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하는여자가강하다 에서 강추하는 책★ㅡ 권력을 원하고 철학과 사회학과 문학에 관심이 많은 여성을 위해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8-07-22 02:31   URL
비밀 댓글입니다.

:Dora 2018-07-22 16:51   좋아요 0 | URL
넹 :)
 

엄마 이야기 ...보고 왔어요. 감동...
종로 아이들 극장 521까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통에서 도피하지 말라. 고통의 밑바닥이 얼마나 감미로운가를 맛보라. -헤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도올과 도마복음
http://well.hani.co.kr/493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도서관에서 우연히 발견한 책. 처음 메리 데일리 책을 읽을 때보다 더 충격적이었다. 기존의 것을 버리고 새로움을 받아들이는 것은 얼마나 힘든 일인가! 오픈 마인드란... 오타와 탈자가 있어서 별은 네개. 여성신학, 생태여성신학, 여성 영성 등을 키워드로 찾았지만 자료가 많이 없었다. 그나마 개신교 쪽 학회에서 낸 책들이 전부이다. 가톨릭은 연구가 부진한 듯하고... 주류의 신학에서 벗어나 있어서 그런가 싶다. 그나마 생태, 환경이 주목 받으면서, 페미니즘이 떠오르면서 여성신학에 관심이 가는 건지 모르겠다.

 

기독교학과 아닌 영문과에서 나온 책이다. 왜 종교비평 에세이가 영문과 대학출판으로 나왔을까? 읽는 독자들이 없어서? 여성신학에 관련된 더 많은 책들이 번역되어 나왔으면 좋겠다. 논문들이 너무 오래전 것들이다. 이책에서 언급된 아일린 파워의 『중세 사람들』이 흥미로웠다. 『중세 여인들』도 같이 읽어볼 예정이다. 밑줄긋기...

 

 

파워는 엘리트의 역사에만 관심을 두는 계급적 성향을 포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한 세대 전에 이미 "무명의 묘지 속에 잠자고 있는 무명의 대중들"의 숨겨진 역사를 조명하기 위해서 여성세계의 상징인 "부엌"을 사용했다는 점이 흥미롭다. 이러한 충고에 따라 수정주의 교회역사가는 교황, 평의회, 교령집, 교회법대전, 신학대전, 교회 권력, 교수법, 설교, 안수, 교회 유지 등등에 관심에서 벗어나, 기도, 경험, 경청, 간증으로 관심을 전환시킨다. 쓰고 이이기하며, 전통을 형성하고 역사를 만들었던 "여성들"을 발견하는 곳은 바로 영성의 세계다. (137p)

 

 

만일 현재의 돈이나 자본, 지위, 권력, 경쟁, 획일화 등의 가치관이 생명, 경험, 역사, 공감, 다양성 등으로 변화된다면, 말하자면, 남성적 가치관에서 여성주의적 가치관으로 이동한다면, 세계의 구조가 크게 바뀌게 되지 않을까. 예를들어 높은 지위를 바라고 돈을 많이 벌고 경쟁에서 이기는 것보다 아이를 낳아 기르고 이웃을 돌보고 각각의 개인의 경험이 우선시 되는 사회라면.... 적어도 전업주부가 자존감 떨어지는 말투로 "집에서 노는 주제에.."라는 말을 하는 경우는 사라질 것이다. 노인들이 차별받고 무시당하는 분위기는 없어질 것이다. 단 한가지의 기준에 개인 정체성을 껴맞추는 획일적인 경향은 줄어들 것이다. 사회 소외계층이 차별받는 사회는 지양될 것이다. 출산율은 당연히 높아지고 가부장제는 서서히 힘을 잃어갈 것이다...

 

 

여성의 자아성과 힘은 꿈, 문학, 몸을 경험함으로써 천천히 고통스럽게 얻어지는 것인데, 여신 상징을 통해 가능하다고 본다. 여성의 섹슈얼리티, 우주의 생성과 사멸과 같은 자연스런 과정과 연결되는 여성의 출산, 차고 기우는 과정과 여성이 연결됨으로써 생겨나는 전일감, 이런 것들이 종교적 삶의 근간이 된다고 믿는다. 여신상징은 여성 안에 있는 "가부장적 감시인"을 몰아내고 오랫동안 부정되었던 여성의 아름다움과 힘을 다시 선포할 수 있게 만든다. (243p)

 

 

피오렌자는 급진적 페미니스트 영성과 여신은 예수께서 가르치고 아버지라 불렀던 신과 다르지 않다고 주장한다. 예수는 여성과 남성, 지위의 낮고 높음을 가르지 않았던 혁명가였다. 그러나 구지 설명을 위해 따지자면 예수님은 초월적으로 신성이고 마리아는 경험적으로 인성으로 느껴지는 게 사실이다. 성모님은 따뜻하게 우리를 안아주고 보살펴주시는 어머니의 느낌이 더 강하기 때문이다. 교회는 여성들에게도 평등한 기회를 가져다 줄까? 언젠가.. 5월은 성모성월이다.

 

 

 

성모께 자기를 바치는 기도  

 

○ 천주의 성모 마리아님
    저희는 비록 성모님을 모시기에 합당하지 않사오나
    성모님의 사랑을 굳게 믿으며
    모든 천사와 더불어
    당신을 어머니로 모시는 저희를
    자애로이 지켜주소서.
저희는 당신 아들 예수님을
    더욱 충실히 섬기며
    어머니 슬하에 살기로 약속하나이다.
십자가에 높이 달리신 예수님께서는
    숨을 거두시며
    당신 자신은 성부께 맡기시고
    성모님은 제자에게, 제자는 성모님께 맡기셨나이다.
지극히 거룩하신 어머니,
    십자가 밑에서 맺어진 모자의 인연으로
    저희를 품에 안아주시고
    온갖 위험과 고통 중에 돌보아 주시며
    저희 죽을 때에 저버리지 마옵소서.
◎ 아멘.

 

 

남자와 여자 모두가 성차별 없는 기독교공동체 안에서 살 수 있을 때야 비로소, 성차별 없는 예배를 함께 참여할 수 있을 때야 비로소, 성차별 없는 신학 용어와 이미저리로 생각할 수 있을 때야 비로소, 우리는 진정한 기독교 페미니스트 영성을 명료하게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203p)

 

 

같이 읽을 책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7-05-07 16:0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라우라 에스키벨의 《달콤쌉싸름한 초콜릿》의 부엌이 여성의 세계를 잘 보여준 공간이었어요.

모든 노인들이 전부 그런 건 아니지만, 전업주부를 무시하는 노인은 밖에서 놉니다. 공원에 가면 볼 수 있어요. ^^;;

:Dora 2017-05-07 17:33   좋아요 0 | URL
ㅋㅋㅋㅋㅋ 읽어볼게요!! 감사