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닝 하이 자음과모음 청소년문학 86
탁경은 지음 / 자음과모음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러닝 하이’는 달리기를 소재로 청소년들의 방황과 성장을 그린 소설이다.

사실 소설 속 달리기는 그 자체로 특별한 의미가 있거나 하지는 않다. 꼭 달리기여야 할 필요도 없고, 달리기이기에 보여줄 수 있는 장면이라던가 이야기를 전개해나갈 수 있게 해준다던가 하는 면모는 별로 없다는 말이다. 뭐든 자신을 잠시 잊을 정도로 온전히 몰두해서 할 수 있는 것이기만 하다면 심지어는 몸을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충분히 대체가 가능할 것 같다.

그렇다고 별거 아닌 소재로 단지 언급되기만 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굉장히 소설속에 잘 녹여낸 편이다. 달리기의 매력이란 무엇인지도 느낄 수 있는데다가, 그를 통해 주인공들이 서로 만나고 자신의 감정을 부딛히는 것은 물론 그렇게 생겨난 갈등을 해소하는 데에까지 꽤 잘 사용했다. 마치 다름아닌 달리기이기에 그런 것들이 가능한 것처러 보일 정도다.

서로 환경과 고민이 상반된 두 아이를 주인공으로 삼고 그들의 시선을 번갈아 보여주는 서술 방식도 좋았다. 겉보기와는 달리 어떤 고민에 빠져있는지도 더 두드러지는데다, 다른 사람의 상황이 그들이 바라는 이상향에 대한 일종의 반례를 보임으로써 그러한 사실이나 환경 자체가 문제인 것은 아니며, 그보다 중요한 것은 자기 자신이라는 것을 느끼게 한다.

조금은 비현실적인(일반적이지 않은) 특별함을 사용해 공감하기 어려운 면이 있고, 갈등도 지나치게 쉽게 해소해버리거나 은근슬쩍 넘어가기는 것처럼 보이기는 한다만, 그래도 애초에 그렇게 심각하게 고민을 다룬 것은 아니었기에 그렇게 마뜩잖거나 하지는 않다.

읽고나면 마음이 살짝 따뜻해지며, 괜히 달리고 싶게 만드는 소설이다.



* 이 리뷰는 북카페 책과 콩나무를 통해 출판사로부터 책을 받고 작성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설공찬이 - 우리나라 최초의 한글 필사본 소설
김주연 그림, 김재석 글, 채수 원작 / 고래가숨쉬는도서관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설공찬이’는 최초의 한글 필사본 소설로 알려진 설공찬전을 새롭게 다시 써낸 소설이다.

굳이 왜 다시 썼느냐고 하면, 원작인 설공찬전이 소설되었기 때문이다. 한글로 필사한 것은 물론이거니와 한자로 적었던 원본 역시 마찬가지다.

설공찬전에는 당시 사회에서 쉽게 받아들이기 어려운 종교적인 면은 물론 정계를 비판하는 듯한 내용도 담겨있었기에 금서(禁書)로 지정되어 대부분이 불태워져서 그렇다.

그래도 그 모습을 조금이나마 짐작해볼 수 있었던 것은 조선왕조실록에 무려 여섯 번이나 언급이 되며 무엇이 문제인지 등이 기록되어있어서이며, 비록 앞부분만 있을 뿐 온전하진 않다고 하나 실제 한글 필사본 역시 발견을 했기 때문이다.

이 소설은 발견된 한글 필사본의 내용을 기본으로 두고 거기에 살을 더해서 온전한 이야기가 되도록 다시 쓴 것이다.

소실된 것을 복원한다는 면에서 이 소설은 꽤 의미가 있다. 원작의 내용을 살리면서도 새로운 내용도 그와 어색하지 않게 어우러지게 하였으며, 순전히 상상으로 매꾸어야만 했던 소설의 중후반부 역시 그리 나쁘지 않게 잘 만든 편이다.

새롭게 덧붙인 내용은 시대에 걸맞게 페미니즘적인 내용이 많은데, 이는 긍정적으로 보자면 고전을 살리면서도 현시대에 맞는 소설로서 잘 완성해냈다고 평할 수 있겠다.

부정적으로는 그 내용이 지나치게 주요한 이야기로 부각을 시키는 바람에 소설이 더 이상 설공찬전이 아니게 되었다는 것이다. 새롭게 쓴 ‘설공찬이’는 사실상 ‘설초희전’에 더 가깝다. 본래라면 (설공찬전인만큼) 저승 이야기를 해주는 주인공이었을 설공찬이 이 소설에서는 어디까지나 설초희의 이야기를 전해주는 화자이자 관찰자로 전락해버렸다.

새롭게 해석한 것이라고 보기에는, 원작에서 겨우 두어문장으로만 언급된 내용을 이렇게까지 부각한 건 좀 과해보인다.

설공찬의 생전, 사후, 그리고 현재가 전환될때의 전개도 그리 매끄럽지 않다. 설씨 남매의 죽음과 귀신으로써의 행동에 개연성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는 애초에 원작이 정승에서의 이야기를 주요하게 생각하여 이들의 이른 죽음에 별 다른 사연을 부여하지 않았기 때문인데 그것을 그대로 유지하는 바람에 뭔가 어정쩡해 보인다. 그저 그렇게 마무리해버리는 바람에 설씨 남매의 귀신 소동이 의미없이 번잡한데다 지나친 것이 되어버렸기 때문이다.

원작과 좀 달라지더라도 이 부분을 확실하게 정리하던가, 아니면 불필요한 인과를 버리고 순수하게 저승 세계 이야기에 집중하는 게 더 나았을 것 같다.



* 이 리뷰는 북카페 책과 콩나무를 통해 출판사로부터 책을 받고 작성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해 여름 끝
옌롄커 지음, 김태성 옮김 / &(앤드)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충분히 공감할만한 현실적인 인간드라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해 여름 끝
옌롄커 지음, 김태성 옮김 / &(앤드)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옌롄커(阎连科)’의 ‘그해 여름 끝(夏日落)’은 무려 노벨문학상 후보로 거론되는 저자의 대표 소설집이다.



군대에서 벌어지는 이야기, 그것도 총기 사건을 주요 소재로 한 이야기라고? 심지어 금서로까지 지정되어 판매가 금지되고 저자는 갖혀서 반성문을 쓰는 나날을 보내기도 했다고? 다 표제작인 ‘그해 여름 끝’과 관련된 일화다.

이것들만 들어보면 마치 해당 소설은 대단한 문제작이라던가, 중국 군대에 대한 더러운 뒷면을 파헤쳐 담은 것, 그것도 아니면 적어도 군이나 군대에 대한 날선 비판이라도 담겨있을 것 같지만 정작 소설을 보면서 그런 느낌은 거의 받을 수 없다.

물론 군대 내의 비리를 연상케 하는 것들도 있기에 그게 그러한 면모를 담고있는 것이 아니냐고 할 수도 있겠다만, 군인이라고 해서 성인군자도 아니고 그들이 벌이는 소위 지연이나 뒷구녕을 이용해 하는 짓거리들은 사회에서 벌어지는 것들에 비하면 귀여운 수준이라 엄청 비판적이어 보이지는 않는다. 그래서 소설을 다 읽고 나서도 끝끝내 ‘어째서 금서로?’라는 의문이 사라지지 않는데, 그만큼 중국 출판계가 얼마나 엄한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게 아닌가 싶다. 군인들을 영웅시하지 않거나, 그놈의 중화사상에 쩔어있는 선전물 성격이 엿보이지 않는다고 금서가 된거니까 말이다.

소설은 저자가 ‘한국어판 서문’에서도 밝힌 것처럼 어디까지나 인간의 이야기를 큰 과장없이 담은 것에 가깝다. 개인적인 이득을 위해 움직이는 것이나, 도덕적이지 않은 것에 마음이 동하는 것도 그렇고, 오랫동안 끈끈해진 우정같다가도 한순간에 배신하는 모습이라던가, 적당한 체념과 자기합리화를 보이는 것 등이 모두 그렇다.

그래서 (군대라는 특수한 곳을 배경으로 한 만큼) 여러면에서 낯선 부분이 많기도 하지만, 또한 그만큼 익숙하고 쉽게 공감할만한 이야기를 보여주기도 한다.



* 이 리뷰는 리뷰어스 클럽을 통해 출판사로부터 책을 받고 작성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주방에서 시작하는 가드닝 - 먹다 남은 채소와 과일로 실천하는 제로 웨이스트 라이프
케이티 엘저 피터스 지음, 박선주 옮김 / 지금이책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쉽고 확실히 알 수 있게 쓰인 것이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