 특별할 건 없지만 돌아보면 그때가 좋았다는 생각을 절로 하게 만드는 소소한 그 때의 풍경과 삶의 모습들이 담겨있다. 그래서 조금이라도 시골 생활을 해본 적이 있다면 의외로 쉽게 자신의 추억을 생각나게 하는 장면이 많다.

다만, 작가가 1995년에 등단할 때 처음으로 내놓은 소설이어서 그런지 이야기 자체의 완성도는 그렇게 높아 보이지 않는다. 짧은 이야기라 생략된 부분도 많고, 그게 인물의 감정을 좀 과하고 급작스러워 보이게 하기 때문이다. 그러다보니 감정이입도 잘 안된다.

민우의 이야기도 너무 급하게 진행된다. 이제 막 시골에 와 알아가기 시작했는데, 그러자마자 바로 끝나버리기 때문이다. 그렇게 되는 과정에서도 몇가지 의문을 남긴다. 물론, 세세하게 따져보면 나름 연결점들이 있기는 하다. 그러나 그걸 매끄럽게 담아내지는 못했으며, 중간에 끊은 듯한 엔딩도 묘한 아쉬움을 남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물리학으로 풀어보는 세계의 구조 - 거의 모든 것에 대한 물리학적 설명
마쓰바라 다카히코 지음, 한진아 옮김 / 처음북스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쓰바라 다카히코(松原 隆彦)’의 ‘물리학으로 풀어보는 세계의 구조(文系でもよくわかる 世界の仕組みを物理学で知る)’는 물리학을 통해 세상을 보는 방법을 다룬 책이다.

과학, 그 중에서도 물리학이라고 하면 일단 어렵다는 생각이 먼저 든다. 그건 사실 성적 위주의 교육이 낳은 문제이기도 한데, 어려서부터 어려운 공식과 수학적인 풀이로만 물리를 접하다보니 물리란 그런 것이라고 뇌리에 박혀버렸기 때문이다.

그러다보니 정작 물리란 무엇이고, 물리학이 왜 있는 것이며, 물리학적 지식들이 얼마나 실제 세상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지를 알고 그에 재미를 느끼는 사람은 드물다.

이 책은 그렇게 안타까운 시기를 지난 사람들을 위해 물리학을 다시 소개해주는 책이다.

원제는 ‘문과도 잘 알 수 있다’고 하는 나름 재미있는 제목인데, 실제로 그렇게 말할만 하게 책을 잘 구성했다. 어려운 내용은 일부러 최대한 피했으며, 딱히 미리 알아야 할 ‘기본’같은것이 없어도 쭉쭉 읽어나갈 수 있게 문장도 쉽게 쓰였다.

무엇보다 좋은 것은 물리를 단지 이론이나 학문 그 자체로만 다루는 게 아니라 현실과 연결해 풀어냈다는 거다. 이게 어렵게만 느끼던 물리를 흥미롭게 볼 수 있게 해준다. 그리고 그렇게 풀어낸 이야기들을 통해 세상을 보는 새로운 관점을 갖게 한다.

그 근본에는 ‘왜’라는 물음들이 있다. 어렸을 때 누구든 해봤을 근원을 쫒는 물음말이다. 결국 그것 때문에 물리학자가 된 저자나 그렇게 찾아낸 여러 이야기들을 보면, 사회에 적응하고 커가면서 점차 잃어버리게 됐던 그런 의문들이 사실은 얼마나 중요한 것이었는지를 새삼 느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읽지 않은 메시지가 있습니다 탐 청소년 문학 23
카트 드 코크 지음, 최진영 옮김 / 탐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카트 드 코크(Kaat De Kock)’의 ‘읽지 않은 메시지가 있습니다(Selfie)’는 디지털 성범죄를 상당히 현실적으로 그려낸 소설이다.

시작은 되게 가볍고 통통 튄다. 십대의 발랄함을 간직한 소녀들이 유희를 찾고 또 사랑을 꿈꾸는 이야기들은 괜히 잔잔한 미소를 짓게 만들기도 한다. 그래서 만약 이 소설이 무엇을 주제로 한 것인지 모르고 접했다면, 로맨틱 코미디로 이어지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될지도 모른다.

그러던 것이 조금씩 이상해지면서 전혀 다른 이야기로 변질되어간다. 현대에 있어 가장 흔하고 그러면서도 심각한 디지털 성범죄라는 것으로 말이다.

사실, 몇번을 생각해도 중간 중간에 빠져나올 수 있는 구멍들은 의외로 많았다. 거기엔 본인 스스로가 느끼는 미묘한 위화감 같은 것도 있고, 주변 사람의 만류도 있다. 무엇보다 이미 같은 문제를 겪었던 사람들의 사례가 있었기에 의외로 의심할만한 단서도 꽤 많다. 그런데도 왜 같은 문제의 피해자가 끝이지 않는걸까.

저자는 그걸 한 순진한 소녀의 이야기를 통해, 어떠한 과정으로 그러한 늪에 발을 들이게 되며, 제3자의 입장에서 보면 의외로 뻔해 보이는 수작질에 왜 걸려들며 그 후엔 차라 떨쳐내고 빠져나오지 못하게 되는지를 꽤나 잘 그렸다. 이게 처음에 보여주었던 모습과 대비되어 더욱 안타까움을 자아낸다.

또 단지 문제를 그려낸 것 뿐 아니라 그 이후의 이야기도 담았는데, 특히 피해자가 잘못해서 그렇게 된 게 아니라는 것을 꽤 확실히 담은 것이 좋다. 범죄가 밝혀지고 난 후, 주변의 그릇된 비난으로 결국 삶을 포기하는 예까지 있었던 걸 생각하면 더 그렇다.

SNS는 지역이나 연령 등에 따라 사용 패턴이 다르지만, 그래도 공통적으로 같은 문제를 일으킨다는 걸 생각하면 ‘난 아니다’며 가볍게 생각할 문제는 아니다. 인터넷과 디지털은 현대 생활에서 뗄 수 없는 존재인데다, 청소년들은 인간관계 경험이 적어 실수할 가능성이 많아 더 그렇다. 이야기를 통해 간접적이라도 경험해보고 문제에대해 생각해 보았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