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의 시대가 왔다.
여성신학. 생태신학. 생태여성신학
여신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동의보감을 읽기 싫은 상태로 고미숙 선생님의 무료강의를 듣고 책을 읽고 있다. 고전은 왠지 읽기 싫다. 얍삽하게 선생님이 추려놓은 결론만을 습득하는 것으로 끝내고 싶다. 전에 읽은 바보야...에서 디지털시대는 백수가 주인공이라고 하였는데 이 책이 먼저 나왔지만 실질적인 백수 생존법이 있어서 반가왔다. 209쪽 브리콜라주 경제학 - 백수생존법. 도시락과 커피를 싸들고 도서관이나 평생교육원 등으로 가서 공부한다. 밥값과 교통비는 있어야 하는 것이다. 취업공부 건 혹은 자기수련이건 밥과 수련과 비전탐구, 이 셋은 나란히 함께 가야한다고. 여기서 브리콜라쥬란 주어진 재료를 가지고 최고의 작품을 만들어 내는 인디언의 기술을 뜻함.

 

오랜기간 많은 기술과 노하우를 읽어왔고 배워왔다. 적정기술과 절제능력을 발휘하여 살아갈 백수로서 기본 자세를 갖춘 셈이다. 이제는 본격적으로 브리콜라쥬 기법을 활용할 수 있을 것 같다. 몸과 인문학이 동떨어진 것 같아보이지만 사랑과 미움이 동전의 양면처럼 붙어있듯이 몸(걷기) 인문학(공부)은 하나이다. 걷기에 관심을 갖게된 것도 몸이 원하는, 자연스러운 결과였다.

 

고미숙 선생님의 문장은 짧고 간결해서 좋다. 긴 문장으로 무슨 말인지 알아먹지도 못하게 해놓거나 짜집기하지 않아서 좋다. 계속 샘의 책들을 읽어나갈 계획이다. 공동체에 한번 가보고 싶은데 몸이 안 움직인다. 수업료가 꽤 비싸다- 아이러니하게 슬퍼짐. 경제적 자립을 위한 백수되기 전작업으로 돈이 필요하다니 역시 도서관이 답.

 

 

책속의 책

 

 

 

 

 

 

자립의 토대는 고전과 글쓰기다. 고전의 텃밭을 일궈 글쓰기를 하고, 그것을 세상에 소통시킴으로써 경제활동을 하는 것이다. 부자가 되지는 않겠지만, 적어도 돈 때문에 삶이 소외되는 경로를 밟지는 않는다. 122p

생로병사의 전 과정이 선물이지만 청춘은 그중에서도 최고의 선물이다. 이 선물을 만끽하려면 무엇보다 주술에서 벗어나라! 꿈을 가져야 한다는, 혹은 꿈을 이루어야 한다는. 131p

가족과 혈연의 틀을 넘어 ‘세대공감의 네트워크‘를 열어가는 수밖에는 없다. 공부가 최고의 대안이라는 건 바로 그런 맥락에서다. 126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리처드 클라인은 흡연이 얼마나 매력적인가에 대해 이렇게 쓴다. "흡연은 시를 짓는 것에 비유할 수 있다. 영감이라는 뜨거운 공기를 들이마시면, 종이 위를 수놓은 글들은 소리 없이 아우성치며 대기 중에서 타오르고, 욕망의 소용돌이를 내뿜고, 몸짓을 하며 서정적인 대화를 머리 위에서 연기로 조절한다." 흡연자는 직관적으로 담배가 무의미한 시간을 견디게 만드는 벗이고, 권태와 허전함에 대한 위로라는 걸 파악한다.

(장석주, 가만히 웃고 싶은 오후, 273p)   

 

 

 

진정한 시인은 먼지를 선호한다. 다들 잘 알다시피, 가장 위대한 시인이 소망하는 자리는 매혹적인 망각과 먼지 속이기 때문이다. 거장인 시인일수록 오래 묵은 고급 와인과 마찬가지 운명이라서 아주 특별한 계기가 있을 때만 먼지 속에서 나와 영광의 자리로 승격된다는 사실을 누구나 다 알고 있다.

(로베르트 발저, 산책자, 100-101p)

 

 

 

 

 

 

 

 

사람은 평생을 두고, 가능한 오래 살아, 우선 꿀벌처럼 꿀과 의미를 모아들여야 하며, 이를 거름 삼아 아마 생의 끝에 가서 열 줄 정도의 좋을 시를 끌 수 있을 지 모르겠다. 시라는 것은 사람들이 보통 생각하듯이 (젊었을 때 넘치도록 갖는 그러한) 감정이 아니라 경험이다. 한 줄의 시구를 얻기 위하여 많은 도시, 온갖 사람들, 그리고 여러가지 사물을 알아야만 할 것이다. (라이너 마리아 릴케, 말테의 수기, 펭귄클래식, 24p)

 

 

 

 

 

 

 

언어의 가장 창의적 사용은 시이다. 운문은 우리의 경험을 응축되고 변화된 형태로 보전할 수 있도록 해주기 때문에 의식을 정리하는 데는 가장 이상적이라 할 수 있다. 매일 밤 시집을 읽는 것은, 근력 강화 운동을 할 때 우리의 신체가 단련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우리의 정신을 단련시켜 준다.

(미하이칙센트미하이, 몰입-미치도록 행복한 나를 만난다. 242p)

 

 

 

 

 

 

 

 

아무도 우리에게 말을 걸지 않을 때, 시는 말을 건넨다. 시는 무기력한 삶에 생기를 불어넣는다. 시가 주는 감동은 고통스러운 감정을 붙들어 이를 탐색하고 변화시킨다. 과거와 현재, 미래의 삶을 짚어 보고 이름을 붙이는 방법이 시를 읽고 쓰는 것이다.
(존폭스, 시치료- 한번도 소리 내어 울지 못한 그대에게, 23p)

 

 

 

 

 

 

 

 

 

시인이란 여러모로 세상에서 가장 욕심없는 존재지만, 한편 다른편으로는 요구가 많기도 하다. 시인은 포기보다는 차라리 죽음을 택한다. 예를 들어 주변환경이 적어도 나의 감각에 최소한의 진정한 실체나 실제적인 광경을 제공하지 않는다면 나는 살아갈 수 없을지도 모른다. 현대적인 도시에서 , 황량하고 실용적인 건축물, 종이벽, 모조나무, 순전히 대용물과 기만의 한 가운데에서 사는 삶이란 전혀 불가능할 지도 모르고, 그러다가는 금세 말라죽을지도 모른다. (헤르만헤세, 잠못이루는밤, 현대문학, 127p)

 

 

 

 

 

 

 

이제 당신에게 내가 흰 것을 줄게

 

더렵혀지더라도 흰 것을,

오직 흰 것들을 건넬게.

 

더이상 스스로에게 묻지 않을게.

 

이 삶을 당신에게 건네어도 괜찮을지.

 

 

(한강, 흰, 40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놀 수 있는 사람은 매여있지 않아야 합니다. 축산을 하는 사람은 아침저녁으로 꼭 그 시간에 짐승 먹이를 줘야 합니다. 자기가 못 하면 누군가 대신 하게 해야 합니다. 비닐농사도 마찬가지입니다. 겨울에 돈 들여 불 때가면서 짓는 농사를 대충대충 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일에 매여 밤낮없이 1년 내내 일하나, 자연에 기대서 무리하지 않고 사나 큰 차이가 없습니다. 돈 많이 버는 쪽으로 살면 쓰는 돈도 비례해서 커집니다. 그때 돈은 대개 자연을 훼손하고 사회 공공재를 망가뜨리는 쪽으로 쓰입니다. (전희식, 삶을 일깨우는 시골살이, 174p)

 

 

 

 

 

 

 

 

 

 

 

 

 

 

 

 

 

녹색당 책모임의 이번달 선정책은 조화로운 삶 LIving the Good Life 이다. 헬렌니어링의 책들을 오래전에 읽었지만 다시 펼쳐보며 달라진 건 나의 생각인 것 같았다. 그리고 떠오른 책들 전희식- 시골살이, 장석주 -단순한 것이 아름답다 등. 존재가 의식을 규정한다는 마르크스 말처럼 농부인 전희식 선생님를 보면서 느낀점은 사상가 같았다는 것. 아마 헬렌니어링 부부의 삶이 예전엔 그저 신기하게만 보였다면 이제 어느정도 나이가 들어 느껴지는 그들은 실천하는 행동가였다.

 

조화로운 good 삶이란, 어떤 삶일까? 인생이 아니라 일상을 조화롭게 살아내는 것조차 벅차다. 시간과 공간을 통째로 들어다가 과거 내지는 미래의 시골로 덜컥 옮겨놓는다면 모를까, 헬렌니어링의 자그마한 실천조차 따라하기가 쉽지는 않아 보인다. 매일 배출되는 1회용품 비닐쓰레기, 뗄 수 없는 빵의 유혹, 테이크 아웃 커피는 또 어떻고. 유기농이라고 산 과일 껍질조차 씹어먹으려면 고역이다. 극기인가 조화로움인가...

 

 

단순한 생활

긴장과 불안에서 벗어남

무엇이든지 쓸모 있는 일을 할 기회

그리고 조화롭게 살아갈 기회 (18p)

 

 

'쓸모 있는 일'은 쓸데 없는 연구를 하고자 하는 나의 의지와 맞닿아있다. 왜냐하면 쓸모 있는 일을 하고자 (자본주의에서) 쓸 데 없(어 보이)는 일을 하려고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즉, 자본주의의 내 영혼을 잠식시키지 않기 위해 쓰잘데기 있는 일을 하려고 한다. 단순하고 소박하게 긴장없이 여유있으면서도 함께 어우러지는 - 조화로운 삶을 살아보고 싶은 열망! 이때 삶은 문화와 예술과 동떨어져 있지 않으며 삶 자체가 예술이고 우리는 곧 예술인이 되는 것이다. 이것이 내가 바라는 GOOD LIFE이다.

 

 

채소와 과일을 먹되 자연에서 난 것을 있는 그대로, 밭의 싱싱함을 느끼며, 그리고 한 끼 식사에 한두 가지만을 먹는 원칙을 지키면서 살아보라. 그러면 여러분도 단순하게 먹는 것이 좋다는 우리 주장에 공감하게 될 것이다. 실제로 이 원칙을 바탕으로 우리는 식단을 정해 놓게 되었다. 아침에는 과일, 점심에는 수프와 곡식, 저녁에는 샐러드와 야채를 먹었다.(147p)

 

 

생애내내 다이어트. 이것 또한 내가 바라던 걸까? 아침에 과일 몇 조각을 먹고, 점심에는 한 두가지 반찬으로 현미밥을 그리고 저녁 역시 간단하게 생식을 한다...는 거창한 계획을 세운지 오래되었지만 실천하기는 어려웠다. 음식을 만들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만들지 않는 것은 거의 불가능해 보인다. 게다가 아프거나 귀찮거나 하면 손 쉬운 반가공품, 인스턴트를 사먹게되고 또 쓰레기가 한짐이다. 삼시세끼를 만들어먹는 게 만일 시골살이의 '일'이라면, 도시살이의 일은 바로 쓰레기 분리수거와 버리기가 아닐까.

 

 

우리가 어떤 일이 있어도 잊지 말아야 할 것이 있다. 이 사회는 생산수단을 개인이 갖고 있으며 아주 적은 수의 사람들이 자연 자원과 특허를 독점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일부의 무리들이 돈을 쥐고, 이자를 바칠 것을 당연하게 요구한다.(203p)

 

 

누군가는 먹고 누군가는 버리고 누군가는 치워야 한다. 내가 키워서 내가 만들어서 내가 먹는 게 안되는 분절된 생활. 승자독식, 갑과 을, 무관심, 감정노동. 우울증... 그런 거말고 희망을 말하는 자는 나누는 사람이다. 소유와 축적은 개인주의이지만 희망과 노력은 함께할 때 커진다. 단순하게 더욱 단순하게 지금 이 순간에 집중하며 조화롭게 잘 살자!

 

 

삶을 넉넉하게 만드는 것은 소유와 축적이 아니라 희망과 노력이다. (214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자존감과 예술활동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