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지 황석영 중단편전집 1
황석영 지음 / 창비 / 2000년 10월
평점 :
품절


1. - 이제서야 이 작품을 읽다. 오랫동안 미뤄두고 있던 숙제를 한 느낌. 이미 1970년대가 훨씬 지나버린 시점에서, 이런 종류의 작품이 얼마나 가치를 가질 지는 여전히 의문이 가는 부분이다. 그러나 아직 우리 사회가 고도산업화 시대에 접어들지 못한 상태라면 (우리 사회를 무엇으로 정의를 내릴 수 있을 지는 여전히 불투명하지만, 1990년대에 고도산업화 시대의 문턱에서 진입하지 못했던 경험이 있다는 것이 우리 사회의 한 단면을 설명할 수는 있을 것이다) 이 책에 수록된 작품들은 여전히 유효한 의미를 지닌다. 무엇보다, 우리의 산업화는 1960년대부터 박정희 정권에 의해서 주도되었으며, 그로 인한 문제는 197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터져 나오기 시작했으니까.

그렇다면, 우리가 여전히 1970년대 소설들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명확해진다. 우리 사회가 여전히 1970년대적 상황에서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이다. 분명히 소설은 사회과학 서적은 아니지만, 사회를 모방의 대상으로 삼는 예술임에는 틀림없으니까) 소설은 '사회를 모방의 대상으로 삼는 예술'이라는 정의보다는, 소설은 '현실을 삼투하는 예술'이라는 정의가 더 정확할 것이다. 모방이나, 반영이라는 개념은 사물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인다는 의미가 되지만, 삼투는 사물을 자신의 것으로 변형시켜 받아들이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하기에 소설은 구호가 되지 못하기도 한다. 예술의 몸을 입지 않은 소설은 이미 소설이 아니다.

2. - 황석영은 분명히 Story teller이다. 그의 소설에는 정통적인 매력이 있다. 정통적인 매력이 무엇인지를 명확하게 분별해 낼 수는 없으나, 가장 대표적인 것 중의 하나는 서사성의 강조가 아니겠는가? 결국 소설이란 재미있는 이야기이니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클릭! 일본문화 - 고지라에서 에반게리온까지
김봉석 / 한겨레출판 / 1998년 10월
평점 :
절판


- 지금까지 읽었던 일본 문화 안내서 중에서는 가장 안정된 견해를 보이고 있음. 특히 일본의 실정을 多문화·多중심으로 파악하고, 매이저와 언더의 두 축에 의해서 유지되어 가는 문화로 파악한 부분에는 동감이 감. 그러나 이러한 분류들이 일본만의 특징인지에 대해서는 의문. 미국이나 유럽의 문화도 그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은지? 그렇다면 그것은 일본 문화만의 특징이 아니라, 선진 문화(이런 식의 표현이 가능하다면)가 가지는 문화 구조는 아닌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피지의 난쟁이
무라카미 류 / 예음 / 1997년 10월
평점 :
품절


- 꼭 섹스여야 하는가? 다른 것으로는 그와 같은 주제를 표현할 수 없는가? 이 책을 읽는 내내 머리 속을 떠나지 않았던 질문이었다. 특히 일본작가들, 그 중에서도 무라카미 류의 작품들을 읽을 때면, 이런 의문들이 더욱 강해진다. 류의 작품에 있어서는 섹스가 중요한 코드인 것만은 사실이다. <한없이 투명에 가까운 블루> 이후 내가 읽었던 거의 모든 작품들에서 섹스라는 코드가 반복되어 사용되었다. 하긴, '사람들이 모두 만족한 섹스를 한다면 세상은 훨씬 좋은 곳이 될 것이다'라고 주장하는 작가이니, 그의 작품에서 섹스가 중요하게 다루어진다는 것은 당연한 일일지도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알고보면 무시무시한 그림동화 2 알고보면 무시무시한 그림동화 3
키류 미사오 지음, 이정환 옮김 / 서울문화사 / 1999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그림 동화를 비롯한 안데르센 동화와 와일드의 <행복한 왕자> 등을 나름대로 각색한 작품이다. 우리가 어릴 적에 읽었던 동화들은 많은 부분 검열(사회제도 및 도덕율에 의한)에 의해 변형된 작품이었다는 것을 알게된 것이 가장 큰 수확이었다. 그러나 마지막 장을 넘기고 난 뒤에 드는 생각은, '과연 누가 잔혹한 꿈을 꾸기를 원할 것인가?'였다.

동화도 삶 속에서 존재하는 것이다. 그러니, 거기에 잔혹함이나 비정함, 혹은 음란한 부분이 전혀 포함되지 않을 수는 없다. 더구나 동화는 입에서 입으로 전해진다는 원시 문학(민담)에 가까운 형태이니 더욱 그러할 것이다. 그러나 쉽게 고쳐지지 않는 내 편견은 동화의 세계가 조금 더 몽환적이고 아름답기를 원한다. 성적 쾌락에 몸부림치는 백설공주보다는, 바보 같은 순진함을 가진 백설공주를 기억하고 싶은 욕망이다. 결국 동화가 우리에게 주는 것은 꿈/환상이 아닌가? 이왕에 꿈을 꾼다면, 이런 잔혹한 꿈을 꾸고 싶지는 않다.

1분중 0분께서 이 리뷰를 추천하셨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시인의 별 - 2000년도 제24회 이상문학상 수상작품집
이인화 외 지음 / 문학사상사 / 200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아, 이제 제발,
이상문학상의 이름을 더럽히지 마라.

다른 많은 독자들이 그러하겠지만,
내가 문학에 눈을 뜨게 된 것은 바로
<이상문학상 수상작품집>을 통해서였다.

김승옥, 이청준, 오정희 등으로 이어지던 그 주옥같던 작품들!
그야말로 한국단편소설의 정수만을 엄선하던 그 안목.
이제 그것들은 모두 사라져 버렸는가?

80년대 말, 90년대에 들어서면서부터 다소 수긍하기 힘든 수상작과 후보작을 수록하기 시작하던 이 작품집이 올해에도 역시 별볼일 없는 수상작과 후보작을 수록했다. 심사과정에서 있었던 풍문을 다시금 떠올리게 만드는 이 작품집은 정말 기대이하였다.

우리의 소설문단이 이리도 황패해진 것일까?
아니면 선정기준이 변한 것일까?
그도 아니면 향간의 말처럼 문단권력의 개입 때문일까?
실망스러웠다.

아직도 여전히 우리 독자들에게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문학상은 이상문학상이다. 자꾸만 질이 떨어지는 이 상의 권위가 안타까울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